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년층 세대 비교로 살펴본 가족 건강성과 기능 요구도: 1차 및 2차 에코부머를 중심으로 (A Generational comparison of Young adults ' Needs for Family Strengths and Function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8.10
22P 미리보기
청년층 세대 비교로 살펴본 가족 건강성과 기능 요구도: 1차 및 2차 에코부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족관계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23권 / 3호 / 131 ~ 152페이지
    · 저자명 : 강민지, 유계숙

    초록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자녀세대인 1차와 2차 에코부머가 보고한 가족 건강성과 가족 기능의 전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1차 및 2차 에코부머의 인구사회학적 특징을 고려하고도 두 시점의 에코부머 세대가 상이한 가족 건강성과 기능 요구도를 가지고 있는지 실증자료를 통하여 비교분석하였다. 2001년과 2017년 당시 20대 미혼 남녀 청년층인 1차 에코부머와 2차 에코부머를 대상으로 동일 문항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1차 에코부머 182명, 2차 에코부머 224명, 총 406명의 응답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와 2차 에코부머 두 집단 모두 가족의 건강성 3가지 요소 중 긍정적 가족가치, 공존적 노력, 정신적 가치 순으로 높은 요구도를 보이며 유사한 패턴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족의 기능에서는 두 집단 모두 정서·오락·여가 기능을 가족의 핵심기능으로 인식하였으나, 2차 에코부머는 1차 에코부머와 달리 자녀세대를 위한 기능보다 경제적 기능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둘째, 본 연구의 분석결과, 1차 및 2차 에코부머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징이 동일한 경우에도 2차 에코부머는 1차 에코부머에 비하여 인류애, 동정과 자비, 종교적 신념과 같은 정신적 가치를 건강한 가족의 특성으로 인식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으며, 가족의 기능 중 자녀세대를 위한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두 세대 사이에 나타난 돌봄 및 양육의 기능의 사회 이향, 1인 가구와 무자녀 가구의 증가와 같은 가구형태 축소, 혈연중심적이고 운명공동체적인 가족주의의 약화 등의 한국사회의 다양한 변화가 상이한 출생 코호트인 두 세대의 가족 건강성과 기능 요구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친 것임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irst echo boomer to second in the needs for family strengths and family functions, after controlli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thod: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06 never-married young adults, which has 182 first echo boomers and 224 seconds echo boomers as using the same self-report questionnaire. Results: First, the two echo boomer groups exhibited similar patterns in their perception of the three family strengths, positive family values, pursuit of coexistence, and spiritual value, in that order. On the other hand, in regard to family functions, groups’ perceived emotion·entertainment·leisure function as core functions of the family, but the second echo boomers, unlike the first echo boomers, expressed a higher need for economic functions rather than functions for children generation. Second, the analysi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even in cases where first and second echo boomers had the same social-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latter in contrast with the former tended not to regard spiritual values such love for shared ethical values, compassion, and religious beliefs as a family strength, and did not require functions for children generation of the family. Conclusions: From these findings, the differences in the needs for family strengths and functions expressed by the two generations belonging to two different birth cohorts were influenced by various changes in Korean society occurring between the two generations, such as the social divergence in the functions of care and nurture, the increase in one-person and childless households, and the weakening of kinship-centered or communitarian forms of fami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가족관계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