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李匡師의 학문 경향과 지식수용 방식에 대하여 − 『圓嶠集選』 수록 雜著‧雜文을 중심으로 − (About Lee Kwang Sah's academic tendency and method of accepting knowledge - Focusing on the works of Japjeo‧Japmun in WonGyojipseon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3.09
24P 미리보기
李匡師의 학문 경향과 지식수용 방식에 대하여 − 『圓嶠集選』 수록 雜著‧雜文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92호 / 369 ~ 392페이지
    · 저자명 : 이승용

    초록

    이 글에서는 雜著‧雜文이 기본적으로 글의 성격상 일정한 체재 없이 잡다한 의견이나 이야기를 자유롭게 쓴 문체이지만, 관심 대상에 대한 저자의 평소 생각이나 그에 대한 식견 및 학문 태도를 엿볼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 착안하여 지금까지 주목하지 않았던 이광사의 학문 경향 및 지식수용 방식과 검증 과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江華學派의 일원이자 조선 후기 서예가로 저명한 이광사는 서예와 詩文 이외에도 經學·史學·文字學·韻學 분야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는데, 『圓嶠集選』에 수록된 雜著‧雜文에서 그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이광사의 언급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무엇보다도 ‘虛’를 비판하고 ‘實’을 중시하는 학문 경향과 名物度數와 博學을 추구하는 학문 경향이 鄭齊斗와 尹淳에게 전수받은 江華學에 많은 영향을 받았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렇지만 江華學이 이광사의 학문 경향을 모두 포괄한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江華學의 범주에서 한 걸음 벗어난 이광사 개인의 학문 경향과 실제는 자신의 관심 분야와 그에 대한 識見을 제시한 雜著와 雜文에서 가장 뚜렷이 드러난다.
    雜著와 雜文에 수록된 글에서는 거시적인 영역뿐 아니라 미시적인 영역까지 탐구 대상으로 인식했던 이광사의 학문 경향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비판적 시각과 논리적 접근’과 관련한 글에서는 지식과 정보를 대하는 이광사의 합리적 사고와 치밀한 분석력을 엿볼 수 있고, ‘보편적 지식에 대한 의문과 변증’과 관련한 글에서는 개인적 경험이 아니라 독서와 학술을 바탕으로 명확한 근거 제시를 통해 기존의 잘못된 지식을 바로잡는 과정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지식수용 방식과 검증 과정은 바로 江華學으로 대변되는 이광사의 학문 경향과 함께 그의 실제적인 학문 경향을 엿볼 수 있는 또 다른 축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although Japjeo(雜著) and Japmun(雜文) are basically written in a style in which miscellaneous opinions or stories are freely written without a fixed format due to the nature of the writing, they are materials that can provide a glimpse into the author's usual thoughts on the subject of interest, insight into it, and academic attitude. Therefore, we looked into Lee Kwang Sah(李匡師)'s academic tendency, knowledge acceptance method, and verification process that had not been paid attention until now.
    Lee Kwang Sah(李匡師), a member of Ganghwa School(江華學派) and famous calligraph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paid a lot of attention to the fields of Gyeonghak, historical studies, scripture, and phonology in addition to calligraphy and Chinese poetry, and traces of it could be found in Japjeo(雜著)‧Japmun(雜文) included in 『WonGyojipseon(圓嶠集選)』. As can be seen from Lee Kwang Sah(李匡師)'s remarks, it is undeniable that the academic tendency to criticize ‘Heo(虛)’ and value ‘Sil(實)’ and pursue degree of things and Erudite learning was greatly influenced by Kanghwa study(江華學), which was passed down by Jeong Je du(鄭齊斗) and Yoon soon(尹淳). However, it cannot be asserted that Kanghwa study(江華學) encompasses all of Lee Kwang-sa's academic trends. Individual Lee Kwang Sah(李匡師)'s academic tendency and practice, which are one step away from the category of Kanghwa study(江華學), were most evident in Japjeo(雜著) and Japmun(雜文), which presented their areas of interest and insights.
    The articles included in Japjeo(雜著) and Japmun(雜文) clearly confirm the academic trend of Lee Kwang-sa, who recognized not only the macroscopic but also the microscopic areas as objects of inquiry. In the article on "Critical Perspective and Logical Approach," Lee Kwang Sah(李匡師)'s rational thinking and meticulous analysi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were seen. In addition, in the article related to "questioning and dialectic of universal knowledge," the process of correcting existing wrong knowledge was closely seen through presenting clear grounds based on reading and academic, not based on unfounded personal experiences. This knowledge acceptance method and verification process are one of the pillars of Lee Kwang Sah(李匡師)'s actual academic trends along with the academic trends represented by Kanghwa study(江華學).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