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선일보』에 실린 「시현실 동인집」과 동인 활동의 문학사적 의의 (A Study on Collection and Activities of ‘The Poetry-Reality Coteri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8.06
40P 미리보기
『만선일보』에 실린 「시현실 동인집」과 동인 활동의 문학사적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65호 / 125 ~ 164페이지
    · 저자명 : 김진희

    초록

    본 논문은 1940년 8월 23일부터 8월 29일까지 6회에 걸쳐 발표된 「시현실 동인집」에 관한 연구이다. ‘시현실 동인’은 그 동안 1930년대 초반 김기림, 이상, 그리고 『삼사문학』을 계승한 유파로, 초현실주의 시의 관점에서 연구, 평가되어 왔다. 본 연구자는 선행 연구들의 문학사적 성과를 수용하면서, 조금 더 진전된 논의를 진행하였다.
    첫째, 「시현실 동인집」이 출현하게 된, 문단적, 문화적, 작가적 상황에 대한 고찰로 함경북도 초현실주의와 만주 아방가르드에 관해 논의했다. 우선 ‘시현실 동인’의 활동과 그 궤적을 살폈는데, 시현실 동인의 거주지는 함경북도의 청진, 성진 등과 길림의 도문 지역이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들이 『맥』이라는 잡지를 기반으로 초현실주의 시를 창작했던 시인들이었음도 알 수 있었다.
    둘째, 국제적 운동의 관점에서 초현실주와 아방가르드를 연구했다. 당대 조선의 초현실주의 및 아방가르드 예술은 일본의 잡지 『시와 시론』 등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발전했다. 그런데 1930년대 중반 이후 일본이나 유럽 등에서 초현실주의는 정치적 아방가르드로 선회하고 있었고, 만주는 일본 본토보다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지정학적 위치를 갖고 있어서 아방가르드의 정치성이 보다 강조될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만주의 매체에 시를 발표한 ‘시현실 동인’은 당대 국제적인 흐름을 이해, 수용하면서 일본 제국에 저항하는 시쓰기를 선택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시현실 동인집」에 드러난 이질적인 오브제의 상징성과 정치적 무의식을 달리(Dali)의 그림과 시네 포엠(Cine-Poem) 형식을 통해 읽었다. 특히 상징적인 비유어들을 당대 식민지의 구체적인 현실이나 일본 제국의 침략 상황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시현실 동인’의 현실인식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시현실 동인’의 주 창작 무대였던 함경북도의 청진, 성진 그리고 중국의 도문은 일본 제국주의 침략의 근거지로 수탈과 차별이 심각하게 일어나던 지역이었다. 이런 현실은 문인들에게 자연스럽게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보다 비판적인 문제의식을 심어주었다. 시현실 동인들이 해방 이후 북한 문단에서 활동을 이어가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시현실 동인’은 1930년대 시문학사에서 지속되던 초현실주의 시의 흐름을 지역적, 정치적으로 확장 계승한 문학인이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searches on the works of The Reality of Poetry Coterie published 6 times from August 23rd to August 29th in 1940. The Reality of Poetry Coterie was a school who succeeded Kirim Kim, Sang Lee and 34 Literature of the 1930s and has been studied upon and evaluated from a surrealist perspective. While accepting the literary historical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 have furthered the discussions.
    First, I have discussed about the Hamkyung North Province surrealism and ‘the Manju advant-garde’ as a study upon the circumstances of literary circles, culture and writers after the works of ‘The Poetry Reality Coterie’ appeared. Above all, examining the activities and traces of ‘The Poetry Reality Coterie’, I have discovered that they resided in the Domun areas of Jilim such as Chungjin and Sungjin of Hamkyung North Province and were poets who wrote surrealist poetry based around the magazine Maek.
    Second, surrealism and advant–garde has been studied from international perspectives. The surrealist and advant-garde arts of Chosun at that time developed in close relation with the Japanese magazine, Poetry and Poetics. However, after the mid-30s, surrealism turned politically advant-garde in Japan and Europe, and as Manchuria was comparatively a more liberal location than mainland Japan, the political nature of advant- garde could be emphasized more. In this respect, ‘The Poetry Reality Coterie’ who published their poetry through Manchurian media understood and accepted the international trends and chose to write poetry resisting the Japanese empire.
    Third, the present study read the symbolism and political unconsciousness of disparate objet of ‘The Poetry Reality Coterie’s works through the paintings of Dali and the Cine-Poem form. Especially, the symbolic figurative words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specific reality of the colony and the condition of Japanese imperialist invasion. A concrete understanding of ‘The Poetry Reality Coterie’s awareness of reality could be achieved.
    Chungjin and Domun which were the main creative stage for ‘The Poetry Reality Coterie’ were the base of Japanese imperialist invasion and areas where severe exploitation and discrimination occurred. Such reality naturally instilled into the poets an acute critical awareness of Japanese imperialism. The coterie’s continuous activities in the North Korean literary circles after the liberation from imperialism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In this sense, it can be said that ‘The Poetry Reality Coterie’ consisted of literary men who extended and succeeded the surrealist poetical trend which continued throughout the 1930s literary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