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양철학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간 (Eastern Philosophy and Human being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7.12
18P 미리보기
동양철학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86호 / 213 ~ 230페이지
    · 저자명 : 김백희

    초록

    유교의 사유구조 속에서 자연세계와 인간의 관계는 존재론적 연속성을 갖는다. 자연세계 속에 존재하는 인간의 본질은 자연의 본질과 같다. 공맹(孔孟)의 원시유교부터 정주(程朱)의 성리학에 이르기 까지 유교는 근본적으로 윤리적 우주관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왔다. 우주의 본질은 원형이정(元亨利貞)이다. 이것은 인간의 본질인 인의예지(仁義禮智)와 근본적으로 연속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인간의 정체성은 인의예지를 본질적 가치로 삼는 성(性)에 근거를 둔다.
    도교의 사유체계 속에서 인간의 본질은 자연의 본질과 같다. 이것은 인위적 욕망의 왜곡으로 일그러지지 않는 저절로 그러함의 의미로 “자연(自然)”이다. 자연생명의 일부로서 인간의 본질이 위상을 갖는다. 인간은 자연의 법칙인 무위자연을 삶의 규범으로 삼는다.
    유교와 도교의 사상은 기본적으로 유기체적 세계를 구상하고 있다. 다만 유교의 세계관은 인의예지의 가치를 우주의 본질로 구상하였고, 도교의 세계관은 가치중립적인 우주를 구상하였다. 그러나 양자의 세계관은 기화(氣化)의 자연관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우주론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
    현대문명의 인간은 과학기술의 발전에 기대어 자연에 대한 존재론적 우위가 있다는 인간중심적 세계관을 견지해 왔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의 여명을 앞두고, 인간은 자연의 사물을 앞에 두고 자아의 정체성을 배타적으로 고수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자연의 사물과 구분되는 “배타적 존엄성을 지닌 인간”이라는 이념은 폐기될 상황에 도달한 것이다. 이제 인간은 자연의 사물과 존재론적으로 단절된 존재가 아니라 사물 속에 자아가 연장(延長)되고, 사물의 지지(支持)와 연관(聯關) 상태로 존재의 지속을 이룰 수밖에 없는 시대로 전환하고 있다. 이러한 낯선 상황의 도래는 필연적으로 인간의 의식에 불안과 공포를 가져다준다. 유교와 도교는 자연의 사물과 인간이 존재론적으로 단절된 배타적 관계가 아니라, 유기적 연속성을 갖는 하나의 범주로 이해해 왔다. 우리는 4차 산업혁명의 물결을 예기(豫期)하면서 유교와 도교의 선행적 사유방식을 바탕으로 미래를 대비하는 통찰력을 길러 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ism, there is a continuity between the natural world and human beings. The nature of the Cosmos is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仁義禮知). These four values are the nature of Cosmos simultaneously.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aoism, there is also a continuity between the natural world and human beings. But the nature of the Cosmos for Taoists is <wuwei(無爲; effortless, non-calculative responsiveness)> and <ziran(自然; as self-so-ness)>. Taoists have a value-neutral attitude.
    They all contain organisms with a view of the world. Humankind is no longer the Lord of Creation. In the view of Eastern philosophy all things are equal. Taoism and Confucianism regard the cosmos as an endless transformation. Before all things in the cosmos, human beings are also all equal. All things are both value-neutral and characterized by intrinsic balance and fluidity. The high ethical standpoint is that we must search for good ethical conduct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astern philosophy will be helpful to revive the meaning of the new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