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3대 전래동화집의 성격과 그 편찬 배경 (The characteristics and compilation background of the three collections of traditional fairy tales in Colonial Chos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2.09
30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3대 전래동화집의 성격과 그 편찬 배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73권 / 185 ~ 214페이지
    · 저자명 : 백민정

    초록

    본고는 한국의 전래 동화사에 있어서 구비 동화가 기록화되기 시작한 일제강점기의 3대 전래동화집의 성격과 그 편찬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전래동화의 장르적 정체성을 규명해 보았다. 오랜 역사를 거치며 우리 민족에게 향유된 구비문학 중의 동화류를 ‘구비동화’로 명명했다. 이는 ‘전승 매체의 분화로 인한 변개’가 이루어지기 이전 구비문학 중의 동화류를 뜻하는 것이다. 일제강점기 때 신식 인쇄술이 발달하고 서구식 학교 교육이 이루어지기 시작하면서 전래동화집이 출현한다. 여기에 구비동화를 이야기의 원형으로 하면서 글이라는 매체로 장르 변개를 이룬 것 즉, 전래동화가 수록된다. 이것이 바로 전래동화집이라 할 수 있다. 단, 전래동화는 근대에 등장했지만, 우리에게 있어서 동화의 역사는 구비동화가 있어왔던 근대 이전의 시기를 모두 수용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최초의 전래동화집인 「조선동화집」(1924)은 조선총독부에서 일본어로 편찬되었다. 이는 당시 조선의 아동들을 식민지 국민으로 만들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일어교육을 주된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2년 뒤에 심의린에 의해 최초의 우리말 동화집인 「조선동화대집」이 편찬되었다. 교육자이자 한글학자인 심의린은 이 책의 편찬을 통해 우리말 교육 및 민족 문화 보존을 위해 일제에 저항하였다. 1940년에 박영만은 「조선전래동화집」을 편찬한다. 그는 독립운동가였는데 이 책의 편찬을 통해 일제의 민족 말살 정책에 저항하고, 우리 민족 문화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침략적 의도이든 애국계몽적 의도이든, 당시 ‘아동’은 각자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대상으로 가장 유용하고 희망적인 존재였다. 이들을 식민지 국민으로 만들려는 일제의 노력이나, 광복의 꿈을 실현시킬 주체로 희망을 걸었던 애국지사들의 노력이 모두 동화집 발간으로 표면화되었다. 조선의 식민지화를 위해 조선의 문화와 정신을 제거하려 했던 일제와, 희망을 잃지 않고 국가의 미래를 기약하는 애국지사들의 독립 염원과 저항이 모두 전래동화집 편찬으로 이어진 것은, 다른 나라의 근대 문학에서는 볼 수 없는 우리만의 특수성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and compilation background of the three collections of traditional fairy tales in Colonial Choson when oral fairy tales began to be recorded in the historical viewpoint of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In the first step I have defined the genre identity of traditional fairy tales. I classified fairy tales in oral literatures inherited by our people through a long history as ‘oral fairy tales’, which means fairy tale genre among oral literatures before the modification caused by the split of inheritance media was established. Collections of traditional fairy tales appeared in Colonial Choson as new printing techniques were developed and western academic curriculums were introduced. In such stream the modified story genre, originated from traditional oral fairy tales, in text media format was published as a collection of traditional fairy tales. Although traditional fairy tales appeared in modern times, I clarified our fairy tales history includes all premodern times when there existed oral fairy tales.
    The first collection of traditional fairy tales, Choson Donghwajip(1924), was published in Japanese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t mainly intended for Japanese education which is one of the policies to make Choson’s children as colonial people. After two years the first Korean collection of traditional fairy tales, Choson Donghwadaijip, was published by Shim Eui-rin. He as an educator and a Hangeul scholar resisted against Japan for Korean education and the preservation of national culture by the publication. Park Young-man published Choson Jeonlae Donghwajip at 1940. He, an independence activist, resisted policies to obliterate Korean nationalism and struggled to preserve Korean culture through the book’s publication.
    At that time, children were the most useful and hopeful creature as a subject to realize personal ideology whatever it was based on colonialism or patriotic enlightenment. The both efforts for Japanese to make Koreans as colonial people and for Korean patriots to realize the dream of independence were formulated through the publication of fairy tales. It was our unique literary characteristic distinguished with other countries’ literatures that the both Japanese attempt to obliterate Choson’s culture and nationalism for its colonialism and Korean patriots’ desire and struggling with the hope for future national independence were driven to the publication of traditional fairy ta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