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10년대 국외 ‘애국창가’에 대한 음악학적 연구 –하와이판 "애국창가"(1916)를 중심으로– (A Musical Studies on 1910s Overseas Korean’s "Aegug Changga"(1916) of Honolulu, Hawaii)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20.01
28P 미리보기
1910년대 국외 ‘애국창가’에 대한 음악학적 연구 –하와이판 "애국창가"(1916)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78호 / 175 ~ 202페이지
    · 저자명 : 김보희

    초록

    본 논문에서는 1916년 하와이판 『애국창가』(1916)를 중심으로 북간도 광성중학교 『최신창가집』(1914), 1910년 초에 필사본으로 기록된 손봉호 편 필사본 『창가』(1910), 안수산 소장본 『구한말 애국창가집』, 손승용 편 필사본 『창가집』와 명동학교 『신찬창가집』(1913) 등이 1910년대 ‘애국창가’를 싣고 있는 창가와 『신한민보』에 수록된 창가를 연구하였다.
    하와이판 『애국창가』(1916)와 광성학교 『최신창가집』(1914)의 수록된 곡을 비교하고 위에서 열거한 6개의‘창가집’과 『신한민보』에 수록된 독립운동가요 레퍼토리를 분석하여 1910년대에 가장 많이 부른 대표적인 ‘애국창가’에 나타나는 음악 장르적 특징을 연구하였다.
    『애국창가』 가사의 주제적 특성은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독립정신을 요구하는 애국적인 내용이 가장많다는 것이다. <애국가>, <정신가>, <국민가>, <보국가>, <국기가>, <단군가>, <한반도가>, <경축가>, <국민회가> 등 『애국창가』의 주제는 애국, 자주, 독립 등 한인의 정체성을 강조한 것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둘째, 애국·계몽·교육적인 주제가 많다. <부모 은덕가>, <사의 은가>, <수신가>, <산보가>, <운동가>, <전진가>, <소년남자가>, 등의 애국·계몽·교육을 위한 노래의 특징은 창가 풍의 노래로 작곡된 곡들이 많다.
    셋째, 서양음악인 기독교음악의 영향을 받아 내용이 종교적이다. 그러나 주제는 독립, 자유와 해방을 기원하고, 빼앗긴 나라를 구원해 달라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본 연구에서 하와이판 『애국창가』에 실린 77곡 곡조의 저본을 고찰하기 위해 광성학교 『최신창가집』을 음악적으로 분석한 결과 『애국창가』 77곡 중 42곡이 가사와 곡조가 같은 곡이며 그 외 광성학교 『최신창가집』 (1914)의 같은 곡조를 사용하고 유사한 노래 제목을 부친 곡이 13곡이다. 그러므로, 총 77곡 중 55곡이 같은선율을 사용한 곡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광성학교 『최신창가집』(1914)보다 2년 후에 편찬된 하와이판『애국창가』(1916)는 광성학교 『최신창가집』을 저본으로 편찬되었을 가능성이 아주 높다.
    개화기 창가는 서양 찬송가의 영향과 더불어 일본창가의 영향을 받었다. 애국창가 중에서 많은 곡이 오오노우메와카 작곡 <철도창가>는 <학도가>와 <성경목록가>, <중국의 학당악가> 등 이 시기의 창작된 독립운동가요 중 가장 많은 곡에 영향을 주었다. 타나카 호즈미(田中穂積) 작곡 <아름다운 천연>은 한인들에게 <망향곡>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하와이판 『애국창가』(1916)에서는 찬송가로 <구쥬셩탄가>, <구쥬젼쟁가> 선율에<망향가> 선율을 차용해서 노래했다. 결과적으로 『애국창가』(1916)의 대부분의 곡조가 새로 창작된 창가가 아니라 대부분 기존의 찬송가와 일본창가, 그리고 외국의 민요선율을 차용하여 독립운동과 계몽운동에 필요한새로운 가사를 지어 노래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음악학적 분류(민요풍의 노래, 창가풍의 노래, 찬송가풍의 노래)에 관한 연구로 앞으로 한국의전통음악이 서양음악을 수용하면서 나타나는 음악적 변용을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surveys songs in the collections of various Changga centering on the Hawaii version of Aegug Changga (1916) and other changga preserved by Choishin Changa (1914) at the Gwangseong Middle School in Manchuria(1914), the Changazip hand copied by Shon Bong-ho (1910), Late Joseon Aeigug Changga in possession of An Su-san,  the Changgajip copied by Son Seung-yong and Sin-Changgajip at Myeongdong School(1910) as well as Sinhanminbo(Sinhan People’s Newspaper.
    The author compared the lists documented in Hawaii version of Aegug Changga(1916) with those of Choisin Changgazip(1914) and analyzed the repertoires of independent movement songs.
    As a result, the author found which  Aegug Changga was more popular one among the numerous songs archived in the aforementioned collections and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genre appeared in them.
    The thematic characteristics of Aegug Changga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irst, the key concept that appears most frequently in the text of Changga is mainly “the love for motherland with an emphasis of patriotic spirit, autonomy and independence: In aeguggka, jeongshinga, gugminga, bogugga, guggiga, dandgunga, habandoga, gyeongchuckga, gugminhoiga the Korean’s national identity can be confirmed. A second theme that can be found in the text of Changga is “education or enlightenment”: the texts of bumoeundeokga, saeui eunga, susinga, sanboga, undongga, jeonjinga, sonyeonnamjaga indicates how much Koreans were eager to advance their knowledge and education. The last thematic character appeared in the songs is a religious color.
    However, one common subject underlying the songs was the Koreans’ fervent desire for independence, freedom and liberation by regaining their sovereignty from the Japanese rule.
    This paper concluded that the Hawaii version of Aegug Changga(1916) must have been developed from Choishin Changgajip at Gwangseong School because 42 songs out of 77 songs in Aegug Changga are identical with the song appeared in Choishin Changga Collection(1914); moreover, there are 13 songs which used similar song titles or adopted the same melody, which means 55songs among 77 songs have a somewhat similar feature.
    Some Korean Changga was influenced by Japanese Changga as much the western music style of hymns. Cheoldo Changga(Train song) composed by Oono Umewaka has influenced Seonggyeongmogrogga hakdoga, Seonggyeongmogrogga, and Chinese hagdangagga to a substantial degree. <Beautiful Nature> composed by Tanaka Hozumi has been known as Manghyangga (Homesick Song) among Koreans, and it is interesting to see Aegug Changga(1916) adopted the melodies of the melodies of Manghyangga to the hymns, Gujuseongtanga and Gujujeonjangga.
    In conclusion, many of the Korean songs listed in the collection of Changgazip cannot be considered as original song but instead they were ‘remake songs’ with new texts using the existing melodies of hymns, Japanese Changga and/or western folk songs to boost the Koreans’ independence spirit and promote enlightenment. This study contributes to classifying the pre-modern songs in the early 1900s (folk songs, Changga and hymn style songs), so it can support the future research on musical transformation from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o modern Korean mus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