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종 26년 智異山 鐵窟에서 조성된 불교의례집의 성격 (A study on the cultural character of the Buddhist rituals Heritage that the Cheolgul―Temple(鐵窟) has created in the King―Jungjong(中宗)'s 26th year of the the Joseon(朝鮮)―Dynast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2.06
35P 미리보기
중종 26년 智異山 鐵窟에서 조성된 불교의례집의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62권 / 397 ~ 431페이지
    · 저자명 : 최영호

    초록

    이 글에서는 16세기 중엽 지리산 철굴에서 조성된 불교경판의 종류를 새롭게 분류한 다음, 특히 중종 26년 철굴에서 조성된 현존 불교의례집의 기본정보를 정리하고, 해당 불교의례집에 담긴 불교 문화적인 성격을 집중적으로 진단하였다.
    16세기 중엽 지리산 철굴에서 조성된 불교경판은 기존 연구에서 정리ㆍ소개된 7종류보다 많은 최소 12종류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 불교경판 가운데 불교의례집으로 분류되는 『오대진언』ㆍ『영험약초』의 합부와 『승가일용식시묵언작법』ㆍ『영혼문』ㆍ『증수선교시식의문』ㆍ『구병시식의문』의 인출본에 담긴 외형적 형태ㆍ구성체계ㆍ간행정보 등과 같은 기본정보를 주목하여 정밀하게 정리하였다. 이들 불교의례집에 표기된 원천정보는 현존하는 관찬 사서ㆍ지리지 및 개인 문집 등에서도 거의 확인할 수 없으므로, 중종 26년 당시 지리산 철굴의 존재 실체와 불교경판 조성사례, 현실ㆍ대외인식, 사상적 성격, 조직체계 및 연계망 등 다양한 역사ㆍ문화적인 실체를 진단할 수 있는 핵심적인 자료로서의 가치를 가진다.
    우선, 중종 26년 철굴에서는 불교의례집을 왕실 주도로 조성된 판본과 원나라의 승려지식인 蒙山 徳異의 주석 판본을 저본으로 삼아 새롭게 조성하였다. 『증수선교시식의문』은 몽산 덕이가 주석한 판본을 저본으로 활용하였으며, 『오대진언』ㆍ『영험약초』는 성종 16년 인수대비의 주도로 조성된 해당 판본을 원천텍스트로 삼아 동일한 글자 형태로 모사하는 동시에, 후기ㆍ간행정보 등 제한적인 부분에서 새롭게 편집하여 간행하였다.
    다음으로, 간행정보에서는 중종 26년 철굴의 역사적인 기본정보와 함께 연계된 사원 및 인적 연계망을 확인할 수 있다. 지리산의 철굴은 중종 26년 당시 지리산의 신흥사와 긴밀한 인적 연계망을 맺고 있었다. 그리고 해당 불교의례집의 조성과정에서는 사회적 연계망도 구축하여 승려ㆍ세속인으로 구성된 敎俗 이원적인 협조체제로 조직체계를 운영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 중종 26년 철굴에서 조성된 불교의례집에는 조선 왕실 및 부처ㆍ불교의 전통적인 권위ㆍ위상을 수용하였으며, 명나라 중심의 대외 인식관도 반영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중종 26년 당시 철굴에서는 진언의 수지ㆍ독송으로 탈윤회ㆍ해탈ㆍ극락왕생 및 복ㆍ장수ㆍ안녕 등을 기원ㆍ성취할 수 있다는 밀교적인 공덕ㆍ영험신앙도 가지고 있었다. 승려들의 일상적인 의례와 함께 선대ㆍ가족 등의 영혼을 위로ㆍ공양하는 불교적인 제례의식도 주목하고 있었으며, 몽산 덕이의 불교적인 제례를 계승하는 의식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불교적인 제례의식은 성리학적 지배이념이 확산된 조선사회에서도 조상숭배의 제사의례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사회적인 확장을 모색할 수 있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 to analyze into the source information & the Buddhist cultural character of the Buddhist rituals Heritage that the Cheolgul―Temple has created in the King―Jungjong's 26th year(1531) of the the Joseon―Dynasty. in this process, it has been arranged the surface configuration forms & published information of 『the Five Great Mantras(五大眞言) 』& 『the Seunggasisigilyongsiksimuckeonjakbeop(僧家日用食時黙言作法)』 that it was created in the Cheolgul―Temple at this time. and based on these source information, the historical & cultural substance was diagnosed.
    First, the original text of the Five Great Mantras was used as the edition that the Insu―Queen dowager(仁粹大妃) has published in the King―Seongjong's 16th year(1485) of the the Joseon―Dynasty. in the course of publication, it was newly edited in limited areas such as the postscript(後記) & the publication information.
    And in the King―Jungjong's 26th year of the the Joseon―Dynasty, the Cheolgul―Temple have closely connected the personal network with the Sinheung―Temple(神興寺) of the Jiri―Mountain(智異山). the published organization of the Cheolgul―Temple have been operated the cooperation of a Buddhist-monk and a officialdom(敎俗).
    Along with this, the published edition of the Cheolgul―Temple have been reflected the traditional authority of the Joseon―royal family & the Buddhist authority. and the published edition of the Cheolgul―Temple have been reflected the Eesotericism(密敎) viewpoint of the Buddhism at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