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차문화를 위한 분청찻그릇 제작 - 분장기법을 중심으로 - (Production of Grayish-Blue-Powdered Tea Crockery for Korean Tea Culture - Centered on the Decoration Technique -)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15.12
13P 미리보기
한국의 차문화를 위한 분청찻그릇 제작 - 분장기법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22권 / 327 ~ 339페이지
    · 저자명 : 조성남

    초록

    전통도자의 계승은 과거의 것의 외형적 형식은 물론 그 안에 담긴 뜻과 정신의 계승을 포함하여 이어가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도자찻그릇은 차문화의전통과 함께 오랜 시간동안 진행되었으나 근대화과정에서 정체성의 혼란기를 지나 현재는 전통차문화의형식과 의미를 되찾기 위한 활동과 동시에 우리의 찻그릇에 담긴 미를 찾아가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한국의 차문화의 융성과 대중화에 따라 소수의 인원이 영위해온 차문화는 쉽게 접할 수 있는 보편적인문화형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차를 마시는 방법이나 형식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을 통해서도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차를 마실 때 사용하는 찻그릇의 제작과 대중적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찻사발’로 불리는 찻그릇은 전통 찻그릇으로서 차를 마시는 품격을 높이는 동시에 재현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찻그릇 제작에서 일본의 다도와 그들이 선호하는 찻그릇이 주류를 이룸에 따라 우리의 미의식을 반영하면서 현대인의 감성을 고려한 찻그릇 조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차와 차문화의 의미와 우리나라 차문화의 흐름과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고, 우리의 차문화 전통과 전통 찻그릇을 문헌과 사례조사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재현의 개념을 넘어서 우리의 미의식을융합한 찻그릇 제작에 참고하였다.
    찻그릇 제작을 위한 표현기법은 분청의 분장기법을중심으로 찻그릇에 담긴 전통미의식을 표현하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전통과 현대적 미감을 고려한 찻그릇제작을 의도하였다.
    찻그릇 제작을 위하여 혼합산청토를 이용하여 성형하였고 투명유, 재유, 시노유를 활용하여 백토분장에의한 조형효과를 강조하였다.
    기존의 분청 찻그릇의 이미지가 비교적 거칠고 투박한 이미지가 대부분이었다면 본 연구의 찻그릇은분장기법이 갖는 현대성과 추상성을 토대로 맑고 투명한 분위기와 담백한 이미지를 표현하여 찻그릇 조형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Succession of traditional pottery means to inherit meanings and minds contained in it besides its external forms. Korean tea crockery has been processed for a very long time along with tradition of tea culture. But, passing through a confusion period of the identity in the course of modernization, presently, simultaneously with activity to recover formality and meaning of traditional tea culture, effort to find out beauty contained in Korean tea crockery is being continued.
    According to prosperity and popularization of Korean tea culture, tea culture which has been led by a handful of men is being settled as universal culture formality.
    Information of ways or formality of drinking tea can be met easily through the Internet too.
    Manufacture and public demand of tea crockery are increasing steadily.
    Especially, recently, tea crockery called “tea bowls” heightens dignity to drink tea, as Korean traditional tea crockery. At the same time, as a reproduction object of traditional porcelain, it is recognized as essence by several potters.
    However, in producing tea crockery, ahead of awareness of Korean tea culture and traditional tea crockery, because Japanese tea ceremony and their preferred tea crockery form the mainstream, it is judged that formation of tea crockery considering sensitivity of modern people is necessary while reflecting aesthetic consciousness.
    In this study, by looking into the meaning of tea and tea culture, examining flows and current states of Korean tea culture, and analyzing tradition and traditional tea crockery of Korea through case investigation, they were referred to in the production of tea crockery containing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beyond a concept of the reproduction.
    Expression techniques for producing tea crockery were tried to express traditional beauty awareness which is contained in tea crockery, focused on decoration technique of grayish-blue-powdered celadons. Through this, production of tea crockery considering tradition and modern beauty senses was intended.
    For the production of tea crockery, it was formed by using mixed soil of Sanchoeng. Using a transparent glaze, ash glaze, and shino glaze, formative effect by decoration technique of white clary was emphasized.
    If existing images of grayish-blue-powdered tea crockery were comparatively rough and coarse mostly, in this study, by expressing a clean transparent atmosphere and a light image based on modernity and abstractness of decoration technique of tea crockery, new possibility of formation of tea crockery was tried to propo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