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족을 기억하는 문학적인 방식 -1940년대 중반 기념시집을 중심으로- (A Literary Method Remembering Natio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0.04
26P 미리보기
민족을 기억하는 문학적인 방식 -1940년대 중반 기념시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30호 / 289 ~ 314페이지
    · 저자명 : 강정구, 김종회

    초록

    도적 같이 온 해방은 민족이라는 기표를 사유하고 그 의미를 실질적으로 채워야 하는 낯선 과제를 1940년대 중반에 제기했는데, 이러한 과제에 대한 문학적인 응답은 해방과 삼일운동과 같은 민족의 주요 사건을 기념하는 세 권의 시집-《해방기념시집》,《삼일기념시집》,《횃불》-에서 잘 찾아졌다. 이 때 기념 혹은 기억이란 현재의 필요에 따라서 과거의 사건을 전유하는 민족주의 담론의 일종이 된다는 점에서 주목해 볼 필요가 있었다.
    첫째, 시집《해방기념시집》에서 주목되는 것은 한민족․일본․연합군의 표상이었는데, 이 표상은 시집 참여자의 민족주의 논리에 따라 과거에 대한 기억/망각이 어떻게 나타나느냐 하는 점을 보여줬다. 먼저, 한민족과 일본의 관계는 식민지 사회에서 비교적 협력하면서 저항하는 양가적․다면적인 관계였는데, 시집에서는 시 <속박과 해방>에서 보이듯 강력한 저항적 민족주의 담론의 영향 아래 놓였다. 이러한 영향은 한민족과 일본 사이의 양가적․다면적인 과거 관계를 망각하고 저항의 기억을 강조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예는 한민족과 연합군 사이의 관계에서도 확인되었다. 시 <연합군입성환영의 노래>에서처럼 연합군은 식민지 사회에서 사실상 적이었으나, 해방 이후 이러한 기억이 망각되고 “우리들의 동지”로 인식되었다. 해방은 과거의 관계를 기억/망각하게 만드는 사건으로써, 한민족이라는 민족 기표의 위상이 바뀌었음을 암시했다.
    둘째, 시집《삼일기념시집》에서는 삼일운동이라는 과거 사건이 좌우 이념에 상관없이 민족주의 역사 담론을 통과하면서 어떻게 기억되고 현재의 필요에 따라 전유되는지를 드러냈다. 삼일운동은 무엇보다 쇠락한 현재(1940년대 중반)를 극복하는 데에 필요한 중요한 교훈을 줄 수 있는 찬란한 과거로 기억되었다. 삼일운동이란 시 <재배하오리-삼일운동에돌아간애국지사영앞에>에서는 혼란․좌절의 현실에서 요구되는 구국희생정신을 선취했던, 그리고 시 <3월1일이온다>에서는 임화의 이상적인 미래인 인민 민주주의의 정신적인 요체를 지녔던 실천으로 가공되어 서술되었다. 이 지점에서 삼일운동은 3단계 민족주의 역사 담론으로 전유되어 쇠락한 현재와 이상적인 미래를 위해 그 결여를 메우는 찬란한 과거로 서술되었다.
    셋째, 시집《횃불》에서는 발간 주도자가 어떻게 계급혁명에 대한 집단의 기억을 되살리면서 민족주의 담론에 참여하는가 하는 것을 나타냈다. 이 시집의 발간 주도자가 주목한 기억은 해방 이전의 계급혁명에 관한 것이었는데, 이러한 기억은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동맹의 정체성을 보증하는 집합기억이 되었다. 1920-30년대 프로문학의 목소리가 거의 그대로 보존된 시 <날러라 붉은 기>는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동맹이 프로문학과 연속성을 유지하고 자기 집단의 정체성을 규정짓는 방식을 잘 보여줬다.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동맹은 이처럼 계급혁명을 일종의 인식틀로 삼았기 때문에, 1940년대 중반의 현실을 바라보는 시각도 그에 따른 것이 될 수밖에 없었다. 소련군의 입성을 찬양하고 그들을 지지하는 시 <축연>은 그러한 한 예가 되었다.
    1940년대 중반은 민족 기표가 2좌1우의 이념적인 대립으로 이미 고착화된 것이 아니라, 막 형성 중이던 시기였다. 다시 말해서 민족이라는 상상공동체는 당대에 상당히 다면적․다양한 욕망들이 이합집산하는 과정을 통해서 복잡하게 조형되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bout a making of nation signifier in the middle of 1940's. 8.15 Liberation come suddenlly in 1940's, so a problem what is nation is presented in an intellectual society. in this essay, that answer is researched in The Liberation Memorial Works, 3.1 Memorial Works, and The Liberation Memorial Works -A Torchlight.
    The Main poems in The Liberation Memorial Works, show how occured the memory/ oblivion on the Han race, Japanese, and the allied forces. This essay researched the relation change from 8.15 Liberation before of after. And the Han race and the allied forces such as the U.S. or the Soviet Union.
    3.1 Memorial Works is recording of how remember 3.1 Movement in that need of the present or the ideal future. 3.1 Movement is recorded who discuss what. For exemple, Lim, hwa insisted that 3.1 Movement is the practice of mind of his people's democracy. This He have sole possession in the 3.1 Movement.
    Also The Liberation Memorial Works -A Torchlight is how shows collective memory on the class struggle that was in the 8.15 Liberation before by Chosun Proletarian Literature Alliance. They thought a need of the class struggle, and practiced tha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