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9:20-27에 나오는 사건, 즉 노아의 만취, 함의 범죄, 그리고 가나안의 저주 받음은 그 난해한 인과관계로 인해 다양한 이론들이 제시되어 왔다. 연구와 논쟁의 주요 이슈는 “노아와 관련하여 그 아들 함이 범한 죄는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그리고 “가나안은 자신과 아무런 상관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왜 저주를 받았는가?”라는 의문들이다. 최근 더욱 설득력을 얻고 있는 것은 함의 성범죄 주장인데, 가장 최근에 가나안의 저주와 관련해서 함과 가나안의 공동 성범죄 주장이 제기되었다.
함의 범죄를 성범죄로 해석하는 핵심적인 근거로 제시되는 것은 술이 깬 노아가 ‘그의 작은 아들이 자기에게 행한 일을 알았다’(창 9:24)는 사실이다. 여기에서 ‘아사-로/Al-hf'['(“그에게 행한”)는 함이 취중의 노아에게 능동적으로 무언가 행하였음을 의미하고, 술이 깬 노아가 그것을 알고 저주했다는 것은 노아 자신이 그 행위의 희생자가 되었음을 인지하였기 때문인데, 그 행위가 바로 성행위라는 것이다. ‘함이 그 아비의 하체를 보았다’(22절)는 것을 성관계의 관용적 표현으로 보고, 함의 범죄를 부친과의 근친상간으로 해석했는데, ‘하체를 보다’와 ‘하체를 범하다’를 평행대구에 의한 동의어로 사용하는 레위기 20:17을 결정적인 증거로 제시한다. 게다가 노아가 ‘벌거벗었다’는 것도 성관계를 나타내는데, ‘벌거벗다’라는 히브리어 ‘갈라/hl;';G'’가 구약의 여러 구절에서 “하체”(에르바/hw"r>[,)와 결합되어 불법적인 성관계를 묘사할 때 사용되었으며, 그 가장 대표적인 경우는 근친상간 금지규정인 레위기 18:6-19와 20:11, 17-21이라는 주장이다. 이 본문의 매 구절에서 ‘갈라’는 성관계를 의미하는 동사로 사용되었는데, 특히 부모와 자식 간의 근친상간을 금지하는 신명기 22:30[H 23:1]과 27:20에서는 이 단어가 ‘카나프/@n"K'’(날개, 끝, 하체)와 결합하여 ‘하체를 드러내다’로 번역되었고, 에스겔 16:36-37, 22:10; 23:10, 18, 29 등에서도 같은 용법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노아가 벌거벗은 것도 단순히 그냥 벗은 것이 아니라 성적 행동이라는 것이다.
필자는 최종 형태로서의 히브리어 본문 창세기 9:20-27을 공시적-문학적 방법에 의해 우선적으로 면밀하게 읽을 뿐만 아니라 관련성이 있다고 주장되어 왔던 다른 본문들과의 간본문적 해석도 고려하면서 창세기 9:20-27의 해석 문제를 다시 고찰했다. 성범죄와 관련되어 언급되는 “하체를 드러내다”(갈라/hl;';G' 강세형 능동태+에르바/hw"r>[,)와 “하체를 보다”(라아/ha'r' 기본형 능동태+에르바/hw"r>[,)라는 표현들이 구약의 본문들에서 사용된 문맥을 필자는 무엇보다도 먼저 특히 주목했으며, 구약의 본문들 자체가 그 표현들의 의미를 명백하게 하려고 병치하거나 결합한 표현들도 간과하지 않았다.
“하체를 드러내다”라는 표현이 구약에서 가장 많이(12번) 사용된 레위기 18:6-19는 그 시작(6절)과 끝(19절)이 ‘카라브/br;q' 기본형 능동태+엘/lae + 갈라/hl;';G' 강세형 능동태 부정사 연계형+에르바/hw"r>[,’로 봉입구(封入句, inclusio)를 이루어 6-19절을 하나의 단락으로 묶고 있는 동시에 7-18절 전체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카라브/br;q' 기본형 능동태+엘/lae’은 “~에게 (성적으로) 가까이하다”(창 20:4; 레 18:6, 14, 19; 20:16; 신 22:14; 사 8:3; 겔 18:6 등)를 의미하기에, 그것은 ‘갈라/hl;';G' 강세형 능동태 부정사 연계형+에르바/hw"r>[,’(to uncover nakedness)에 분명한 의미를 부여하는 문맥의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카라브/br;q' 기본형 능동태+엘/lae + 갈라/hl;';G' 강세형 능동태 부정사 연계형+에르바/hw"r>[,’는 “~에게 가까이하여 하체를 드러내다/범하다”를 의미하게 된다.
이 단락의 시작인 6절과 끝인 19절이 이 단락의 전체적인 문맥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7절에서 두 번, 그리고 8-13절의 각 절마다 한 번 사용한 “하체를 드러내다”라는 표현은 성범죄를 뜻할 수밖에 없다. 14절은 “하체를 드러내다”라는 표현을 “~에게 (성적으로) 가까이하다”는 표현과 병치하고 있으므로 이 단락의 시종(6절과 19절)과 절묘한 교차대구를 이루어 이 단락 전체를 하나의 견고한 문학적 구조물로 형성하고 있다. 그 후 또 다시 “하체를 드러내다”라는 표현을 15절에서 두 번, 16절에서 한 번, 그리고 17절 상단에서 한 번 사용하고 있으므로, 그것은 불법적인 성관계를 뜻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하체를 드러내다”라는 표현의 의미가 이미 명백해진 상황에서 17절 하단과 18절은 그것을 또 다른 표현과 결합하여 그 의미를 또 다시 명백히 하고 있는데, ‘라카흐/xq;l' 기본형 능동태 + 갈라/hl;';G' 강세형 능동태 부정사 연계형+에르바/hw"r>[,’가 바로 그것이다. ‘라카흐/xq;l' 기본형 능동태’(“취하다”)는 결혼으로 아내를 취하는 용례(창 4:19; 6:2; 11:29; 12:19; 20:2, 3; 21:21; 24:4, 7, 38, 40, 48; 렘 29:6 등)가 있으므로 성적 함의가 있는데, 적법한 결혼이 아니라면 그것은 성범죄에 해당한다. 따라서 ‘라카흐/xq;l' 기본형 능동태’는 ‘갈라/hl;';G' 강세형 능동태 부정사 연계형+에르바/hw"r>[,’에 분명한 의미를 부여하는 문맥의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그 결합 형태는 “취하여 하체를 드러내다” 즉, “취하여 하체를 범하다”를 의미한다. 또한 ‘라카흐/xq;l' 기본형 능동태’의 성적인 함의는 17절 전체의 교차대구를 통해 부각되어 있기도 하다.
구약에서 레위기 18장 다음으로 “하체를 드러내다”라는 표현이 많이 나오는 레위기 20:10-21도 그 시작(10절)이 “간음하다”라는 표현[2x]과 “간부” 및 “음부”를 언급하고 있고, 그 끝(21절)은 성범죄를 뜻하는 “취하다”와 “하체를 드러내다”의 병치가 있으므로, 이 단락의 의미에 대한 전체적인 문맥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11-20절에는 “취하다”와 “하체를 드러내다”라는 표현들이 각각 단독으로 14절과 19절에서 한 번밖에 사용되지 않았지만, 다른 표현들과 결합되거나 병치되어 여러 번 나온다. 의미심장하게도 “동침하다”(샤카브/bk;v' 기본형 능동태)라는 표현이 “하체를 드러내다”라는 표현과 병치되어 11-20절의 시작(11절)과 끝(20절)에 사용되어 봉입구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그 표현들은 병치되어 18절에도 나오므로, 18절과 20절은 19절의 “하체를 드러내다”를 중심에 두고 교차대구를 이루고 있어 “하체를 드러내다”가 성범죄를 의미함을 명백히 하고 있다.
“하체를 드러내다”라는 표현이 에스겔 22:10에서는 “구합하다”로 번역된 또 다른 표현인 ‘아나/hn'[' 기본형 능동태+버/B.’와 병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체를 드러내다”와 유사한 표현으로서 근친상간과 관련된 것은 ‘갈라/hl;';G' 강세형 능동태+아비의 카나프/@n"K'’(신 22:30[H 23:1]; 27:20)인데, “아비의 하체를 드러내다/범하다”는 의미이다. 그런데 바로 이 표현조차도 성관계와 관련된 다른 표현들, 즉 신명기 22:30[H 23:1]에는 “취하다”의 ‘라카흐/xq;l' 기본형 능동태’, 27:20에는 “~와 동침하다”의 ‘샤카브/bk;v' 기본형 능동태+임/~[i’과 병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하체를 드러내다”(갈라/hl;';G' 강세형 능동태+에르바/hw"r>[,)라는 표현은 불법적인 성관계의 전체 문맥을 통하여 그리고 성관계를 나타내는 다른 표현들과의 병치나 결합을 통하여 비로소 성범죄의 의미를 갖게 되는 것임이 분명히 확인되었다. 심지어 “하체가 드러나다”(갈라/hl;';G' 기본형 수동태+에르바/hw"r>[,, 사 47:3)라는 표현도 “하체를 드러내다”와 같은 방식으로 그 의미가 분명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특히 “너는 층계로 내 단에 오르지 말라. 네 하체가 그 위에서 드러날까 함이니라.”는 출애굽기 20:26은 “하체가 드러나다”라는 표현을 성소의 문맥에서 문자 그대로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창세기 9:21의 경우에는 “하체를 드러내다” 또는 “하체가 드러나다”라는 표현도 아니고, ‘갈라/hl;';G'’라는 동사가 “하체”(에르바/hw"r>[,)라는 명사와 결합되어 있지도 않으며, 노아가 주어인 ‘갈라/hl;';G' 재귀형’(uncover himself)이다. 이것은 ‘성관계를 위한 의도로 남을 벌거벗기는 것’이 아니라 ‘성관계를 위한 의도와 상관없이 스스로 벌거벗는 것’이다. 그 문맥 자체도 성관계를 암시하거나 명시하는 문맥이 전혀 아니므로, 본문의 명백한 진술 그대로 노아가 포도주를 마시고 취한 결과 술기운에 몸이 뜨거워져 너무 답답해서 스스로 벌거벗었을 것이다.
창세기 9:22에 “아비의 하체를 보다”라는 표현이 나오기 때문에 “하체를 보다”(라아/ha'r' 기본형 능동태+에르바/hw"r>[,)라는 표현을 구약의 본문들과 그 문맥에서 자세히 살펴보았다. 레위기 20:17은 “누구든지 그 자매 곧 아비의 딸이나 어미의 딸을 취하여[라카흐/xq;l' 기본형 능동태] 그 여자의 하체를 보고[라아/ha'r' 기본형 능동태+에르바/hw"r>[,] 여자는 그 남자의 하체를 보면[라아/ha'r' 기본형 능동태+에르바/hw"r>[,] 부끄러운 일이라 그 민족 앞에서 그들이 끊어질지니 그가 그 자매의 하체를 범하였은즉[갈라/hl;';G' 강세형 능동태+에르바/hw"r>[,] 그 죄를 당하리라.”라고 근친상간의 성범죄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언급하고 있다. 그런데 레위기 20:17은 이미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레위기 20장 전체의 성범죄 문맥에 들어있을 뿐만 아니라 “하체를 드러내다/범하다”라는 표현이 “취하다”라는 표현과 병치되어 있으므로 성범죄를 의미하는 것이 확실하다. 게다가 “하체를 보다”(라아/ha'r' 기본형 능동태+에르바/hw"r>[,)라는 표현은 그 표현들과 병치되어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표현들의 중심에 놓여 있기 때문에, 성범죄를 의미하는 것이 너무나도 분명하다.
그러나 창세기 9:22의 “하체를 보다”라는 표현은 그 문맥도 성범죄 문맥이 아닐 뿐만 아니라 성범죄 의미의 다른 표현들과 병치되거나 결합되어 사용되지 않았다. 게다가 레위기 20:17에는 ‘남자가 여자의 하체를 보고 여자가 남자의 하체를 보는 것’을 근친상간의 성범죄로 묘사하고 있지만, 창세기 9:22에는 함이 그 아비(노아)의 하체를 보았다고 언급되어 있지만 노아가 함의 하체를 보았다는 언급은 없다. 부친과의 근친상간의 성범죄를 함이 범했다고 주장하는 이들은 노아가 만취하여 인사불성이 되었기 때문에 함의 하체를 볼 수 없었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사건은 근친상간의 성범죄 사건이 아님이 이미 밝혀졌다고 볼 수 있지 않는가? 창세기 9:23은 “셈과 야벳이 옷을 취하여 자기들의 어깨에 메고 뒷걸음쳐 들어가서 아비의 하체에 덮었으며 그들이 얼굴을 돌이키고 그 아비의 하체를 보지 아니하였더라.”고 묘사하고 있다. 22절에서 함이 ‘아비의 하체를 보았다’는 표현을 근친상간의 성범죄로 해석한다면, 그 표현과 정반대인 23절의 셈과 야벳이 아비의 ‘하체를 보지 않았다’는 부분은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그리고 23절에서 그들이 옷으로 아비의 ‘하체를 덮었다’는 부분은 어떻게 해석할 수 있겠는가? 그들이 옷을 “자기들의 어깨에 메고 뒷걸음쳐 들어가서”라는 부분과 “그들이 얼굴을 돌이키고”라는 부분은 또 어떻게 해석해야 할 것인가? 이 질문들과 함께 특히 에스겔 16:8의 “내가 … 내 옷으로 너를 덮어 벌거벗은 것을 가리고 네게 맹세하고 언약하여 너로 내게 속하게 하였었느니라.”는 말씀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이것들 모두 당연히 문자적인 의미 그대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면밀한 연구들을 통하여 볼 때, 창세기 9장 후반부의 사건, 즉 노아의 만취, 함의 범죄, 그리고 가나안의 저주 받음은 성범죄와 전혀 상관없이 문자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사건임이 분명하다. 함이 우연히 노아의 하체를 보고 형들에게 이야기함으로써 가나안이 엄청난 저주를 받은 사실 때문에, 그것도 그 사건 자체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가나안이 그 아비 함으로 인해 저주를 받은 것 때문에 다양한 해석들이 생겨나게 되었으나, 이 사건은 이미 18절의 “함은 가나안의 아비라.”는 언급에 복선(伏線)이 깔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18절에서 ‘셈은 누구의 아비이고 야벳은 누구의 아비라’는 언급이 없을 뿐만 아니라 22절의 “가나안의 아비 함”은 18절의 “함은 가나안의 아비라”와 교차대구를 이루고 있으며, 게다가 저주를 함이 아니라 사건에 등장하지도 않는 가나안이 받기 때문이다.
노아가 “포도주를 마시고 취하여 그 장막 안에서 벌거벗은”(21절) 것은 확실히 그의 실책이요 과실이었다. 더욱이 이 사건의 단초를 제공했으니 말이다. 그러나 노아의 실책을 사태로 증폭시킨 장본인은 함이었다. 술이 깬 노아가 “그 작은 아들[즉, 막내아들 함]이 자기에게 행한 일을 알”게 되었다(24절). 여기서 함이 “자기에게 행한 일”(문자적으로는, “자기에게 행한 것”)은 “함이 그 아비의 하체를 보고 밖으로 나가서 두 형제에게 고하”여(22절) ‘영적 권위자’인 아버지에 대한 사랑과 존경으로 그의 과실과 실책을 덮어주지 않고 그의 명예와 권위를 훼손하고 실추시킨 것이다. 바로 이 점에서 함의 처신은 23절에서 형들인 셈과 야벳이 취한 처신과 극적인 대조를 이루었다. 함의 바로 이 처신으로 인해 불행하게도 그의 아들 가나안이 저주를 받게 되었던 것이다.
하나님이 노아와 그 아들들(셈, 함, 야벳)에게 복을 주셨으므로(창 9:1), 노아는 하나님이 축복하신 함을 저주할 수 없었던 것이다.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하신 창세기 12:2-3 상단의 말씀과 선지자 발람이 민수기 23:9과 24:9 하단에서 한 말에 비춰볼 때도 그렇다. 따라서 노아는 함의 품성을 물려받을 함의 아들 가나안을 함 대신에 ‘예언적으로’ 저주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Reconsidering Noah’s Drunkenness and Its Relevant Event (Gen 9:20-27)
Kye Sang Ha, Ph. D.
Professor, Sahmyook University
Various interpretations have been presented in regard to the event of Genesis 9:20-27, that is, Noah’s drunkenness, Ham’s sin, and Canaan’s being cursed, due to its intractable causality. The main issues of the study/debate on it are “What was the specific sin of Ham in relation to Noah?” and “Why was Canaan cursed in spite of having nothing to do with it?” The interpretation that has been getting more convincing lately is that of Ham’s sexual crime,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joint sexual crime has most recently been offered in regard to Cannan’s curse.
The fact that Noah, who awoke from his wine, knew what his youngest son had done to him (Gen 9:24), is presented as a key reason for interpreting Ham’s crime as a sexual offense crime. ‘‘āśâ-lô/Al-hf'['’(“did to him”) here means that Ham actively did something to drunken Noah, and the fact that Noah, who became sober, knew it and cursed Ham is because of Noah himself recognizing that he had become a victim of the act, and it was a sexual act. The expression ‘Ham saw the nakedness of his father’(verse 22) is regarded as an idiomatic expression of sexual relations, and Ham’s crime is interpreted as incestuous to his father, and Leviticus 20:17, which uses ‘see the nakedness’ and ‘uncover the nakedness’ as synonyms by parallelism, is presented as a conclusive evidence. Besides, it is asserted that Noah ‘uncovered himself’ means a sexual relation, that the Hebrew verb hl;';G'/gālâ (“uncover”)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Hebrew noun hw"r>[,/‘erwâ (“nakedness”) to describe illegal sexual relations in many verses in the Old Testament, and that its most representative case is Leviticus 18:6-19 and 20:11, 17-21, which is the prohibition law against incest. It is argued that hl;';G'/gālâ is used with the meaning of sexual relations in every verse of these passages, that the Hebrew verb is used in combination with @n"K'/kānāp(“wing, end, skirt, nakedness) and interpreted into “uncover the nakedness” in Deuteronomy 22:30[H 23:1] and 27:20, which prohibit incest especiall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that it is used in the same way in Ezekiel 16:36-37, 22:10, and 23:10, 18, 29 and so forth. Therefore, Noah’s uncovering himself is not considered as uncovering himself simply but as a sexual act.
I reconsidered the interpretation problem of Genesis 9:20-27 not only by closely reading the Hebrew text of Genesis 9:20-27 as the final form from a synchronic/literary perspective but also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an inter-textual interpretation of the text done in association with other texts that have been claimed to be relevant. First of all, I especially paid attention to the context in which the Hebrew expressions “uncover the nakedness”(gālâ/hl;';G' Piel active+‘erwâ/hw"r>[,) and “see the nakedness” (rā’â/ha'r' Qal active+ erwâ/hw"r>[,) are used in relation to sexual crimes in the texts of the Old Testament. I did not overlook the expressions to be juxtaposed or combined which the texts of the Old Testament themselves intend to clarify the two Hebrew expressions.
Leviticus 18:6-19, where the expression “uncover the nakedness”(gālâ/hl;';G' Piel active+ ‘erwâ/hw"r>[,) is most frequently (12x) used in the Old Testament, makes its beginning (verse 6) and end (verse 19) an inclusio, where the sexually suggestive expression ‘br;q' /qārab Qal active+lae/’ēl (“[sexually] approach”) is placed just before ‘hl;';G'/gālâ Piel active inf. cstr.+hw"r>[,/erwâ’. Thus the inclusio not only binds the verses 6-19 as a unified section but also provides the context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verses 7-18 as a whole. Therefore, the expression “uncover the nakedness”(gālâ/hl;';G' Piel active+ ‘erwâ/hw"r>[,) cannot help but mean sexual crime (verses 7[2x], 8-13).
Verse 14 places the expression “uncover the nakedness”(gālâ/hl;';G' Piel active+ ‘erwâ/hw"r>[,) just before the expression ‘br;q'/qārab Qal active+lae/’ēl (“[sexually] approach”), making a chiasm with the beginning (verse 6) and end (verse 19) of this section, and thus the whole section forms a solid literary structure. After verse 14 the expression “uncover the nakedness”(hl;';G'/gālâ Piel active+hw"r>[,,/‘erwâ) is used again (verses 15 [2x], 16, 17a), and thus it cannot help but mean illegal sexual relations.
Besides, verses 17b and 18 places another sexually connoted expression ‘xq;l'/lāqaḥ Qal active’ (“take”) just before the expression ‘hl;';G'/gālâ Piel active inf. cstr.+hw"r>[,/‘erwâ), and thus the combination form means “take and uncover the nakedness,” which is sexual crime.
Leviticus 20:10-21, where the expression “uncover the nakedness”(gālâ/hl;';G' Piel active+ ‘erwâ/hw"r>[,) occurs frequently next to Leviticus 18, has its beginning (verse 10) and end (verse 21) which provide the context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expression, and also juxtaposes it with another sexually connoted expression “lie with” (bk;v'/šākab Qal active, verses 11, 18, 20). In Ezekiel 22:10 it is juxtaposed with still another sexually suggestive expression, and even the expression ‘hl;';G'/gālâ Piel active+@n"K'/kānāp of his father (Deut 22:30[H 23:1]; 27:20), which means “uncover the nakedness of his father,” occurs in juxtaposition with other sexually connoted expressions (“take” or “lie with”).
Therefore, it is made clear that the expression “uncover the nakedness”(gālâ/hl;';G' Piel active+ ‘erwâ/hw"r>[,) comes to have the meaning of sexual crime only through its context of illegal sexual relations and its juxtaposition and combination with other sexually connoted expressions. The same is with even the expression “the nakedness is uncovered”(hl;';G'/gālâ Qal passive+hw"r>[,/erwâ, Isa 47:3).
In the case of Genesis 9:21, neither the expression “uncover the nakedness” nor the expression “the nakedness is uncovered” occurs, and the verb hl;';G'/gālâ is not coupled with the noun hw"r>[,/erwâ, and ‘hl;';G'/gālâ Hithpael’(uncover himself) with its subject Noah occurs. It is not to ‘uncover other people for sexual relations’ but to ‘uncover himself without any intentions of sexual offense.’ Even the context itself is not the context which neither hints nor specifies. Thus, as the text clearly states, Noah must have uncovered himself because he drank of the wine and got drunk, and as a result, he was so stuffy.
The expression “see the nakedness”(ha'r'/rā’â Qal active+hw"r>[,/‘erwâ, Gen 9:22) occurs in Leviticus 20:17, and that not only in the context of sexual crime of the chapter but also in juxtaposition with the expression “take”(xq;l'/lāqaḥ Qal active) and the expression “uncover the nakedness”(gālâ/hl;';G' Piel active+ ‘erwâ/hw"r>[,), and thus it means the sexual crime of incest. However, neither the expression “see the nakedness”(ha'r'/rā’â Qal active+hw"r>[,/‘erwâ) in Genesis 9:22 does have the context of sexual crime nor is it used in juxtaposition or combination with other expressions of sexual offense. Naturally Genesis 9:23 (cf. Ezek 16:8) should be literally interpreted.
Therefore, from these close studies, it is clear that the event of the latter part of Genesis 9, Noah’s intoxication, Ham’s crime, and Canaan’s curse, is one that must be understood in a literal way, regardless of sex crimes. Noah’s “drinking of the wine, becoming drunk, and uncovering himself in the tent”(verse 21) was certainly his mistake and fault. What’s more, it provided the very beginning of the case. However, it was Ham who amplified Noah's error into the situation. Noah, who became sober, came to “know what his youngest son had done to him”(verse 24). What Ham did to him here was to ‘see the nakedness of his father and to tell his two brothers outside’ (verse 22), and thus to undermine and tarnish his honor and authority, although it was so natural that he covered up his father’s fault and mistake out of his love and respect for his father who is a spiritual authority. Ham’s behavior in this regard was in stark contrast to the actions taken by his older brothers Sam and Japheth in verse 23. This very act of Ham unfortunately led to the curse of his son, Canaan.
Because God blessed Noah and his sons (Gen 9:1), Noah could not curse Ham who God blessed. It is so also in light of God’s promise to Abraham in Genesis 12:2-3a and the prophet Balaam’s words in Numbers 23:9 and 24:9b. Therefore, Noah ‘prophetically’ cursed Ham’s son, Canaan who would inherit the character of Ham.
해피캠퍼스에서는 자료의 구매 및 판매 기타 사이트 이용과 관련된 서비스는 제공되지만, 자료내용과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는 안내가 어렵습니다.
자료에 대해 궁금한 내용은 판매자에게 직접 게시판을 통해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1. [내계정→마이페이지→내자료→구매자료] 에서 [자료문의]
2. 자료 상세페이지 [자료문의]
자료문의는 공개/비공개로 설정하여 접수가 가능하며 접수됨과 동시에 자료 판매자에게 이메일과 알림톡으로 전송 됩니다.
판매자가 문의내용을 확인하여 답변을 작성하기까지 시간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휴대폰번호 또는 이메일과 같은 개인정보 입력은 자제해 주세요.
※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찾으시는 자료는 이미 작성이 완료된 상태로 판매 중에 있으며 검색기능을 이용하여 자료를 직접 검색해야 합니다.
1. 자료 검색 시에는 전체 문장을 입력하여 먼저 확인하시고
검색결과에 자료가 나오지 않는다면 핵심 검색어만 입력해 보세요.
연관성 있는 더 많은 자료를 검색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검색결과가 너무 많다면? 카테고리, 기간, 파일형식 등을 선택하여 검색결과를 한 번 더 정리해 보세요.
2. 검색결과의 제목을 클릭하면 자료의 상세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썸네일(자료구성), 페이지수, 저작일, 가격 등 자료의 상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으며 소개글, 목차, 본문내용, 참고문헌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검색기능을 잘 활용하여 원하시는 자료를 다운로드 하세요
자료는 저작권이 본인에게 있고 저작권에 문제가 없는 자료라면 판매가 가능합니다.
해피캠퍼스 메인 우측상단 [내계정]→[마이페이지]→[내자료]→[자료 개별등록]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 자료등록 순서는?
자료 등록 1단계 : 판매자 본인인증
자료 등록 2단계 : 서약서 및 저작권 규정 동의
서약서와 저작권 규정에 동의하신 후 일괄 혹은 개별 등록 버튼을 눌러 자료등록을 시작합니다.
①[일괄 등록] : 여러 개의 파일을 올리실 때 편리합니다.
②[개별 등록] : 1건의 자료를 올리실 때 이용하며, 직접 목차와 본문을 입력하실 때 유용합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