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배제와 재 포함에 관한 동시대적 고찰 - 마머데이의 『새벽으로 지은 집』을 중심으로 - (The Contemporary study on Exclusion and Re-inclusion - Focused on Momaday's House Made of Dawn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2.12
26P 미리보기
배제와 재 포함에 관한 동시대적 고찰 - 마머데이의 『새벽으로 지은 집』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42권 / 4호 / 287 ~ 312페이지
    · 저자명 : 차보영

    초록

    소외에 대한 인간의 극복 의지는 시대를 초월하는 개념이다. 동시대의 화두인 소통과 화합은 이러한 소외를 전제로 하고 있으며, 포스트 모던의 시대에 들어서 오히려 빈번해진 소외와 배제의 현상은 이것이 진부한 문제의식이 아님을 반증하고 있다.
    이에 원주민 문학에서 나타나는 배제의 문제에 대해 조르주 아감벤(Giorgio Agamben)과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그의 사상의 기본적 매커니즘이 원주민 문학이 말하는 공동체로의 복귀와 유사성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감벤은 호모 사케르라는 개념을 통해 이중배제를 설정함으로써 배제의 극단을 제시하였다. 이들은 어떤 정치권력의 보호도 받지 못한 채 죽음의 위협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는 존재들을 일컫는 말이다. 본고에서는 마머데이(N. Scott Momaday)의 『새벽으로 지은 집』(House made of Dawn)에서 주인공 에이블(Abel)을 호모 사케르로 규정하고 그가 겪는 소외와 아감벤이 말하는 배제를 비교하였다.
    에이블의 배제와 재 포함을 말하는 과정에서 필자가 고찰한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의 개념은 동시대의 포스트 모더니즘적인 상황을 넘어선, 그 이상의 것을 요구하는 시대의 요청에 부응하는 답변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이 표방하는 일종의 기표의 절대성에 대한 부정은 권위의 해체와 벗어남이라는 근본적인 취지를 망각한 채 수많은 문제들을 만들어 내었다. 그리고 이는 결과적으로 오늘날 호모 사케르적 인간들의 일반화를 초래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아감벤은 이러한 의미에서의 포스트 모더니즘을 부정하며 호모 사케르들의 법과 종교로의 재 포함을 촉구한다. 이에 필자는 그의 논리를 통해 동시대성을 고려하며 호모 사케르인 에이블의 공동체로의 재 포함을 말하였다. 이를 위한 작동원리로 아감벤은 세속화의 원리를 제시하며 이에 필자는 거기에 상응하는 의미로 원주민의 전통에 대한 인정과 수용을 언급하였다. 본고에서 언급한 대안의 한 형태는 주인공 에이블의 정체성 인식과 인정이며 이는 그의 공동체로의 재 배치를 가능하게 만든 구심점이 된다. 그가 공동체의 적대자인 호모 사케르가 된 뒤 추방을 당하고 다시 공동체로의 회귀를 통해 구성원으로서의 재 배치를 보여주는 과정은 분리와 소외를 극복하고자 하는 동시대의 지속적인 문제 의식에 대한 해결 방식을 보여주는 좋은 예가 될 것으로 보인다. 소외와 이중 배제의 고통을 겪는 시대의 호모 사케르를 위한 인간의 고민은 시간이 흘러도 그 문제적 부피가 경감되지 않는 영원한 화두이다.

    영어초록

    Human being's spirit of conquest over alienation is a concept transcending all the times. Moreover, mutual understanding and harmony, which are conversation topics of contemporary, are based on a premise of that alienation. In addition, the fact that a phenomenon of alienation and exclusion has occurred more frequently entering an age of post modern instead is a counter evidence of the idea that it is a consciousness of a worn-out issue.
    As such, this study explores an issue of exclusion based on Giorgio Agamben's idea, concluding that his fundamental mechanism showed a similarity with a return to community which was said by a native literature. To introduce extreme of an exclusion, Agamben instituted a dual exclusion through a concept of Homo Sacer, who was called for the existences, defenselessly exposed to the threat of death without any protection from political power. Thus, this study compared an alienation, experienced by Abel in N. Scott Momaday's House Made of Dawn and a exclusion as told by Agamben.
    long the line of speaking Abel's exclusion and re-inclusion, Agamben's concept of Homo Sacer, this study focused on, was rather an answer to meet the need of the time which asked more than post modernistic circumstance of contemporary. Losing sight of the fundamental purposes, or breakup and liberation, negating absoluteness of a kind of signifier, as supported by post modernism, has produced a number of issues. In addition, it eventually has played a critical role in bringing a generalization of human being, characterizing it as Homo Sacer. In this way, Agamben gainsaid post modernism and strongly claimed re-inclusion of Homo Sacer toward a law and a religion. Thus, following his logic, this study meant a re-inclusion as Abel's community, which was Homo Sacer. As a principle of operation to help it, Agamben suggested a principle of secularization. Therefore, this study mentioned acknowledge and acceptance of native's tradition as a corresponsive meaning for the principle of secularization.
    In the body, the alterantive of Abel's acceptance and knowledge becomes the main power which makes him re-include to his community. The process of exile, re-inclusion and being a member of his community again are the persuasive example about a solution we need. That is, it can be the presentation of strong will for surmounting separation and alienation. Human being's agony toward Homo Sacer in the time of experiencing the anguish of alienation and a dual exclusion is a discussion topic of importance, the least likely issues to change over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