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句麗 地名 ‘濟次巴衣’의 ‘濟次’와 알타이 語族 假說 (Altaic Theory and Jecha(濟次) in Goguryeoic Toponim)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2.03
27P 미리보기
高句麗 地名 ‘濟次巴衣’의 ‘濟次’와 알타이 語族 假說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40권 / 1호 / 7 ~ 33페이지
    · 저자명 : 임홍빈

    초록

    『三國史記』 地理志에 나타나는 高句麗 地名 ‘濟次巴衣’ 혹은 ‘齊次巴衣’에 대해서는 그동안 效果的인 解讀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대하여 本稿는 ‘孔巖縣’을 ‘乳巖縣’의 轉訛로 보았다.
    ‘젖’의 高句麗語 再構形 /*ʦyəʦi/는 日本語의 /*titi/와 직접적으로 比較된다. 다른 알타이어들과의 비교에서도 추상재구형 ‘*TVDW’에 변별적 자질을 적용함으로써 그들의 기원적인 동질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비물을 가리키는 ‘젖’보다는 身體器官을 가리키는 ‘젖’의 비교에서 추상재구형의 설명력이 높게 나타난다. 原始퉁구스어 *ča(i)ʒ̆a-n, 原始몽골어 *čeɣeʒ̆i, 原始튀르크어 *čičīg (/*čɨčɨ̄g) 등이 아주 印象的인 類似性을 보이는 것이다. 이는 韓國語와 日本語, 원시퉁구스어와 원시몽골어 및 원시튀르크어가 ‘젖’에 관한 추상재구형 *TVDW를 공유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알타이어의 親族 關係를 根源的으로 否定하는 것은 穩當한 것이 아님을 말해 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reconstruct a Goguryeoic word Jecha(濟次) contained in Jechapaeui-hyeon(濟次巴衣縣) renamed into Gongam-hyeon(孔巖縣), which appears in Samguksagi(三國史記). Most scholars including Gang(1975), Lee(1972), and Beckwith(2004) saw that the putative Goguryeoic word Jecha(濟次) means ‘hole’(孔). However, it is unthinkable that the word Jecha(濟次) means ‘hole’(孔). The phonetic form Jecha(濟次) has no hints about its meaning in Korean, though it is agreed that the relation between sound and meaning of a particular word is not always in the intuition of an intellectual Korean native speaker. In addition, the Goguryeoic has another word Gapi(甲比) meaning ‘hole’(穴).
    This paper sees that the Chinese letter 孔(Gong) of Gongam-hyeon(孔巖縣) could be a corrupt form of 乳(Yu), due to the error intervened in the process of data collections and transcriptions. The Chinese letter 孔(Gong) and 乳(Yu) are very similar in form, especially in the writing style(草書體), and the sound Jecha(濟次) also suggests the meaning of 乳(Yu) ‘breast’ or ‘milk’. The most powerful evidence for this reading is a rock suggesting 乳(Yu), found in the District of Yangcheon(陽川區), the modern Jechapaeui- hyeon(濟次巴衣縣). Now the phonetic form of jecha(齊次) reconstructed as *ʦyəʦi can be properly read with the meaning of 乳(Yu).
    This form *ʦyəʦi is directly comparable with the Old Japanese *titi ‘breast’ or ‘milk’. These two forms could be both comprised in the Abstract Reconstructed Form(ARF) *TVDW’, where *T can be represented by distinctive features like [+consonantal, +anterior, +coronal], *V [+vocalic, -back, -low], *D [+consonantal, +anterior, +coronal], and *W [+vocalic, -back, -low]. The Goguryeoic forms *T and *D in the *TVDW show palatalizations somewhat distinct from those of the Old Japanese. This difference between Goguryeoic and Old Japanese can be seen as particular development in particular languages.
    The other Altaic forms meaning ‘breast’ or ‘milk’ could be also comprised in the ARF *TVDW. The proto-Tungusic *ča(i)ʒ̆a-n, proto- ongolic *čeɣeʒ̆i, Proto-Turkic *čičīg(/*čɨčɨ̄g) meaning ‘breast’ show more impressive similarity than the forms indicating ‘milk’. These forms are not perfectly identical, but the ARF approach applying distinctive features can fulfil the explanatory power, by considering the skeletal frame like *TVDW.
    Recently, the Altaic Theory is under the severe attack from the anti-Altaicists. However, the details of the comparisons shown above tell us that the Altaic Theory has not yet been fully appreci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