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도호의 ‘완벽한 집’으로의 여정 -사적인 것과 공적인 것의 사이 표상- (Do Ho Suh’s Journey to the ‘Perfect Home’ -representations between private and public realm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5.04
12P 미리보기
서도호의 ‘완벽한 집’으로의 여정 -사적인 것과 공적인 것의 사이 표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26권 / 2호 / 1 ~ 12페이지
    · 저자명 : 강혜승

    초록

    본 논문은 2024년 하반기 서울 아트선재센터에서의 개인전에 이어 2025년 상반기 런던 테이트모던에서의 개인전을 여는 작가 서도호가 그의 작품세계에서 사변적으로 탐색하는 ‘완벽한 집’에 대한 의미를 사적 영역의 측면에서 살피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에서 작가의 작품은 주로 세계화 맥락의 유목주의와 관련해 문화적 타자성으로 주목됐지만, 집 또는 거주의 반대항으로 장소 없음 또는 전치를 살피거나 한옥으로 표상된 공간을 한국적 정체성으로 읽는 시각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작가는 끊임없이 거처를 바꿔 이동하며 ‘완벽한 집’을 찾고자 하는데, 본 연구는 이 지점에서 물리적 공간의 집(House)이 아닌 개인의 사적 영역으로서의 집(Home)의 의미에 접근한다. 이때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가 인간의 조건 에서 설명한 ‘소유’ 개념을 통해 사적인 것과 공적인 것을 분별하며 서도호의 신체가 머무는 공간의 사적인 성격을 논의한다. 아렌트에 따르면 소유는 각자에게 고유한 장소의 의미로, 좁게는 신체에서부터 넓게는 내 존재가 각인되는 사물에까지 확장되는 세계 내 고유한 사적 거처의 근거가 된다. 일련의 맥락에서 서도호가 표상하는 집의 기원은 ‘아버지의 이름’이 작동한 가정의 영역이며, 가정은 가장 사적인 성격의 공간임을 확인할 수 있다. 구성된 정체성의 근거인 집으로부터 분리된 이후 작가의 시선이 집단화된 개인의 개별성에 대한 인식으로 확대되는 양상도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대목이다. 국경 밖에서 비로소 개인 공간을 인지하고, 집단주의가 아닌 개인을 보호하는 공동체주의를 지향하는 작가의 시선을 작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서도호는 옷은 물론 건축적 규모의 집 구조물을 통해 작가 신체가 거하고 움직일 수 있는 이동 가능성을 탐색해 왔다. 작가에게 옷은 몸이 머무는 가장 작은 거주 장소로, 집은 결국 옷의 확장인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본 연구는 고유한 장소성을 지닌 주체의 사적 표상을 서도호의 ‘완벽한 집’이라는 화두를 통해 살피며, 한국적으로 이념화된 집단 정체성에 고착화되지 않는 개인의 유동성을 작가의 작품 여정을 통해 논의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cept of the “perfect home,” a theme that artist Do Ho Suh has speculatively explored in his artworks, through the lens of the private realm. The research takes inspiration from Suh’s solo exhibition held at Art Sonje Center, Seoul, in 2024, and his upcoming solo exhibition scheduled for the first half of 2025 at Tate Modern, London. It examines home not as a physical structure but as a private domain, with a focus on Suh’s continuous relocation and his pursuit of the “perfect home.” To achieve this, the study employs Hannah Arendt’s concept of “property,” as presented in her work The Human Condition,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distinguishing the private from the public domain and discussing the private character of the spaces inhabited by Suh’s body. According to Arendt, property forms the basis of an individual’s sense of place within the world, extending from the body to objects that bear the marks of one’s existence. Within this context, the study identifies the home symbolized in Suh’s works as originating in the familial sphere, shaped by the “name of the father,” thus confirming the domestic space as the most private realm. After separating from the home, which serves as the foundation of his constructed identity, Suh’s perspective shifts toward recognizing individuality embedded within the collective. For the artist who explores bodily mobility, clothing represents the smallest occupiable space for the body, suggesting that home is an extension of clothing. Lastly, this paper uses the theme of the “perfect home” to examine private representations of subjects with unique spatial belonging, emphasizing Suh’s artistic journey and his fluid individuality, which contrasts with the rigidity of ideologically constructed Korean collective ident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