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철학적 사고실험의 방법으로서 이름짓기 - 미학강의 수강생들의 발표 사례를 중심으로 - (Naming as a Method of Philosophical Thought Experiment: Focusing on Students’ Presentation Cases in Aesthetics Course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0.06
34P 미리보기
철학적 사고실험의 방법으로서 이름짓기 - 미학강의 수강생들의 발표 사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칸트학회
    · 수록지 정보 : 칸트연구 / 45호 / 171 ~ 204페이지
    · 저자명 : 양희진

    초록

    본고는 대학 교육현장에서 가능한 철학실천의 방법을 모색한다. 철학실천의 특징 은 철학적 사유를 필요로 하는 주체가 스스로 자신의 관점을 확장시켜, 다양한 대안을 마련해보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철학을 응용한 다양한 사고실험이 철학실천의 방법론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기존의 사고실험은 그 설계 주체가 철학실천가(또는 교수)라는 점을 문제 삼는다. 진정한 철학실천은 문제의 당사자가 주도해야 한다. 그래서 본론에서는 참여자가 직접 설계하는 사고실험의 방식을 제안하려고 한다. 그 과정은 ‘이름짓기’의 활동과 같다. 이는 1) 관심사에 대한 이름짓기, 2) 세계에 대한 이름짓기, 3) 이름대로 역할극을 하기로 요약해 볼 수 있다. 누구나 인생의 고비가 있지만, 고난에 대처하는 방식은 저마다 다양하다. 이는 각자 삶에 대한 해석이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세상에 대한 해석을 명명하고, 직접 시연해보는 것은 우리가 세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하는지 통찰해 볼 수 있고, 더 나은 세계관을 창조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 필자가 제안하는 철학실천은 칸트의 미학이론에 기초하고 있다. 칸트는 작품에 대한 감상자와 예술가의 자율적 행동에 주목한다. 감상자가 자발적으로 자신의 작품 평가를 타인과 공유하려고 하고, 예술가가 힘든 창작의 길을 포기하지 않는 것은 그들의 판단력이 마음의 능력들을 이전보다 크게 확장시키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필자는 실제 수강생들의 작품을 통해서 판단력을 자극하는 방식으로서 ‘이름짓기’가 무엇이고, 어떻게 그런 사고 활동이 세계관을 자발적으로 설계하게 만드는지를 보여주려고 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seeks to determine the methods of philosophical practice within a university’s educational fields. Philosophical practice helps us awaken to the narrow- minded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our problems through training in philosophical thinking, allowing us to find various alternatives. Currently, thought experiments applying philosophy are widely used as a methodology for various philosophical practices. However, I take issue with the fact that the designer of thought experiments is a philosophical practitioner (or professor) and argue that true philosophical practice should be led by the participants. Thus, in the following chapters, the method of thought experiment is designed for the persons in question. This process is the same as the activity of naming and is summarized as follows: 1) naming our interests, 2) naming our world, and 3) role-playing by the name we take. Although life can be difficult for anyone, one has many ways to deal with it; this is because different people have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ir lives. Express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ld by name and presenting it through demonstrations helps us gain insights into how we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world and can be an opportunity to create a better worldview. My philosophical practice is based on Kant’s aesthetics. Kant pays attention to the autonomous actions of the appreciators and artists in relation to the work. The reason why appreciators voluntarily share their evaluation of artwork with others, and artists do not give up their difficult life of creation, is because their power of judgment is to shake the mind intensely. In that sense, I aim to show what “naming” is as a way of stimulating this power of judgment through the works of actual students, and how such activities make us voluntarily design a particular worldvie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