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서울 지역 비구니사찰의 분포와 특징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Bhikkhuni Temples in Seoul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23.12
41P 미리보기
조선후기 서울 지역 비구니사찰의 분포와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46권 / 4호 / 185 ~ 225페이지
    · 저자명 : 탁효정

    초록

    이 논문은 조선후기의 비구니 426명의 명단을 토대로 서울 지역 비구니사찰의 분포와 특징을 고찰한 연구이다. 조선후기 서울 지역에서 활동한 니승 426명의 활동사찰은 총 8개로, 옥수동 미타사 234명, 보문동 미타사 12명, 보문사 85명, 봉은사 37명, 청량사 27명, 청룡사 14명, 수국사 9명, 진관사 7명, 흥천사 1명이다. 이들의 명단을 비교 분석해 본 결과 독자적인 비구니사찰로 운영된 사찰은 옥수동 미타사와 보문동 미타사, 보문사, 청량사, 청룡사 등 총 5곳이며, 진관사 향적암은 진관사 내에서 독자적인 비구니암자로 운영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후기 서울 지역 비구니사찰의 특징은 총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첫째, 조선후기 서울 지역의 비구니사찰들은 왕실과 상당히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둘째, 조선후기 서울의 비구니들은 금강산과 지속적인 교류를 맺어왔으며, 근현대까지 금강산의 수행 전통을 계승했음을 표방해 오고 있다. 셋째 ,조선후기 비구니들의 활동은 도성 밖 4승방으로 알려져 있는 두뭇개승방, 새절승방, 탑골승방, 돌곶이승방에 집중돼 있다. 두뭇개승방은 오늘날 옥수동 미타사로, 새절승방은 청룡사로, 탑골승방은 보문동 미타사와 보문사로, 돌곶이승방은 청량사로 계승되고 있다. 넷째, 서울 지역 비구니사찰은 18~19세기부터 독자적인 승가공동체를 유지하고 있었다. 사료의 한계로 17세기 이전의 사찰 운영 실태를 파악하기는 힘들지만 적어도 18세기경에 이르면 비구니들의 독자적인 사찰 운영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bhikkhuni temples in Seoul based on a list of 426 bhikkhuni temple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There were eight active temples for the 426 bhikkhuni active in the Seoul area in the late Joseon period: 234 at the Mita Temple in Oksu-dong; 12 at the Mita Temple in Bomun-dong; 85 at the Bomun Temple; 37 at the Bongeun Temple; 27 at the Cheongnyang Temple; 14 at the Cheongryong Temple; nine at the Suguk Temple; seven at the Jingwan Temple, and one at the Heungcheon Templ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is list revealed that five temples were operated as independent bhikkhuni temples, including the Mita Temple in Oksu-dong, Mita Temple in Bomun-dong, Bomun Temple, Cheongnyangsa Temple, and Cheongnyongsa Temple. The Jingwan Temple Hyanghyangam is presumed to have been operated as an independent bhikkhuni hermitage within the Jingwan Templ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hikkhuni temples in the Seoul area in the late Joseon period can be divided in four categories. First, the bhikkhuni temples in the Seoul area in the late Joseon period had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royal family. Second, the bhikkhuni in Seoul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had continuous exchanges with Mt. Geumgang, and claimed to have inherited Mt. Geumgang’s tradition of practice until modern times. Third, the activities of the bhikkhuni in the late Joseon period were concentrated in the four monasteries outside the capital: the Dumutgaeseungbang, Saejeolseungbang, Tapgolseungbang, and Dolgojiseungbang. Currently, the Dumutgaeseungbang is inherited as the Mita Temple in Oksu-dong, Saejeolseungbang is inherited as the Cheongnyong Temple, Tapgolseungbang is inherited as the Mita and Bomun Temple in Bomun-dong, and Dolgojiseungbang is inherited as the Cheongnyang Temple. Fourth, the bhikkhuni temples in the Seoul area maintained their own monastic communities from the 18th to 19th centurie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actual status of temple operation before the 17th century because of scarcity of historical materials, it can be confirmed that Buddhist bhikkhuni independently operated the temple at least as early as the 18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