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90년대 여성지의 내 집 마련 담론과 여성금융주체의 형성 - 『우먼센스』를 중심으로 (Homeownership Discourse in 1990s Korean Women’s Magazines and the Formation of the Woman Financial Subject - Focusing on the magazine Woman Sense)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5.06
48P 미리보기
1990년대 여성지의 내 집 마련 담론과 여성금융주체의 형성 - 『우먼센스』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31권 / 2호 / 119 ~ 166페이지
    · 저자명 : 최시현

    초록

    본 논문은 1990년대 한국 여성종합잡지에 수록된 ‘내 집 마련’ 수기와 사례기사들을 분석하여, 주택 금융화 초기 단계에서 여성 금융주체가 어떠한 서사적 경로를 통해 구성되었는지를 분석한다. 여성지는 단순한 경제 정보 제공 매체를 넘어, 독자들에게 금융적 윤리와 성별화된 실천을 학습시키는 일상적 금융문화의 매개장치로 기능하였다. 이 과정에서 ‘내 집 마련’을 향한 여성의 욕망은 가정주부적 책무와 긴밀히 결합되며 승인되었고, 주거 불안을 야기하는 구조적 조건들은 ‘나쁜 집주인과 고통받는 세입자’라는 개인화된 피해 서사로 전환되어 은폐된다. 절약과 대출을 통한 주택 구입 실천은 가족 부양을 담당하는 여성의 도덕적 책무로 정당화되며, 독자들은 이를 통해 금융적 책임성과 성별화된 자기규율을 점진적으로 내면화하게 된다.
    1990년대 주택보급 확대와 금융자율화 흐름 속에서 여성들은 주택매매를 경유하여 금융화 과정에 적극적으로 진입하였으며, 이로써 가정이라는 사적영역이 금융시장에 제도적・문화적으로 접속되는 전환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변화는 금융의 여성화 과정에서 여성들이 일상생활과 가계경제 차원에서 금융시장에 통합되는 구체적 양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여성의 금융 실천은 2004년 주택금융공사 설립을 통해 본격화된 국가 주도의 주택금융화에 앞서, 이미 가계경제의 윤리로서 상징적 실천과 일상 담론 속에 내면화되어 있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서사적 재구성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주택 금융화의 성별화된 경로와 여성 금융주체 형성의 동학을 규명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women financial subjects were narratively constructed during the early stage of housing financialization in South Korea by analyzing personal essays and case articles on “homeownership” published in Korean women’s magazines in the 1990s. These magazines functioned not merely as sources of financial information but as everyday cultural devices that taught readers financial ethics and gendered practices. In this process, women’s desire for homeownership was legitimized through its close alignment with the moral duties of housewives, while the structural causes of housing insecurity were obscured and individualized through narratives of “bad landlords and suffering tenants.” The practice of purchasing housing through thrift and mortgage borrowing was framed as a moral obligation of women responsible for family well-being, through which readers gradually internalized financial responsibility and gendered self-discipline.
    Amid the expansion of housing supply and financial liberalization during the 1990s, women actively entered the financialization process through housing purchases, resulting in a transformation in which the private domain of the family became institutionally and culturally integrated into financial markets. This shift illustrates the concrete dynamics of women's incorporation into financial markets at the level of everyday life and household economy—a process characterized by the feminization of finance. Such practices suggest that symbolic and everyday financialization had already been internalized prior to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tate-led housing financialization that formally began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Housing Finance Corporation(KHFC) in 2004. By analyzing these narrative constructions, this study reveals the gendered trajectories of housing financialization and the formation of female financial subjects in South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