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민 상담 예능 프로그램의 변화 양상 -<무릎팍도사>와 <오은영의 금쪽 상담소>를 중심으로 (Changes in Counseling Entertainment Programs - Focusing on and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2.07
34P 미리보기
고민 상담 예능 프로그램의 변화 양상 -&lt;무릎팍도사&gt;와 &lt;오은영의 금쪽 상담소&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64권 / 141 ~ 174페이지
    · 저자명 : 김여주

    초록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고민 상담을 내세운 예능 프로그램을 예능 프로그램의 형식과 고민 상담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대표적인 고민 상담 예능 프로그램에는 무속 상황극형과 전문가 상담형, 토크 콘서트형이 있음을 확인했으며 <무릎팍도사>와 <오은영의 금쪽 상담소>를 중심으로 비교를 진행하였다.
    <무릎팍도사>와 <오은영의 금쪽 상담소>는 형식적으로도 매우 유사한 구조를 보였다. 두 프로그램은 고민이 있는 연예인이 점집 혹은 상담소를 찾아와 고민을 털어놓는 것부터 시작한다. 해당 회차의 출연자는 상담을 진행하는 동안 자신이 하지 못했던 말이나 소문 등에 대해 해명하는 시간을 가진다. 출연자는 이 자리를 통해 온전히 자신의 입장을 말할 수 있게 되며, 진행자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시청자 혹은 국민에게 출연자와 관련된 당부의 메시지를 말하기도 한다. 끝날 무렵에는 진행자가 한 마디(고민해결, 금쪽 처방)로 처음에 말했던 고민의 해결책을 제시하며 마무리된다.
    두 프로그램의 형식에서도 유사성을 찾을 수 있지만, <오은영의 금쪽 상담소>에서는 오은영의 분석이 출연자의 마음에 와닿는 경우 ‘용하다’거나 ‘복채’와 같이 점집에서 사용할만한 단어도 자주 등장한다. 이는 한국 사회에서 점집과 심리 상담소의 방문 목적이 쉽게 나뉘지 않기 때문이며, 일반적으로 심리 상담에 대한 경험이 적기에 점집에서의 경험을 기반으로 심리 상담을 이해하기 때문이다.
    두 프로그램은 메인 진행자와 보조 진행자가 함께 진행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다만 연예인이 진행하는 무속 상황극형과 전문가 상담형의 상담에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무속 상황극형은 메인 진행자도 예능 프로그램의 재미를 추구할 수 있기에 보조 진행자의 역할이 축소된다면, 전문가 상담형은 상담의 전문성은 있으나 예능적 요소를 위해 보조 진행자가 나서야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대중이 출연진의 고민을 받아들이는 정도에도 차이가 있다. <무릎팍도사>에서 출연자의 고민은 출연자의 것이며, 대중에게 출연자를 더 잘 이해시키는 하나의 정보로 기능한다. 그런데 <오은영의 금쪽 상담소> 속 고민은 대중이 함께 고민에 공감할 수 있도록 보편성을 띠며, 자신의 사례와 유사할 경우 출연자와 함께 치유받는 경험이 가능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entertainment programs that the programs since the 2000s in two aspects: the format of entertainment programs and counseling on concern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shamanic situational drama, expert counseling, and talk concert types in representative distress counseling entertainment programs, and comparison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Guru Show> and <About Dr. Oh's Golden Clinic>.
    <The Guru Show> and <About Dr. Oh's Golden Clinic> showed a very similar structure in form. The two programs start with celebrities with concerns visiting fortune-telling or counseling centers to share their concerns. The performer of the episode explains what he/she could not say or rumors during the consultation. Through this meeting, the performer can fully express his position, and the host goes further and gives the viewer or the public a message related to the performer. At the end of the day, it ends by presenting a solution to the problem that the host initially said briefly (a worry solution, a golden prescription).
    Similarities can be found in the form of two programs, but in <About Dr. Oh's Golden Clinic> Oh Eun-young cast of the case appealed to the analysis of ‘admirable’ or ‘charge for a fortune-telling session’, such as the fortuneteller's house to use a word often appears. This is a fortuneteller's house in Korean society and psychological consultation center of the purpose of your visit is not easily broken down and fortuneteller's house in a timely manner, generally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experience on the basis of experience in psychological counseling to understand.
    An important difference seen in the programs is the expertise of the person conducting the consultatio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a program conducted by a celebrity following the appearance of a shaman and a consultation conducted by a psychiatrist. Now, there are many entertainment programs in the form of receiving diagnosis and solutions from experts in the fiel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gree to which the public accepts the concerns of the cast. In <The Guru Show>, the performer's worries belong to the performer, and it functions as a piece of information that helps the public better understand the performer, additionally, <About Dr. Oh's Golden Clinic> episodes are universal so the public can sympathize with them, and experience healing with the cast if they can relate to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