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획논문] 1930년대 항주(杭州) 시기 중국 민속학과 손진태 『조선민담집』 중역(中譯)의 배경 (Chinese folklore and the background of Son Jin-tae's translation of Joseon Folktales into Chinese during the Hangzhou Period in the 1930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3.06
28P 미리보기
[기획논문] 1930년대 항주(杭州) 시기 중국 민속학과 손진태 『조선민담집』 중역(中譯)의 배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80호 / 85 ~ 112페이지
    · 저자명 : 권애영

    초록

    1925년 저우쭤런(周作人)은 미와 다마키의 『전설의 조선(傳說の朝鮮)』에서 발췌한 우리나라 민담 3편을 가장 먼저 중국에 소개하였다. 이후 1930년대에 이르러서 미와 다마키(三輪環)와 가린 미하일로프스키(Garin Mikhailovsky), 마쓰무라 다케오(松村武雄)가 수집한 우리나라 민담이 번역되었다. 그리고 손진태의 『조선민담집(朝鮮民譚集)』에서 발췌한 민담을 포함해 조선 민담 41편이 잡지 세 곳에 소개되었다. 조선 민담 41편을 번역한 ‘추자(秋子) 여사’는 중국 민속학의 아버지라고 일컫는 종징원(鍾敬文)의 부인인 천츄판(陳秋帆)이다.
    본고는 1930년대 중국에 손진태의 조선민담을 비롯한 우리 구비문학이 소개될 수 있었던 배경을 중국의 민속학 동향과 연관지어 살펴보았다.
    중국의 민속학 연구는 신문화운동 시기였던 1918년 북경대학교에 「근세가요징집처(近世歌謠徵集處)」가 성립되면서 시작되었다. 이 단체는 「가요연구회」로 이름을 바꾸고 1922년부터 『가요(歌謠)』 주간지를 출판하여 조직적인 민속학운동을 벌였다. 1926년 가을, 북양 군벌의 강요로 인해 주요 인사들이 잇따라 강제로 사직하고 북경을 떠나 중산대학으로 옮기면서 중산대학은 중국 근대 민속학 발전의 중심이 되었다. 이후 중산대학의 민속학이 퇴조하면서 항주를 중심으로 한 ‘중국 민속학회’의 활동이 활발해졌다.
    이 시기 항주에서 ‘예풍사(藝風社)’라는 예술단체가 설립되었다. 예풍사의 주요 구성원은 쉬페이홍(徐悲鴻)을 비롯하여 종징원ㆍ펑쯔카이(豐子愷) 등으로 상해와 항주 일대에서 활동하던 화가들이 주로 가입하였고 회원수가 600여 명에 이르렀고, 이들이 만든 『예풍(藝風)』 잡지에 민속학을 전문으로 다루는 코너가 개설되었다. 종징원의 글이 발표되는 1권 9기부터 그동안 주로 미술을 조명하던 『예풍』에서 민속학 관련 내용을 다루었다. 종징원이 발표한 글은 대부분이 일본 유학 시절에 투고한 것으로 우리나라와 관련된 「노달치형 전설」 및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도 있다.
    1934년 봄부터 1936년 여름까지 종징원은 일본 와세다 대학 문학부에서 민속학ㆍ문화인류학 공부와 더불어 일본에 있던 중국문학 연구회에 들어가 공부하였다. 종징원은 니시무라 신지(西村眞次)ㆍ마츠모 노부히로(松本信廣)ㆍ마쓰무라 다케오 등의 학자와 다케우치 요시미(竹內好)ㆍ사네토 케이슈(實藤惠秀)ㆍ마스다 와타루(增田涉) 등의 중국문학 연구자들과 교류하면서 자신의 학문을 발전시켰다.
    종징원은 자국의 민속학의 근원과 영향을 살피는 차원에서 주변 국가의 문화연구가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손진태의 조선민담은 결국 중국 민속학의 근원을 찾는 목적과 더불어 민속학적 측면에서 연구 가치가 있다는 판단 아래 번역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손진태의 민담이 일본어로 쓰여 있었기에 이를 번역하여 중국의 독자들에게 소개하는데 편리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을 것이다.
    즉 조선민담의 중국 번역은 먼저 일본과 일본어라는 매개 및 중국 민속학의 근원을 알아내는데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기에 가능했다. 근대적인 연구방법을 동원하여 조선인 학자에 의해 수집된 우리 민담이 중국에 소개될 수 있었던 데는 불행하게도 식민지 조선의 상황도 한몫을 했다. 본고는 조선민담의 번역자인 천츄판을 제대로 조명하지 못하고 부부라는 이유로 종징원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한 점은 한계이다. 앞으로 객관적이고 유의미한 자료가 많이 확보되어 부족한 점을 보완할 수 있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In 1925, Zhou Zuoren introduced three Korean folktales, excerpted from Miwa Tamaki's Legendary Joseon, to China. In the 1930s, Korean folktales collected by Miwa Tamaki, Garin– Mikhailovsky, and Matsumura Takeo were translated into Chinese. In addition, 41 Joseon folktales, including those from Son Jin-tae's Joseon Folktales, were translated into Chinese and published in three magazines. The translation was done by Chen Qiufan, wife of Zhong Jingwon, who is known as the father of Chinese folklore.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Korean oral literature including Son Jin-tae's Joseon Folktales into China during the 1930s in the context of folklore trends in China. Research on Chinese folklore began in 1918 during the New Culture Movement when the Modern Song Collection was established at Peking University. The organization changed its name to Song Research Society and published a weekly magazine named Song from 1922, marking the emergence of an organized folklore movement. In the fall of 1926, due to pressure from the Northern Warlords, Zhongshan University became the center of the development of modern Chinese folklore. During this time, major figures were forced to resign one after another, and they moved from Beijing to Zhongshan University. However, later on, in the 1930s, folklore research at Zhongshan University declined and the Chinese Folklore Society based in Hangzhou became more active.
    During this period, the largest art organization called Yifengshe(藝風社) was established in Hangzhou. The main members of Yifengshe were Xu Beihong, Zhong Jingwon, and Feng Zikai, who were active in Shanghai and Hangzhou. The organization had about 600 members. In the organization’s journal Yifeng(藝風), there was a special section dedicated to folklore. From the 9th issue of volume 1, when Zhong Jingwon's writing was published, Yifeng, which mainly focused on art, began presenting folklore-related content. Most of the articles published by Zhong in Yifeng were submitted when he was studying in Japan. The topics of his articles included otter legends and Dongguk Sesigi(東國歲時記), a book about seasonal customs in Korea.
    From the spring of 1934 to the summer of 1936, Zhong was part of the Chinese Literature Research Society in Japan, along with studying folklore and cultural anthropology at the Literature Department of Waseda University in Japan. Zhong developed his research while interacting with folklorists such as Nishimura Shinji, Matsumo Novuhiro, and Matsumura Takeo, as well as scholars of Chinese literature such as Takeuchi Yoshimi, Saneto Keishu, and Masuda Wataru. Zhong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nducting cultural research in neighboring countries in order to examine the source and influence of one’s own country’s folklore. Thus, it seems that Son Jin-tae's Joseon Folktales was chosen for translation not only because it is an important collection of Korean folklore but also because it could help shed light on the origins of Chinese folklore. Furthermore, the fact that Son Jin-tae's folktales were written in Japanese would have made it convenient to translate them and bring them to Chinese readers.
    In other words, the Chinese translation of Joseon Folktales was possible because Japan and Japanese language served as a medium, and the book was judged to be helpful in identifying the root of Chinese folklore. The unfortunate situation of colonial Joseon also played a role in the introduction of Korean folktales collected by Korean scholars to China using modern research methods. The limitation of this paper is that the discussion only focused on Zhong Jingwon, the husband, and did not sufficiently illuminate the wife Chen Qiufan, who was the translator of Joseon Folktales. In the future, we hope that adequate objective and meaningful data will be collected to make up for the shortcom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