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판소리 부분창과 TV 드라마 방송클립동영상의 비교를 통한 서사의 부분적 제시 양상 연구 (Study Examines Partial Presentation Pattern of Narrative by Comparing “Partial Pansori” and “Broadcast Clip Videos" in TV Drama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23.02
26P 미리보기
판소리 부분창과 TV 드라마 방송클립동영상의 비교를 통한 서사의 부분적 제시 양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과 교육 / 52호 / 39 ~ 64페이지
    · 저자명 : 김여주

    초록

    본 연구는 판소리의 부분창과 텔레비전 드라마의 방송클립동영상을 통해 장편 서사를 부분적으로 제시하는 방식을 비교하고, 서사의 부분적 제시가 장편 서사를 향유하는 방식에 미치는 방식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판소리와 텔레비전 드라마는 장편 서사를 기반으로 하기에 연행자 혹은 제작자가 서사 장면 단위로 분절한 내용을 제공하는데, 이를 판소리에서는 부분창, 텔레비전 드라마에서는 방송클립동영상이라 한다. 판소리와 텔레비전 드라마는 향유 시점에 차이가 있기에 서사를 분절적으로 제공하는 방식과 부분 서사의 활용과 이 과정에서 서사의 부분적 활용과 원 서사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비교하고자 한다.
    판소리 창자는 전체 서사가 있는 상태에서 장면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부분적 서사를 제공한다. 당대의 청중은 판소리 한 바탕의 내용에 대한 지식이 있는 상태로 부분적 서사를 제공받기에 모든 이야기를 듣는 것보다 자신의 기호에 맞는 특정 대목을 부분창으로 듣는 것을 선호한다. 창자와 청중은 직접 만나 소통했기에 청중의 의견은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었다.
    반면, 텔레비전 드라마는 제작이 완료된 상태의 서사를 여러 매체를 통해 수용자에게 전달한다. 그런데 매체의 발달로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볼 수 있게 되었으며, 방송클립동영상의 형태로 영상이 제작되기 시작했다. 초기의 수용자는 매체 시청을 위해 모인 수용자끼리의 의견 교류만 가능했으나, 오늘날에는 ‘사회적 시청’이라는 시청 방식이 생기면서 제작자와 수용자의 쌍방향 소통이 가능하게 되었다.
    판소리와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전체 서사 속 부분을 따로 제시할 수 있는 것은 장르가 성숙하였기 때문이다. 수용자가 해당 장르에 대해 이해하고 있어야 부분창 혹은 부분클립동영상만으로도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향유할 수 있다. 다만, 서사의 향유에 있어 매체 환경의 변화로 판소리는 판소리 음원으로, 텔레비전 드라마는 방송클립동영상이 제작되며 부분 서사의 수용이 가속화되었다. 판소리 부분창은 원 서사 중 선호 부분을 다시 즐기기 위해, 방송클립동영상은 원 서사로의 유입을 의도한다. 그런데 오늘날에는 두 장르 모두 부분 서사 자체로의 수용 및 원 서사로의 유입 양상이 나타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anner in which long narratives are partially presented in “Partial Pansori” and “Broadcast Clip Videos” in television dramas and examine how long narratives are enjoyed through partial narrative presentation. Both Pansori and television dramas are based on long narratives, and performers or producers provide segmented content on a scene-by-scene basis. In Pansori, it is called “Partial Pansori,” and in television dramas, it is characterized as “Broadcast Clip Videos.” Considering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points of consumption between Pansori and television dramas, this study focuses on comparing the use of segmented narrative presentation and partial narratives in relation to the original narrative.
    In Pansori, the performer provides partial narratives by maximizing the scene within the context of the entire narrative. At that time, the audience had knowledge of the entire content of Pansori, so they preferred to listen to specific sections that matched their preferences as “Partial Pansori” rather than listening to the entire story. The performer and the audience could communicate directly, so the audience's opinions could be promptly conveyed.
    In contrast, television dramas deliver completed narratives to the audience through various media. With media development, viewers can watch programs at a convenient time and place, and videos began to be produced in the form of “Broadcast Clip Videos.” Earlier, viewers could only exchange opinions with the people who gathered to watch the media, but with the emergence of “social viewing,”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producers and viewers has become possible.
    Both Pansori and television dramas can present partial segments of the entire narrative separately because the genres have matured. Viewers must recognize the genre to easily understand and enjoy the content through “Partial Pansori” or partial clip videos. However, as the media environment changes, the consumption of partial narratives has accelerated through gramophone record for Pansori and broadcast clip videos for TV dramas. “Partial Pansori” is intended to help viewers enjoy preferred parts of the original narrative again, while “Broadcast Clip Videos” aim to take viewers back to the original narrative. However, in modern times, we can observe both genres being accepted as partial narratives themselves and as a way to take viewers back to the original narra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