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 五臺山信仰에 나타난 占察禮懺의 내용과 성격 (The content and character of Jeomchal worship-repentance in the Shilla Odaesan faith)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09.12
28P 미리보기
新羅 五臺山信仰에 나타난 占察禮懺의 내용과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33호 / 49 ~ 76페이지
    · 저자명 : 박미선

    초록

    본 논문은 신라 오대산신앙의 특징을 讀經과 禮懺으로 보고, 그중에서도 신라불교 수용 이래 신앙되어 온 미륵보살 대신 지장보살이 등장한 점에 주목하여 남대 지장방에서 행해진 『지장경』과 점찰예참의 내용 및 그 성격을 살펴보았다.
    낮에 독경을 하고 밤에 예참을 행하는 의례는 적산 법화원에서도 행해졌던 것으로 신라의 불교의례로 볼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智顗의 참법에 의해 예참이 행해졌을 것으로 보았으나, 점찰예참에서는 ‘誦經’하는 智顗의 懺法과 달리 稱念名號가 행해졌다. 특히 낮에 독경을 하므로 밤의 예참 때 송경보다 稱念名號가 행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남대에 지장방이 두어진 것을 볼 때 『지장경』은 지장보살이 남쪽으로부터 왔다는 표현이 있는 『십륜경』으로 생각된다. 『십륜경』과 『점찰경』에서는 지장보살이 현재의 고통이나 재난 등에서 중생을 구제하는 지장보살의 공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는데, 이러한 현세이익적 성격을 신라 지장신앙의 특징으로 규정할 수 있다.
    한편 점찰법회는 과거의 선악업 관찰-참회 및 수계-과보 차별상의 관찰의 순서로 진행되는데, 오대산신앙에서는 점찰예참만 독립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는 점찰법이 자신의 숙세 선악업을 점쳐보는 방식에서 예참법으로 바뀌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변화는 7~8세기 아미타신앙의 유행으로 멸죄를 위한 ‘참회’가 강조되고, 여기에 새로운 밀교사상이 수용됨으로써 의례화가 이루어진 결과로 여겨진다.
    점찰법회를 처음 실시한 원광은, 당시 중국에서 『점찰경』의 유포가 금지되었기 때문에 이 경전을 가져오지 못했을 것이다. 그런데 오대산신앙에서 점찰예참이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점찰경』이 신라에 유입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元曉나 義寂의 저술에 『점찰경』을 인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7세기 중엽에는 이 경전이 신라에 전해졌을 것이며, 이후 경전을 바탕으로 하나의 의식・의례로서 점찰예참이 구체화되었을 것이다.
    오대산신앙은 ‘국왕은 千秋를 누리고, 백성은 평안하고, 文武는 화평하며, 百穀이 풍요할’ 것을 목적으로 한 국가적 의례의 결집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 『점찰경』 『십륜경』과 점찰예참이 포함되었다는 것은 점찰법회와 지장신앙이 신라사회에 널리 유포되었음을 말해준다.

    영어초록

    The present study was, assuming that reading a sutra and worship-repentance w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illa Odeasan Faith, to investigate the fact that chambers of Ksitigarbha of the south platform worshipping Ksitigarbha instead of Maitreya performed Ksitigarbha sutra reading and Jeomchal worship-repentance.
    The ritual reading a sutra at day time and performing worship- repentance at night time which was the characteristics of Shilla buddhist rituals, was performed also in the Lotus temple(法華院) in Chishan(赤山). The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the worship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pentance method of Zhiyi(智顗). However, when we reviewed the Jeomchal Sutra, repetition of the sacred name of Buddha was performed, in a different way of Zhiyi, chanting a sutra. In addition, reading a sutra at day time made repetition of the sacred name of Buddha at night time more valid than chanting a sutra. And, Ksitigarbha Sutra chanted in the south platform was thought to be Das'a-chakra-ksitigarbha-sutra(『十輪經』), because in the sutra, we can find the words that Ksitigarbha came from the southern area.‘
    Ksitigarbha of the Das'a-chakra-ksitigarbha-sutra and Jeomchal Sutra does not save the people of the hell, who was described as a bodhisattva saving the people of the present time from hard and unfortunate life. From this, we can find the Shilla Ksitigarbha Faith aimed for the benefit of present time.
    On the while, Jeomchal Buddhist Mass was progressed under the following orders: Observing the karma of the past; repenting the sin, receiving the commandment; and lastly, observing the retribution. However, in the Odeasan Faith, only Jeomchal worship-repentance was performed, independently. This shows that Jeomchal method was changed from the divination of the past karma to worship-repentance.
    In 7th to 8th century of Shilla, the Amitabha Faith emphasizing the repentance became very popular, which influenced on a Jeomchal Buddhist Mass and made also the ceremony emphasize the repentance. With this, Jeomchal Sutra was introduced to Shilla in the middle of 7th century, so Jeomchal worship-repentance was organized systematically on the basis of the sutra and included in the Odeasan Faith. From these facts, we can assume that Jeomchal Buddhist Mass would be expanded its way to observing the retribution. At last, this was achieved by Jinpyo in the end of Shilla.
    The fact that Das'a-chakra-ksitigarbha-sutra, Jeomchal Sutra and Jeomchal worship-repentance were included in the Odeasan Faith means that Jeomchal Buddhist Mass and Ksitigarbha Faith were spreaded widely in Shil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