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담의 이름 짓기”는 과연 문화 활동인가? (Is "Naming of Adam" a cultural activ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1.12
43P 미리보기
“아담의 이름 짓기”는 과연 문화 활동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철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독교철학 / 32호 / 201 ~ 243페이지
    · 저자명 : 이신웅

    초록

    본 논문은 기독교 세계관에서 말하는 “문화 명령”(culture mandate, Creation Commendment)과 그것에 따른 첫 번째 문화 활동으로 제시되는 아담의 이름 짓기 행위를 말하는 본문인 창세기 1:26-28과 2:19-20을 구약 신학적으로 재고찰 한다. 왜냐하면, 이 본문들에 대해 곧바로 “문화 명령”, “문화 행위”라는 철학적인 용어로 명명하기에는 녹녹치 않은 면이 있기 때문이다. 성경 해석에서도 독자반응비평이 발전되면서 저자와 본문 그리고 첫 번째 독자의 이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채, 곧바로 두 번째 독자가 자신의 시대에 맞춰 해석하고 적용하는 사례가 빈번하여 본문의 원래적 의미와 차이를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첫 번째 독자에게 본문의 의미가 무엇이었는지를 고찰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를 위해 먼저, 텍스트 언어학(Texts Linguistics)과 주석학(exegesis)적인 방법론을 통해 해당 본문들을 “문맥적 정황”에서 의미를 고찰하고, 그 후에 저자와 첫 번째 독자들의 “삶의 정황”(sitz im Leben)에서의 의미를 고찰한다. 이 과정을 통해, “문화 명령”에 대한 이해의 교정과 함께 아담의 이름 짓기 행위가 가지는 엘렝틱스(Elenctics)적인 면을 중심으로 하는 신학적 의미에 대한 이해의 교정이 발생할 것인데, 그것은 아담의 이름 짓기 사건은 문화 명령과의 연관성에서 해석하는 문화 행위라기 보다는, 딱맞게 포개지는 “돕는 배필”(에제르 케네그도)과 그에 따른 여자의 창조 사건과 연관지어 해석해야 그 신학적 의미가 명료하게 드러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관계, 예수와 교회의 관계까지 확장시켜 적용함으로서, 현재 우리 시대에 화두가 되는 “성”(gender) 문제에 구약 신학적 대답까지 제시하여, 결국 철학적 사유를 기반으로 하는 기독교 세계관 운동을 삶에서 실천하려는 신앙 고백 공동체가 성장시키고 열매 맺어야 되는 가장 중요한 근본적인 ‘문화’가 무엇인지 밝히고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thought Old Testament theologically about “culture mandate” (Creation Commandment) in Genesis 1:26-28 from Christian worldview and following its first cultural activity that presents Adam’s naming behavior in Genesis 2:19-20. This is because it is not easy to call these texts directly with the philosophical terms of “cultural mandate” and “cultural activities”. As criticism of independent responses develops in biblical interpretation, there are frequent cases of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text according to the age of the second reader without properly recognizing the understanding of the author, the text, and the first reader. As it can be see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what the text meant to the first reader.
    To do this, first, the meaning in the “contextual context”(sitz im Literatur) of the texts is considered through Texts Linguistics and exegesis method, and then the meaning in the “life context”(sitz im Leben) of the author and first readers. Through this process, along with the correction of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mandate”, there will be a correction of the understanding of the theological meaning centered on the Elenctics aspect of Adam’s naming behavior, which is the name of Adam.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building incident is clearly revealed when it is interpreted in relation to the creation incident of the woman and the “helper”(Ezer Kennegdo), which overlaps perfectly, rather than as a cultural act interpreted in connection with the cultural mandate.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extended and appli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Israe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esus and the church, providing an Old Testament theological answer to the problem of “gender” that is a hot topic in our time. In the end, it reveals what the most important fundamental 'culture' is which the confession community that seeks to practice the Christian worldview movement based on philosophical thinking in life must grow and bear fru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독교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