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禪源諸詮集都序』의 간행과 유통판본 고찰 - 中國과 韓國 유통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ublication and Circulation of the Ch'an-yüan-chü-ch'üan-chi Tu-hsü - on the basis of its editions in China and Korea -)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1.02
40P 미리보기
『禪源諸詮集都序』의 간행과 유통판본 고찰 - 中國과 韓國 유통본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59호 / 197 ~ 236페이지
    · 저자명 : 서수정

    초록

    圭峯宗密(780∼841)의 『禪源諸詮集都序』는 唐 大中 11년(857) 裴休(791∼870)의 필사본이 전해지면서 유통되기 시작했다. 배휴의 필사본은 중국동남쪽 지역으로 유통되었고, 이 필사본을 955년 이후 契玄이 杭州에서 간행했다. 이후 계현의 宋板本은 上下 2권본 『도서』의 母本이 된다. 계현의송판본이 간행되기 전인 952년에 필사한 智淸의 敦煌本에서도 上下 2권본의 흔적이 발견된다. 계현의 송판본은 10세기말쯤 국내에 전래되어 유통되면서 1493년 花岩寺本을 비롯한 조선시대 간행된 대부분의 현존 판본이이 송판본을 底本으로 하여 간행‧유통되었다.
    송판본과 다른 계통의 판본은 1303년 雪堂普仁이 간행한 판본으로, 이는 4권본 『도서』의 母本이 된다. 이 계통은 15세기 전반 明나라 永樂北藏本에서부터 나타난다. 영락북장본에는 952년에 필사된 돈황본과 같은 圖式이 그 당시까지도 유통되었음이 확인된다. 하지만 1607년에 간행된 嘉興藏本에서는 4권으로 分卷하는 방식도 달라지고 기존의 돈황본이나 영락북장본과는 다른 새로운 도식으로 바뀌게 되었다. 가흥장본은 이후 일본의 縮刷藏本이나 大正藏本 등에서 明藏本 계통의 底本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선시대 당시 국내에도 명장본 계통이 알려져 필사되어 간간이 유통되어 온 사실이 확인된다. 하지만 1681년 가흥장본을 실은 중국 표류선이 국내에 들어오고 나서야 본격적으로 명장본 계통이 유통되기 시작하였고, 1694년에는 이를 복각한 龍興寺本이 나왔다. 이후 송판본과 명장본 계통이빠르게 유통‧수용된 흔적은 조선후기에 간행되기 시작한 都序私記 판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Ch'an-yüan-chü-ch'üan-chi Tu-hsü 禪源諸詮集都序 written by Kui-fêng Tsung-mi 圭峯宗密 (780-841) was transcribed and circulated by Pei-xiu 裴休 (791-870) from the first time in 857. The transcribed copies had come into being some sort of different editions of the Tu-hsü depending on transmitted regions and periods.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classify the different editions published in China on the basis of its printed records in existence and to examine how the different editions were circulated and published in Korea.
    The Pei-xiu's transcribed copies had been circulated in southeast regions of China and printed initiatively by Ji-xuan 契玄 in Hangzhou 杭州 since 955. The Ji-xuan's Song edition had been the original text with two volumes of the Tu-hsü. Before the Song edition, it was identified that the Dunhuang manuscript was constituted in two volumes of the Tu-hsü transcribed by Zhi-qing 智淸 in 952. Handed down from China to Korye around the late of the 10th century, the Song edition had been circulated as the original text and mostly pu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beginning with the version of Hwaamsa 花岩寺 in 1493.
    Another different edition was published by Xue-dang Pu-ren 雪堂普仁 in 1303 which had been the original text with four volumes of the Tu-hsü. This edition had been identified beginning with the version of Northern Yung-lê Edition 永樂北藏 in the early of the 15th century. In the version of Northern Yung-lê Edition, the diagram was the same pattern with the Dunhuang manuscript in 952.
    But the version of Chia-hsing Edition 嘉興藏 published in 1607 was varied in dividing volumes and its diagram considerably. This version had become the base text of Ming edition in Shukusatsuzō縮刷藏, Taishōzō 大正藏, etc..
    It was identified that the Ming edition had been transcribed in the Joseon Dynasty. However, in 1681, a Chinese ship shored up on the coast of islands in South Jeolla Province, and in the wrecked ship the Ming edition was gathered and finally beginning to be circulated.
    The reprinted version of Ming edition was published at Yongheungsa 龍興寺 temple in 1694. It was identified that the different editions of Song and Ming swiftly influenced on the versions of commentary on the Tu-hsü, Doseo-Sagi 都序私記 in the late of th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