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읍성의 인구 구성과 상업 집적 특성 (Population Composition and Commercial Agglomeration Characteristics of Eupseo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22.07
33P 미리보기
조선 후기 읍성의 인구 구성과 상업 집적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도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도시연구: 역사·사회·문화 / 30호 / 131 ~ 163페이지
    · 저자명 : 김승정, 박인권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전통 시대 도시의 한 유형으로서 읍치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중에서도 성곽으로 둘러싸인 읍성 읍치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20세기 초 인구통계인 『민적통계표』의 다중회귀분석에 따르면, 읍치는 상업・공업 등 비농업 활동이 집중된 곳이지만, 비농업 부문은 인구를 읍치와 그 주변 지역으로 능동적으로 유인하기보다는 지역 전체의 수요에 따라 변동하는 요소라고 추론된다. 특히, 읍성 읍치에서는 비읍성 읍치보다 상업 기능의 집중도가 낮았다는 사실이 가장 주목할 만한데, 이는 약 25~70%의 읍성에서 장시는 성 밖에 입지하고 있었다는 『임원경제지』와 『1872년 지방지도』의 분석 결과에 의해서도 뒷받침된다. 상인들이 성 내에 집주하였던 중세 유럽 도시의 특성과는 대비되는 사실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상업을 천시하는 사회적 차별인식 때문이라기보다는, 행상들이 일일 단위로 이동해야 하는 장시라는 정기시적 특성과 안전에 대한 위협의 부재가 가장 큰 요인이라고 여겨진다. 읍성이 성장경계로 작용하면서 구매력이 낮은 중소상인 계층이 성 외곽으로 밀려났을 가능성도 떠올릴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조선 후기 읍치와 읍성의 도시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정기시로 대표되는 당대 상업의 성격을 적절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research on an Eupchi (county ruling place, 邑治), a type of Korean traditional city, and investigates characteristics of an Eupseong (walled town, 邑城), an Eupchi enclosed by fortress wal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population census data (『民籍統計表』) in the early 20th century, Eupchi was a place where non-agricultural activities such as commerce and manufacturing were concentrated. However, it is inferred that the non-agricultural sector was a factor that depended on the demand of the regional population rather than attracted the population to the Eupchi. In particular, it is most noteworthy that the concentration of commerce was lower in Eupseongs than in unwalled Eupchis. This finding is also supported by an examination of Imwonkyungjeji (『林園經濟志』), an agricultural encyclopedia written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the Provincial Map of 1872(『1872年 地方地圖』), which showed that Jangsis (periodical markets, 場市) were located outside the walls in approximately 25-70% of Eupseongs. This was in contrast to the characteristics of medieval European cities, where merchants settled within city walls.
    It is believed that this phenomenon was not due to the social discrimination that despised merchants but rather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ic market (Jangsi) where peddlers had to move on a daily basis and the absence of a threat to safety. As the walls served as a growth boundary, it could also be inferred that small merchants with low purchasing power were pushed out of Eupseo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precisely understand the commerce of the time represented by Jangsis in order to investigate urban characteristics of Eupchis and Eupseo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