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패키징디자인 스키마현상 실험과 그 활용모델 (Research in Packaging Design Schema and its Application Model)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5.06
14P 미리보기
패키징디자인 스키마현상 실험과 그 활용모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 13권 / 2호 / 39 ~ 52페이지
    · 저자명 : 김득수

    초록

    스키마(Schema)는 우리가 경험에 의하여 획득한 지식을어떻게 일반화하여 사물과 상황을 인지하는데 활용하는가 알아보는 인지심리학의 한 연구 분야이다. 비주얼적으로 브랜드화 된 상품의식별은 언어 즉 글자에 의지하지 않고 패키지의 시각적 이미지에 크게 의존한다. 브랜드 패키지 이미지의단순화, 압축화, 일반화된 지식을 우리는 ‘패키징 스키마’라고부를 수 있다.
    FMCG(Fast Moving Consumer Goods) 패키지에서 스키마 현상을 찾아보기 위하여, 스키마 차원에서 변환 또는 왜곡가능한 유명 브랜드들의 가상 패키지 형상을 제작하고 그 표면에 원 브랜드의 그래픽을 올려 소비자의 인지 여부를 실험하였다. 이를 원본 브랜드의 인지율과 대조하여 스키마 현상을 추론 하였는데. 실험은 인지심리학에서 사용하는 이미지순간노출 인지실험 도구인 Tachistoscope(T-scope) 기법을컴퓨터에서 재현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결과에 나타난 특기할만한 사실들로서는, 파우치 형태의 프링글스는 한 번도 시중에 나온 적이 없는 포장형태임에도 불구하고 프링글스로 인지되어서 스낵과 파우치 패키징간의 강한 스키마 현상을 발견하였다. 반면에, 밀크팩 모양의프링글스에서는 강한 반(反) 스키마 현상을 보였다. 삼각바형태의 토블러론 쵸콜릿을 사각바 형태로 바꿔 제시한 실험물에서도 상당한 인식율을 보여 삼각, 사각과는 또 다른 형태차원인 바(Bar)라고 하는 길이 효과가 브랜드 인지를 돕는 강한 스키마 현상으로 나타났다.
    이 밖의 추가적인 실험결과에 나타난 FMCG 스키마 현상을 토대로 ‘쇼핑환경 패키징스키마 연합모델’, ‘스키마에 의한감각메모리 선택 모델’ 그리고 ’패키징스키마 필터박스 모델‘ 등 디자인 리뉴얼, 리디자인 그리고 신제품 디자인 시 참고할수 있는 모델들을 결론으로 제시했다.

    영어초록

    Schema is a tip of cognitive psychology that deals with how humans generalise information from experience and use it to recognise objects and situations. Through the package';s symbolic characteristics, leading the consumers to quickly scan the product will become an effective marketing and branding strategy. We visually distinguish packaged products largely depending on how it is packaged rather than through language, or words.
    At this time, the knowledge of the simplified, compressed and generalised package image within the consumer is packaging schema.
    Original FMCG(Fast Moving Consumer Goods) package design images are changed in the schema level and compared them with the original in an experiment.
    Through the experiment the schema effect is deduced from cognition ratio. This experiment was done using the T-scope experiment which is scientific instrument used by psychologistst that presents visual stimuli for brief exposures.
    As for a notable experiment results, Pringles pouch, despite never been released as a packaging type, was recognised as Pringles and showed strong schema effect which means chips are packaged in a pouch. However, milk pack shaped Pringles showed strong anti-schema effect. As for triangular prism shaped Toblerone, significant recognition rate was shown for rectangular prism shape; it appears that additional dimension of bar, the length effect, showed strong influence as a schema.
    Based on other additional FMCG products' schema effects, suggested 'Shopping Environment Packaging Schema Association Model', 'Sensory Memory Selection Model Following Schema', and 'Packaging Schema Filter Box Model’ It is expected that such models would contribute designers to consider when they do redesign, design renewal and new package desig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브랜드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