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범패 짓소리에 관한 연구 - 구해스님의 <인성>과 <거령산>의 선율 관계를 중심으로 - (Study on Beom-Pae Jit-Sori - Focused on melody relation of and by Monk Gu-Hae-)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5.08
45P 미리보기
범패 짓소리에 관한 연구 - 구해스님의 &lt;인성&gt;과 &lt;거령산&gt;의 선율 관계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31호 / 353 ~ 397페이지
    · 저자명 : 서정매

    초록

    한국의 불교의식음악 중 짓소리는 『동음집』에 의하면 53수가 전해졌다고 알려져 있으나 현재에는 15수만이 전승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짓소리에 관련된 논문은 단 몇 편만 존재할 뿐 연구가 매우 희박하다. 본문에서는 현전하는 짓소리 15수 중 가장 대표되는 <인성>과 <거령산>을 무형문화재 제50호 예능보유자 구해스님의 음원을 대상으로 하여 두 짓소리의 선율관계를 살펴보았다.
    『동음집』에 의하면 <인성>과 <거령산>의 선율은 거의 같은 것으로 나타나있지만, 고(故) 송암스님을 거쳐 구해스님으로 전승되면서 과거의 소리와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 현행의 <인성>은 과거와 같이 가사 전체가 짓소리로 노래되지만, <거령산>은 뒷부분인 ‘회상불보살’ 부분에서부터 짓소리로 노래되고 있어서 <인성>과 <거령산>의 실질적인 비교는 ‘인로왕보살’과 ‘회상불보살’으로 한정된다. 그러나 ‘된청소리’(고음역 선율), ‘자출성’ 등이 두 곡에서 동일하게 반복되고, <인성>의 마지막 부분인 ‘보살’과 <거령산>의 마지막 부분인 ‘보살’, ‘마하살’이 서로 비슷한 선율로 이루어져있다. 또한 시작음은 다르지만 종지음은 mi로 공통되며, do'↘la↘sol↘mi의 하행선율로 진행되는 메나리토리로 이루어져있으며, 다만 하행 시에는 sol이 자주 등장하는 특징을 지닌다. 그리고 유일한 반주악기인 태징은 가사의 시작과 끝, 또는 악절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는 신호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처럼 <인성>과 <거령산>은 음악적으로 매우 흡사한 구조를 이루고 있지만 다만 <거령산>의 경우, 앞부분은 전승이 되지 않고 중간 부분부터 짓소리로 전승되고 있어서 시대에 따른 선율의 축소화가 여실히 드러난다. 그러나 『동음집』을 토대로 한다면 <거령산>은 현전 짓소리 중에서 복원가능성이 가장 큰 악곡이므로, 향후 짓소리의 온전한 복원이 기대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DongEumJip』, Jit-Sori known as the most difficult one among Korean buddhist ritual musics has been passed down on with 53 pieces, but so far 15 pieces have been transmitted to us.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on Jit-Sori, which are not enough but rare. In the body, two Jit-Soris, <In-Seong> and <GeoRyeongSan> which are the most prominent among the 15 Jit-Soris being transmitted, are compared in melody relation using the sound recorded by Monk. Gu-Hae who is the only successor of Jit-Sori and intangible cultural assets No. 50 art holder.
    Although <In-Seong> and <GeoRyeongSan> have the almost same melody according to 『DongEumJip』, there have been some changes in melody as the late Monk. SongAm passed them down on to Monk. Gu-Hae.
    Current <In-Seong>, like the past, is sung with Jit-Sori throughout the lyrics, whereas <GeoRyeongSan> is sung from 'HoeSangBulBoSal' which belongs to the latter half part. That's why the comparison of the two is limited to 'InRoWangBoSal' and 'HoeSangBulBoSal'. But there are evidences to show the two Jit-Soris have close relation seeing that both of them have similar melodies in ‘BoSal’ and 'MaHaSal‘ which come the end part of <In-Seong> and <GeoRyeongSan>, and in repetition of DoenCheong So-ri(high pitch ranged melody) and Ja-Chul So-ri.
    Jit-Sori is not consistent in musical time and rhythm but there is a musical instrument called Taejing which plays a role in giving start and end signs and providing signs for each phrase. The two pieces have mi mode which starts with different tune but always ends with mi and menaritori which has descending melody with do↘la↘sol↘mi. They also have characteristics to appear sol frequently when they have descending melody.
    While <In-Seong> and <GeoRyeongSan> have similar musical structures, it seems apparent that <GeoRyeongSan> has been shorted in melody over times regarding the first half part has not been transmitted but just the latter part has. But it has a high possibility to be reconstructed on the basis of 『DongEumJip』. and so it is expected to get a complete restoration of Jit-Sor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