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원주택의 자연경관 조망과 전망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atural Landscape View and Window View of Country House)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17.08
15P 미리보기
전원주택의 자연경관 조망과 전망창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2권 / 4호 / 119 ~ 133페이지
    · 저자명 : 전근형, 이재규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전원주택은 자연과 밀접하기에 자연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다. 자연경관은 보는 것 만으로도 스트레스가 해소되며, 자연경관을 지속적으로 조망하기 위함에는 창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본 연구를 통해 벽의 일부 로서 미학적 기치가 소멸되어온 건축적 요소로서 창의 가치를 재발견하려 함과, 조망을 목적으로 하는 창은 어떤 기준이 형성되 어있는지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자연경관에 대한 진화론적 고찰과 선행연구의 근거로서 자연경관 평가 기준을 재구성 하며, 자연경관 조망가치가 증대되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전원주택의 기준을 정립한다. 그리고 조망을 목적 으로 하는 공간적 요소인‘창’을 고찰하여, 사례분석을 통해 조망환경에 따른 창의 종류, 형태, 크기 등 공간 성격에 따라 달 라지는 창을 분석 하여 어떤 공간에서 어떤 창을 통해 조망하는 것이 가치 있는지 연구한다. (결과) 전원주택에서의 자연경관은 지형적 특이성을 갖고 있는 지역은 조망점으로부터 독특한 경관요소를 보기 쉬우며, 수공간이 잘 조망될수록 시각적 개방성이 뛰어나 탁 트인 경관을 보기 쉬웠다. 전체적으로 전망창은 빛의 유입이 유리한 조건일 때 창의 활용도를 끌어올려 좌우로 긴 수 평창이나 벽 자체를 고정창으로 하여 외부로부터 많은 빛을 유입시키며 넓은 파노라믹 경관을 설계하며, 실내라기보다는 내· 외부공간의 차단점이라는 느낌을 형성하여 개방성을 끌어올렸다. 반면 빛의 유입이 부족한 방위나 조건에서는 오히려 폐쇄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전망창을 수직창으로 빛의 유입을 최소화하여 외부 경관을 뚜렷하게 보이게 하며, 공간에 대한 감성적 행위를 끌어올리려고 하였다. (결론) 자연경관의 조망은 대체로 수공간이 조망되는 공간에서 상위등급의 경관이 도출 됐으며, 전원주택 의 조망환경 설계와 선택에 있어서 조망과 채광이 가능한공간은 수평창으로 그에 따른 밝은 공간과 개방감 그리고 신체적·심리 적 치유를 얻어갈 수 있으며, 채광 없이 조망만 되는 공간에서는 수직창으로 부터 어두움으로 시각적 경계가 모호해져 공간에 대 한 상상력을 증대시킴과 동시 렘브란트의 회화처럼 외부 경관을 차경 함으로써 더욱 더 아름답고 밝게 인식할 수 있는 조망효과 를 얻어갈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e pastoral house is in close proximity to nature amid favorable conditions to view the natural landscape. Stress is easily solved by looking at the surrounding natural scenery, and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is emphasized to continuously view natural scenery. This study aims to rediscover the value of creativity as an architectural element in which the aesthetic banner has been annihilated as part of the wall, and to analyze what criteria are formed in the windows for the purpose of viewing. (Method) In this study, we will reconstruct the natural scenery evaluation criteria as the basis of the evolutionary review of natural scenery, as well as examine the precedent study,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standard of the pastoral house when the value of the natural scenery view is increasing. The study then analyzes the window, which is a spatial element for viewing, evaluating each by spatial nature such as the type, form, and size according to the viewing environment, to determine which are worthwhile. (Result) As for the natural landscape around country houses, it is easy to see the unique landscape from the regions with geographical specialness. It is especially easy to see wide vistas such as open fields, mountain valleys, or bodies of water. As a whole, the viewing window was designed to allow a wide panoramic landscape and to introduce a lot of light from the outside by using the long horizontal window (or the wall itself) to control the flow of light. It enhanced the openness by forming a feeling of creating a boundary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space rather than just being in one or the other. On the other hand, for directions or conditions where the inflow of light was insufficient, to maximize the closeness, the view window could be set up vertically to minimize the inflow of the light, which made the outside view very clear to raise the emotional impact of the space. (Conclusion) Horizontal viewing windows are usually found facing wide, attractive, natural landscapes, and are designed into many pastoral house to allow for bright space, openness, a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ing. In a space where the views let in little or no light, the windows are often set vertically, with the visual boundaries obscured by darkness, turning the distant outer landscapes into gold-tinged Rembrandts, thereby gaining a more beautiful and more recognizable vista eff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