•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 조선에서의 창가, 민요 개념 성립사 ―일본에서의 번역어 성립과 조선으로의 수용 과정 분석 (A Formative History of the Concepts of Ch'angga and Minyo in Colonial Kore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10.09
36P 미리보기
식민지 조선에서의 창가, 민요 개념 성립사 ―일본에서의 번역어 성립과 조선으로의 수용 과정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71호 / 329 ~ 364페이지
    · 저자명 : 임경화

    초록

    본고에서는 먼저 근대일본의 음악을 둘러싼 담론을 분석함으로써 노래가 내셔널리즘 형성에 유용한 도구로 발견되는 경위와, ‘국악(national music)’이라는 관념이나 운동, 제도를 성립시키는 새로운 개념으로서의 ‘창가’와 ‘민요’의 성립과정을 좇고자 한다. 그리고 식민지조선으로의 개념의 연쇄를 통해 식민지의 소리가 어떻게 관리되고 거기에 맞서는 집단의 저항의 소리들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메이지 일본은 학교, 군대라는 새로운 공동체를 창출하고 국민교육의 일환으로 창가라는 남성화된 ‘국민의 소리’를 제창이라는 형태로 성원들에게 신체화해 갔다. 그리고 향토성을 표상하며 아래로부터 수렴된 ‘민요’와 충군애국의 국민정신 구축을 위해 위로부터 철저하게 강제된 ‘창가’는, 때로는 서로 길항관계에 있으면서도 다양한 지방의 소리로 중앙의 추상적인 소리를 보충하면서 ‘상상의 공동체’로서의국민의 소리를 완성해 갔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서양음악의 인위적인 이식을 통한 조선에서의 노래의 근대는, 주로 애국심함양과 자주독립이라는 국가적인 과제를 담아 의례와 함께 불린 ‘애국가’의 형태로추구되었다. 하지만 식민지기에 본격적으로 출발하는 학교교육을 통해 ‘창가’교육이 강력히 시행되어 가고, 통속교육을 통해 속요를 통제하면서 조선의 소리는 억압되었고 결국에 제국의 소리로 편재되어 갔다. 그렇지만, 조선어 개사가의 유행은 갈수록 일본어와 밀착된 창가 개념에 균열을 가하고, 해방 후에 새로운 개념이 제도적으로 정착하면서 재구축되어 갔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discourses on music in modern Japan to delineate the contributing process of songs to the formation of nationalism, and to trace the formation of ‘ch’angga’ and ‘minyo’ as new concepts in formation of the idea, movement, and institutions of ‘national music.’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s how the sounds in colonial Korea was controlled and how resistance sounds were created.
    Meiji Japan formed new communities like the school and the military, where the ch’angga as a ‘national voice’ was to be sung in collective manner, so that the singing members might internalize its national meaning. Still, though the minyo gathered from the bottom representing locality was sometimes in conflict with the top-down ch’angga designed to foster the national spirit of loyalty to the emperor and love of the country, the minyo did not disturb the hierarchy of center and periphery, and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imagined community’ of national voice by supplementing the abstract voice of the center with the local and varied voices of the periphery.
    The modern songs in Korea took the form of patriotic songs transferred from the West, and were sung in the national ceremonies to promote independence and patriotic spirits. Under the colonial rule, however, the strict imposition of the ch’angga education suppressed the Korean voice to be incorporated into the voice of the empire. Nevertheless, the popularity of alternative Korean song words generated the fracture in the concept of the ch’angga tightly intertwined with the Japanese language, and helped to consolidate the new concept in institutional forms after the lib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