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글소리 이름짓기의 비판적 고찰 (A Critical Study on the Hangeul‒Sori Nam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1.03
34P 미리보기
한글소리 이름짓기의 비판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44권 / 1호 / 181 ~ 214페이지
    · 저자명 : 권익기

    초록

    우리 이름은 고유어 소리로만 존재하다가 문자로 기록된 후, 한자를 유입하면서 상층부터 한자 이름이 정착한다. 훈민정음을 반포하면서 한글 이름의 역사가 시작되었으나 일반화되지 못하고 일제가 등록조차 거부하여 암흑기도 있었다. 한글 이름짓기 유형은 자의와 오행, 소리로 구분할 수 있다. 한글오행은 1950년대부터 일부에서 활용되었고, 한글자의는 1960년대부터 일부에서 다시 사용되었으며, 한글소리는 1990년대부터 알려지기 시작한다.
    한글소리는 태어난 해의 천간・지지와 획수, 자음으로 도출한 육친인 주파수의 의미와 상생・상극 등으로 운세를 판단하는 작명법이다. 한글자의는 작명이 쉬워서 문제점이 적고, 한글오행은 선행연구가 문제점을 많이 도출하였으나 한글소리는 비판적 연구조차 거의 없다. 따라서 이를 살펴보면, 자음 음소만 활용, 음양・오행 배속 혼란, 문자를 작명에 활용, 사주명리학과의 모호한 관계, 낮은 활용도, 문자와 소리가 다를 경우 적용, 획수 문제, 이상한 명칭 사용, 영향 없는 소리, 자의 미반영, 미흡한 연구 등 상당한 문제점이 있다.
    이미 일부 유형은 모음까지 음양・오행을 반영하고 있고, 자의도 활용하는 등 개선은 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작명 현장은 문제점 인식과 개선보다 최고라고 자부하면서 수익 극대화에만 급급하다. 한글소리 이름짓기의 문제점은 무리한 비판도 있지만, 개선해야 할 비판도 분명히 있다. 이에 우리는 한글소리 이름짓기의 발전을 위해서 도출된 문제점의 검증과 개선을 통하여 학술적인 체계를 구축하고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From the very beginning, our name existed in a native language and recorded as a letter. And then, Chinese characters name has been settled from the upper classed since Chinese characters introduced. The history of Hangeul name begins with the proclamation of Hunminjeongeum(訓民正音). However, Hangeul names did not generalized well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re was also the dark age when Japanese imperialism refused to register the names. Hangeul naming can be divided into Hangeul‒Jaui(字意) Naming, Hangeul‒Ohaeng(五行) Naming and Hangeul‒Sori Naming. Hangeul‒Ohaeng were used by some in the 1950s, Hanguel‒Jaui were reused by some in the 1960s, and Hangeul‒Sori began to be known in the 1990s.
    Hangeul‒Sori is a naming method that determines a person’s fortunes by means of frequency, Sangsaeng(相生)・Sanggeuk(相剋). The frequency is Yukchin(六親), which is derived from consonants, number of strokes, and Cheongan(天干)・Jiji(地支) of the year of birth. Hangeul‒Jaui had fewer problems because it was easy to name, and precedent research derived a lot of problems from Hangeul‒Ohaeng. On the other hand, there is hardly any critical studies of Hangeul‒Sori. Therefore, there are considerable problems such as using only consonant phonemes, confusing in the assignment of Yin‒Yang(陰陽)・Five‒Elements(五行), using letters in the naming, the ambiguous relationship with Saju‒Myeongli Science(四柱命理學), low utilization, applying when characters and sounds are different, the problem of calculating the number of strokes, strange names, sounds without effect, not reflecting literal meaning and insufficient research.
    Certain methods already reflect Yin‒Yang and Five‒Elements to vowels and improvements are made on utilizing the literal meaning. However, in the field of naming, people focus on maximizing profit through self‒confidence rather than acknowledging problems and improving them. This paper looked into the issues in this field, where some unreasonably criticized that sounds doesn’t affect us but there were constructive comments that pointed out the issues on using only consonant phonemes and using strange names such as frequency.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Hangeul‒Sori Naming, we need to establish and set up an academic system through verifying and improving up to the derived problems and Gaeun(改運).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