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결성 수준에 따른 운동유형의 선택이 참가자의 심리·생리적 효과와 지속실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Choice of Exercise Mode of Participants’ Psychological, Physiological Effectiveness and Adherence on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13.10
13P 미리보기
자결성 수준에 따른 운동유형의 선택이 참가자의 심리·생리적 효과와 지속실천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운동학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 15권 / 4호 / 75 ~ 87페이지
    · 저자명 : 문창일

    초록

    [서론] 본 연구의 목적은 내․외동기 수준에 따른 신체활동의 선택이 운동참가자의 심리적․생리적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관찰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연구 참가자는 대학생 7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탈락자를 제외한 6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실험절차는 문창일(2011)과 Parfitt & Gledhill(2004)의 방법을 따랐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해 기초기술통계와 탐색적 요인분석(EFA), Cronbach' α값을 구하였고, 일원반복측정분산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신체활동에 따른 정서경험은 자결성 집단(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긍정적 정서경험은 더 높게 지각하고, 부정적 정서경험은 더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결성 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내적동기는 높고, 외적동기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결성 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운동행동변화 수준이 더 높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간의 흐름에 따른 운동정서의 변화에서 자결성 집단은 비교집단과 각성수준(FAS)의 증감은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감정수준(FS)에서 더 큰 증가폭과 지속시간을 보였다. 다섯째, 자결성 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동일한 강도에서 운동강도(RPE)를 더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운동기간의 변화에 따라 자결성 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생리적 변인에서 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24주간의 정기적인 운동은 실험참가자들에게 정량적인 신체적 변화를 가져왔다. 마지막으로 자결성 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운동참가율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내적으로 동기화된 자결성 집단은 대부분의 요인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 운동참가자를 지도하는 코치는 자결성 이론의 원리를 바탕으로 참가자들의 호기심 자극이나 내적동기화를 이루기 위한 환경 조성에 노력하여야 한다.

    영어초록

    [INTRODUC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test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selected by the level of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on psychological (emotion, motivation, arousal level), and physiological changes (HR, RPE)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se changes in the long-term point of view. [METHOD] 70 college students were participated and data from 64 subjects were analyzed with a dropout of 6 subjects. Experimental procedure was refer to the method of Moon(2011) and Parfit & Gledhill(2004).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Cronbach’s alpha, one-way repeated measures ANOVA, independent t-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19.0 for Windows), and a prior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s p<.05. [RESULT] The results are showed as follow: First, the emotion experience in preference exercise mode group appeared to have higher perceptive of positive emotion experience and lower perceptive of negative emotion experience than emotion experience in non-preference exercise mode group in physical activity. Second, the preference exercise mode group revealed higher of internal motivation and lower of external motivation than non-preference exercise mode group. Third, the preference exercise mode group presented higher increase in stage of exercise behavior change than non-preference exercise mode group. Fourth, the preference exercise mode group in change of exercise emotion showed a larger increase and duration in feeling scale (FS), and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felt arousal scale (FAS) were similar with non-preference exercise mode group. Fifth, the preference exercise mode group revealed to lower perceptive of exercise intensity than with non-preference exercise mode group at the same intensity. Sixth, the preference exercise mode group in change of exercise duration appeared to have more a positive effect on the physiological variables than non-preference exercise mode group. 24 weeks of regular exercise to the participants brought a qualitative change in the change of physical. Finally, the preference exercise mode group was superior to exercise participations than non-preference exercise mode group. [CONCLUSION] Self-determination group had higher positive effect than comparison group for all factors. Therefore, coach should understands principle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ry in curiosity encouragement of exercise participants or environment furtherance to accomplish internalized motiv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