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척독집 성행의 문화적 의미와 근대 한문학사적 위상- 근대 척독의 이중적 효용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Cultural Meaning of Popularity of Modern Study Materials for Writing Letters in Chinese and its Status in History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4.12
41P 미리보기
근대 척독집 성행의 문화적 의미와 근대 한문학사적 위상- 근대 척독의 이중적 효용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30호 / 319 ~ 359페이지
    · 저자명 : 홍인숙

    초록

    본고는 1900∼1950년대까지 이어진 근대 척독집의 성행이라는 문화적 현상의 의미를 살펴보고 그 한문학사적 위상을 해명하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각 시대를 대표하는 근대 척독집 13종을 대상으로 하여 여기에 나타난 ‘옛 전통(舊)’과 ‘시대성(時)’의 양상을 각각 살펴보고, ‘舊(권위)’과 ‘時(실용)’의 동시 획득이라는 이중 효용이 근대 척독집 성행의 근본적 원인이었다고 분석하였다. 즉 근대 척독집의 장르적 본질은 ‘구(舊)’와 ‘시(時)’라는 상반된 경향성이 긴장하며 공존하는 것에 있었으며, 이것이 근대 대중들로 하여금 척독집을 계속적으로 소비하게 만든 원인이었다는 것이다.
    근대 척독집의 ‘옛 전통(舊)’ 지속의 차원에서는 첫째, 척독집 내부의 체계와 예문을 통해 구현하고 있는 유교적 질서를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친친(親親)의 원리에 입각해 설정된 목차와 편성, 순한문체 상제례․ 혼례 서식의 의미, 척독집 자체 예문을 통해 설파되고 있는 존비법의 강조 등의 측면을 차례로 분석하였다. 옛 전통 지속의 차원에서 두 번째로 주목한 것은 근대 척독집 그 자체의 ‘구학문 옹호 매체’로써의 기능이다. 구학문 옹호론의 주요 내용은 한문이라는 문자의 권위를 옹호하고 유교 경전의 근본적 가치를 설득하는 것이었다.
    근대 척독집의 ‘시대성(時)’ 반영의 차원에서는 첫째, 이 장르가 국한문 문체 차원에서 매우 민감한 시대적 변화를 보이고 있었던 측면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김우균, 이종국 등 주요 척독집 저자들의 국한문 혼용 및 언문불일치에 대한 문체의식을 주목하였다. 둘째, 근대 척독집이 신문물의 소개 내용을 다양하게 담고 있었다는 점과 새로운 문화를 소개하는 문화적 학습서의 기능을 갖고 있었음을 지적하였다.
    근대 한문학사의 차원에서 근대 척독집은 쇠퇴의 징후를 확인하게 해주는 텍스트가 아니라 ‘시대적 변화와 대중의 욕구에 재빠르게 대응’한 장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록 투식구와 통속화로 점철된 자료군이지만 그 속에 다양한 척독집 작가들의 고민과 모색이 녹아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근대 척독집을 통해 ‘한문’이라고 하는 문의 체계가 대중화되고 지속된 점은 충분한 평가가 필요한 대목이라고 지적하였다. 또한 근대 척독집의 소비라는 현상을 통해 대중들이 표현한 ‘한문에 대한 욕망’ 또한 더 적극적으로 해명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cultural phenomenon of popularity of Modern Study Materials for Writing Letters in Chinese between the 1900s and 1950s and explain its status in the History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looked at 13 kinds of Modern Study Materials for Writing Letters in Chinese representative of each period in terms of the aspects of ‘old tradition(舊)’ and ‘contemporary meaning(時).’ Through this process, it analyzed the dual effects of simultaneous acquisition of ‘authority’ and ‘practicality’ was fundamental reasons for the popularity of Modern Study Materials for Writing Letters in Chinese. In other words, the genre essence of Modern Study Materials for Writing Letters in Chinese lied in the co-existence of opposite tendency of ‘old/authority’ and ‘contemporary/ practicality’. This article ultimately claims that the reason why modern people continue to consume the Modern Study Materials for Writing Letters in Chinese is because of these dual effects.
    To prove this, this article examined the dimension of maintaining ‘old tradition(舊)’ in Modern Study Materials for Writing Letters in Chinese in terms of two things. First, it focused on the order and principles of Confucianism embodied through the table of contents and example sentences in Modern Study Materials for Writing Letters in Chinese. Second, it focused on the function of Modern Study Materials for Writing Letters in Chinese as a medium defending the old classic studies and details of the function. Also, it examined the dimension of reflecting ‘contemporary meaning(時)’ in Study Materials for Writing Letters in Chinese in terms of following two aspects. First, it analyzed the chronological change of Korean and Chinese mixed style as well as the stylistics on the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by the authors of major Modern Study Materials for Writing Letters in Chinese. Second, it examined the contents of various products of civilization introduced in Modern Study Materials for Writing Letters in Chinese, and pointed out that it also served as a cultural learning material.
    Study Materials for Writing Letters in Chinese at the level of History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should be seen not as a text in the period of decline, but as a genre that ‘promptly responded to the historical change and demands of the public.’ The agonies and search for solutions by various readers of Study Materials for Writing Letters in Chinese were contained in this text, through which the écriture that is ‘Chinese Classics’ became popularized and lasted. Thus, the status of Modern Study Materials for Writing Letters in Chinese in the History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should be evaluated more activel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