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온라인 예술교육 회화클래스 플랫폼 현황 및 참여자의 교육 참여후기 분석 (An Analysis the Online Arts Education Status and the Participation Reviews on the Painting Class Platform)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21.03
17P 미리보기
온라인 예술교육 회화클래스 플랫폼 현황 및 참여자의 교육 참여후기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교육연구 / 19권 / 1호 / 17 ~ 33페이지
    · 저자명 : 이은경, 현은령

    초록

    본 연구에서는 변화하는 사회상에 발맞추어 생겨나고 있는 온라인 예술교육 회화클래스 플랫폼에 대한 현 황을 살펴보고, 그 참여자들의 교육 참여후기를 수집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첫 째, 온라인 예술교육 화화클래스 플랫폼은‘온라인교육, 온·오프라인 혼용, 실습키트(Kit)배송’과 같이 세 가지 의 형태로 운영되며, 대다수가 반응형 웹(Responsive Web) 사이트로 구축되고 있었다. 둘째, 온라인 예술교 육 플랫폼 내 가장 많이 개설된 회화클래스는 수채화와 색연필 등을 이용한 것으로서, 숙련된 예술 활동보다는 보편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 플랫폼 대다수가 교육 참여후기 작성공간과 건의게시판을 따로 개설하여 플랫폼의 성격이 부정적으로 확산되는 요인을 차단하는 장치를 마련하고 있었다. 넷째, 교육 참 여 후기작성은 개설된 클래스 수와 비례하지 않았으며, 수업의 질 만족도에 따라 빈도수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수집된 참여 후기 중 96.9%가 긍정적 의견이었다. 이는 후기 작성이 대가성이 없는 자율 성이 기반하고 있으므로 참여자의 긍정적인 경험이 동기화되어 주로 작성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여섯째, 수 집된 교육 참여후기는‘교육 참여에 대한 감상(87.7%), 수업개선 의견(5,1%), 추천의사(2.8%), 정보전달 (2.5%), 재참여의사(1.6%), 기타(0.3%)’등의 일정한 패턴 6가지로 정리 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온라인 예술교육 회화클래스 플랫폼 교육 참여후기는 참여자의 내적동기화의 수준을 향상시키며, 제공되는 예술교육 에 대한 주의력과 만족도를 높이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최근 COVID-19로 인해 비대면 수업의 제한되 면서 예술교육 현장은 매우 위축되어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앞으로의 예술교육은 제공 자의 입장에서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질 확보에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예술교육 참여자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 그들의 자발적 소통과 참여가 활발히 일어나도록 도와야한다. 이 같은 노력은 현대사회에서의 예술의 가치와 역할을 확산시켜 예술을 통해 대중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present status of applying the painting class platform as the online art ed- ucation that is emerging in line with the changing social aspect, collected and analyzed the education participation reviews in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can be arranged as follows. First, the online art education platform was operated in three types such as ‘online education, on·offline mixture, prac- tice Kit delivery.’ Most of them were being implemented with the Responsive Web site. Second, the class, which was opened the most within the online art education platform, is the one of using water- color and colored pencils, thereby having tended to pursue the universality rather than the skilled ar- tistic activity. Third, the majority of platforms as the research subjects arranged the space of writing the education participation review and were encouraging its writing. Also, to minimize the negative contents, the separate opening in a bulletin board led to having been blocking a factor of being neg- atively spread a character of the platform. Fourth, it could be known that the participation review writing is not proportional to number of the opened classes, and that the frequency is shown differ- ently depending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a class. Fifth, 96.9% of the collected partic- ipation reviews were positive opinions. This is interpreted to be because the participants’ positive ex- perience is mainly synchronized to be drawn up as the review writing is based on autonomy without compensation. Sixth, the collected education participation reviews could be arranged with 6 con- sistent patterns such as ‘reviews of participate education(87.7%), the class improvement opinion(5.1%), the intention to recommend(2.8%), the information delivery(2.5%),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again(1.6%), others(0.3%).’ As the above, the participation reviews of the painting class education as the online art education could be expected the outcome that enhances the participants’ internal syn- chronization level and raises atten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offered art education. As a non-face-to-face class is restricted recently owing to COVID-19, the field of art education is in a very constrained situation. As examined in this study, the future art education needs to help them with voluntary communic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by listening to education participants’ stories, not focusing only on securing diversity and quality of a program from the position of a provider. This ef- fort will expand the value and role of art in modern society, thereby being expected to likely become a method available for increas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public in moder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