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완서의 자서전적 글쓰기 서사 전략과 그 탈식민주의 의미 - <<그 남자네 집>>을 중심으로 - (The Narrative Strategy of Park Wan-Seo’s Autobiographical Writing and It’s postcolonial meaning - Focusing on the <>)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5.03
21P 미리보기
박완서의 자서전적 글쓰기 서사 전략과 그 탈식민주의 의미 - &lt;&lt;그 남자네 집&gt;&gt;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9권 / 1호 / 73 ~ 93페이지
    · 저자명 : 윤정화

    초록

    박완서는 오랜 세월동안 이 땅의 서사를 여성적 글쓰기로써 우리에게 전하려 했다. 박완서는 「미망」, 「나목」, 「엄마의 말뚝」, 「도시의 흉년」,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와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등의 작품으로 여성의 주변부 서사를 전함으로써 기존 중심부 서사 속에 그 시대를 겪어 온 수 많은 여성의 목소리도 포함되어야 진정한 역사임을 강조해 왔다.
    이 논문의 목적은 박완서라는 여성주체작가가 역사적 글쓰기를 함에 있어 사용한 서사전략인 자서전적 글쓰기의 의미작용을 확인해 보는 데에 있다. 박완서 작가가 활동한 초기에는 여성작가의 위치가 그리 탄탄하지 못했다. 그런 상황에서 그녀는 여성의 목소리로 남성의 역사적 글쓰기가 포착하지 못한 틈새를 메워 나가기 시작하였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그녀가 여성 작가로서 남성 중심의 역사를 자서전적 글쓰기로 다시 쓰고자 하는 전략과 그 의미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남성 지배 중심의 역사화를 극복하는 저항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제한다.
    박완서가 <<그 남자네 집>>에서 사용한 소수자만이 이용할 수 있는 감각의 대항성은 기존의 글쓰기의 내용에 균열을 내고 미처 재현되지 못한 역사의 장을 기록으로 승화한다. 그리고 여성만이 기술할 수 있는 영역을 서사화하고 기억 속의 감각을 여성만의 몸과 집의 공간으로 전유함으로써 극복한다.
    여성의 자서전적 글쓰기는 중심부 서사에 대한 대항실천으로서 기능하고 있는데 이 서술의 작동원리에 기억의 감각이 관여한다. 박완서는 서사와 자서전적 서사라는 경계 위에서 전쟁의 주변부를 서사화하면서 기억이라는 행위를 통해 역사를 소환한다. 그리고 과거의 집과 그곳에 있었던 자신을 들여다보면서 현재와 과거가 만나는 혼종의 시간을 기억을 다시 쓰는 서사 속에서 완성한다. 이때 체현되는 미각이라는 감각은 굶주림의 전쟁 속에서도 살아 있는 생존의 주체를 재현하는 데에 기여함으로써 새로운 저항성을 함의하게 된다.

    영어초록

    Park Wan-Seo tries to tell us her femininity and time in the country for many years, that is to say the time from 1950. She is a writer who emphasizes that history should include a lot of women’s voices who went through the time in the existing central narrative as delivering women’s periphery narrative constantly with 「Mi-Mang」. 「A bare tree」, 「Mother’s Post」, 「A Leanly year of city」, 「Who ate all the singas?」 and 「Were That Mountain Were There Real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narrative strategies which female subject writer Park Wan-Seo used in historical writing. At the beginning Park Wan-Seo has acted, female writer’s position was not strong. It’s been evaluated that in such situations, she has filled a gap which male writers did not grasp with female voice. In this paper, as investigating strategies used in narrative of the male-centered history as a female writer and the process of the meaning, it premises to identify resistance to overcome male domination-centered historicizing.
    The initial criticism on Park Wan-Seo can be seen to remain in somewhat narrow assessment located only in a small area of the female writer in male-centered literary world. The title of female writer attached before writer Park Wan-Seo’s name proves this. Sensory’s resistance that only minorities can use which Park Wan-Seo used in <The man’s house> makes it sublimated a historical chapter to crack out the contents of the existing writing and not to be produced. And, she escapes the restricted area of having the title of the female writer with oxymoron. In other words, this is because of expressing fictionality of the history that women are excluded as making the area which only women can have narrative.
    A way that women existed as peripheral minorities challenge the center is to tell and write to the world. Women have a duty to inform information and ideas about female sexuality. What women write is to describe the time passed, the time passing, which means to write history. The reason why Park Wan-Seo tells her voice at the second half in the stages of her work world can be seen here. Female autobiographical writing can function as resistance practice about the central narrative and memories are involved in the operating principles of this description. Park Wan-Seo recalls history through the act of remembering as making the periphery of war descriptive on the boundary between the narrative and autobiographical narrative. While looking through the house of the past and oneself there, The hybrid time meeting the current and the past is completed in the narrative. The taste embodied implies new resistance as reproducing living survival subjects in the war with hung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