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農巖 金昌協의 建築記에 나타난 문장기법 연구 (The sentence technique research which appears from 『Gunchookgi』 of Kim ChangHyeop(Nong-am))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09.05
27P 미리보기
農巖 金昌協의 建築記에 나타난 문장기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漢字漢文敎育 / 1권 / 22호 / 339 ~ 365페이지
    · 저자명 : 오석환

    초록

    기(記)라고 하는 문장은 기록하는 바의 대소사(大小事)에 따라 뜻을 취함이 다르고, 돌에 새기지 않는 것이 원칙인 것이다. 고대에는 기(記)는 기사(紀事)로 주를 삼았고, 한유 이후로 구양수와 소식에 이르러 의론을 섞는 변화가 생긴 것이다. 기(記)는 어떤 사건의 시말을 기록한 것이고, 견문이 미친 것을 서술한 것이다.
    농암은 건축기에서 문장기법을 사용함에 첫째로 종종 사물로 연유하여 논리에 이르는 경우가 있는데, 사물과 이치가 하나를 이루고 있다.
    먼저 「삼일정기」에서 ‘삼일(三一)’이란 이름이 세 개의 기둥과 한 개의 용마루에서 찾고, 여기에서 천지인(天地人)의 삼재(三才)를 생각하고 일리(一理)를 생각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청청각기」에서는 ‘백운산의 형세가 그 봉우리와 고개가 높고 험하며 물과 계곡이 깊숙하다.’하고, 이어서 그 물과 돌과 산물의 자세함을 하나도 빠뜨리지 않고 묘사함으로써 은근한 가운데 눈각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 누각의 이름이 ‘청청(淸淸)’인 까닭을 누각이 세워진 곳의 풍경과 누각의 모양, 그리고 누각 주인의 행동거지에서의 맑음에서 찾고 있다.
    「제월당기」에서는 당(堂)의 주인이 ‘당세에 뜻이 없어, 여러 번 벼슬이 내렸으나 높게 누워 일어나지 않았고, 우유하고 한연하여서 그 뜻에 맞았으니, 무릇 세상의 얻음과 잃음, 기쁨과 슬픔이 마음속에 걸리는 것이 이미 적었다.’하고, 이로써 ‘제월(霽月)에 특별히 만남이 있으면 완상함을 얻어서 이 당(堂)의 위에서 즐거워할 수 있다.’고 하였다.
    둘째로 농암의 문장은 주관적 정의를 표현하는 것을 위주로 하면서도 충실히 객관적으로 실제 생활을 묘사하여, 논리가 손을 따라 물드는 듯하다.
    먼저 「청청각기」에서 비록 지경이 청(淸)하다 하여도 주인의 청(淸)이 없으면 지극한 청(淸)이 아니라며, 주인의 사람됨이 ‘온화하고 소박하며 담박하여 세리에 담담하다’ 하여 청(淸)이라 하고, 뒤에 다시 ‘진실로 이로써 스스로 만족하지 않고 더욱 도의로써 스스로 탁마하여서 학(學)을 물어 소광한 원(原)에 도달하고, 잡고 보존하여 허명한 체(體)를 길러서 하여금 사물의 더러움을 씻어내고 가슴속을 쇄락하게 하여, 진실로 연평(延平)의 빙호추월(氷壺秋月)과 같이 할 수 있다면, 이는 세상의 지극한 맑음이라고 이를 수 있다’고 하였으니, 바로 누각의 이름을 ‘청(淸)’이라 하지 않고, ‘청청(淸淸)’이라고 한 까닭이 여기에 있을 것이라 하였다.
    「제월당기」에서는 인간이 천기(天機)와 하나가 될 수 있는 것은 ‘반드시 그 「귀거래부」를 지은 사람인 뒤에야 북창(北窓)의 바람이 서늘할 수 있고, 반드시 그 「격양음」을 지은 사람인 뒤에야 낙양(洛陽)의 꽃을 볼 수가 있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것이 바로 송후곡(宋後谷)에게 제월당이 있는 까닭이라는 것이다.
    농암의 건축기 문장은 건물을 짓게 된 동기와 건물의 구조 등을 서술하는 가운데, 때로는 사물과 이치가 하나가 되고, 때로는 논리가 손을 따라 물들면서, 농암 문장의 우수성과 문학성을 드러내는 최대의 효과를 노리고 있다.

    영어초록

    As an account the sentence which does according to various matters records taking an intention, means that the fact that in the pebble is different, does not carve principle. To ancient times an account makes a principal part at Collected a Korea initial fact and the book which published, Hanu comes with Guyangsu after that to reach to a news and means that the change which does happens a discussion. An account to describe the fact that the thing and the knowledge which record the beginning and end of what kind of event reach.
    Nong-am uses a sentence technique from 『Gunchookgi』 and first often from thing to begin there is a case which reaches to a logic, the thing and reason are accomplishing one.
    First from 「Samiljunggi」 `Samil' the name which is sought from three pillar, and one ridge thought Samje of Chunjiin from here and was made to think, a same reason and did.
    From 「Chungchunggakgi」, "The form of Bagounsan that peak and the head is rough highly" and where the water and the valley are deep; Does, is and that water and the pebble and the product is detailed and the middle eye cabinet meeting necessity which is polite depicts with emphasizes. Also, finds the reason where the name of Nugak is Chungchung from the scenery of the place which comes to build and the shape and clear from the behavior of the master.
    From 「Jewaldanggi」 master of house "There not to be a goal to that time, to give a various government post but lay down highly and did not happen not to be, state of world not to know was poor and was right in the intention, with getting, losing, with joy being sad, of the world and already wrote the fact that reaches on mind" and from this cause "Especially will be met, will get will do in Jewal and get enjoying and joyfully from up of this house there is a possibility which." Did.
    Second the sentence of Nongam the fact that and expresses a subjective justice an actual life objectively with putting first faithfully depicts, the logic follows the hand and stain does.
    The condition is clear does first though from 「Chungchunggakgi」 and when there is not a clear of the master and the clear which is extreme knows, is this mildness which becomes the person of the master and is simple and indifferent does andserenely in power because calls Chumg, and after "From this cause is not satisfactory truly oneself not to be and with morality polishes more and oneself learns and asks and to the origin which glitters, arrives catches, preserves and the form which is not substance and raises thing is dirty and washes and, heart refreshingly does if truly there is a possibility of doing with like Binghochuwal of Yeonpeong, finally the clear which the world is extreme where there is a possibility of saying" Does, the name rightly `Chung' this not to be, as `Chungchung' having one reason to here did.
    From 「Jewaldanggi」 the human being weather and being the possibility becoming one is same; Certainly being the possibility of seeing the flower of Luoyang after the weather which 「Gyeokyangeem」 that Bukchang wishes after the weather which makes 「Gyguleboo」 that to be a cool possibility. Consequently this rightly is to be a reason which is Jewaldang in Songhugok.
    Guchookgi sentence of Nongam when the writing that reason which has become act and the building, structural and so on is sometimes the thing and reason become one, the logic follows the hand sometimes and from the stain ground, aims the maximum effect which distinguishes the superiority and a literature of Nongam sent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字漢文敎育”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