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주연문장전산고』에 나타난 차기체 필기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Chagiche Pilgi reflected in Oju-Yeonmunjangjeon-Sango)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0.09
22P 미리보기
『오주연문장전산고』에 나타난 차기체 필기의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33권 / 3호 / 93 ~ 114페이지
    · 저자명 : 김채식

    초록

    차기체 필기는 箚記와 筆記가 결합된 개념인데, 청조 고증학의 영향, 명ㆍ청 서적의 대량 수입과 맥락을 같이하여 18, 19세기에 대두된 양식이다. 차기체 필기의 활용은 조선후기의 학술담론이 비평과 고증의 분위기가 강해진 주요 원인이 된다. 차기체 필기로 분류되려면 하나의 서적에서 차기체 필기로 분류할 만한 요소가 지배적인 요소가 되어야 하고 저자의 태도가 새로운 정보의 수용 및 비평에 중심을 두어야 한다.
    오주연문장전산고는 차기체 필기를 활용한 저술이고, 청조 고증학이 채택한 귀납적ㆍ분석적 방식을 잘 따르고 있다. 나아가 세부적으로 독서차기, 견문차기에 해당하는 편도 있지만, 고증차기의 측면이 월등히 많다. 고증차기의 한 예로 「裝潢裝池辨證說」을 보면, 이규경은 짧은 한 편의 변증설에서 기존의 개념과 상식을 바로잡으려 15종에 달하는 서적을 인용하였다. 이는 방대한 서적수입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다.
    오주연문장전산고에 나타난 서술상의 특징은 하나의 정보가 수집되어 차기체 필기로 정착되기까지의 지식정보가 구조화된 점, 수많은 서적을 인용하여 고증과 변증을 거쳐 학술담론이 활성화된 점, 고증과 변증의 활성화를 통해 필기 장르를 확장시켜 학술비평의 분위기를 산출해낸 점, 18세기와는 달리 19세기의 분위기에서 출현한 많은 유서와 필기는 저자들의 경세의식의 또 다른 실천임을 지적할 수 있다.

    영어초록

    Chagi style pilgi(箚記體 筆記), as a concept Chagi(箚記) and Pilgi(筆記) combined, had come to the fore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in line with the influence of the bibliographical study of the Qing Dynasty and the huge imports of the books of the Ming-Qing period. The use of Chagi style pilgi became one of the major causes which led to harsh tone of criticism and bibliographical research in the academic discuss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o be classified into Chagi style pilgi, Chagi style pilgi including something similar thereto should be predominant style and the author’s attitude be focused on the acception or criticism of new information.
    Oju-Yeonmunjangjeon-Sango used Chagi style pilgi and followed well the inducive and analytic method Qing Dynasty’s bibliographical study adopted. In detail, though it’s some part has reading Chagi and travel knowledge Chagi, bibliographical Chagi is far more. As an example of bibliographical Chagi, Yi Kyukyeong cited as many as fifteen books to remedy existing concepts and knowledge in a short dialectic essay of 「Janghwangjangjibyeonjeungseol(裝潢裝池辨證說)」. The huge import of books made it practical.
    The characteristics of description found in Oju-Yeonmunjangjeon-Sango are as follows: i) Knowledge information from information collection to settlement in the form of Chagi style pilgi was systemized, ii) Academic discussion was activated through bibliographical and dialectic research with many citation of books, iii) The mood of academic criticism was created by the expansion of pilgi genre based on the activated bibliographical and dialectic research, and iv) Many encyclopedias and pilgis wrote under the mood of the 19th Century, unlike those of the 18th Century, were another form of ‘saving state and relieving people’ practice done by auth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