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전본풀이>에서 집과 인간과 자연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and man and nature in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21.02
32P 미리보기
&lt;문전본풀이&gt;에서 집과 인간과 자연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속학 / 42호 / 7 ~ 38페이지
    · 저자명 : 허남춘

    초록

    <문전본풀이>는 신의 좌정 과정을 보여주지만, 그것은 집안의 인간의 관계를 말해 주고 있다. 첫째는 부자관계다. 문전신과 정낭신의 관계인데, 높은 위치에 있거나 슬기롭다고 하는 사람이 실제로는 어리석고, 낮은 곳에 있거나 어리석다고 여기는 사람이 오히려 슬기로움을 보여준다. 명분의 허실을 떠나 현명하고 용기 있는 사람이 집안의 수호자로서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하게 제안하고 있는 것이다. 낡은 질서가 물러나야 새로운 질서가 서고 그것이 사는 이치로 작용해야 함을 일깨운다.
    둘째는 처첩갈등이다. 조왕신과 측간신의 관계에서 우리는 우선 둘이 반목하였으니 ‘부엌과 화장실은 멀수록 좋다’는 속담 속에 과학적 지식이 숨어 있음을 알아차린다. 그런데 거리를 두지만 집안 울타리 안에 공존한다. 싸우다가 화해하게 되는데, 화해가 싸움이고 싸움이 화해인 원리다. 적당한 선에서 타협할 줄 안다. 언제나 처첩 갈등과 화합은 공존하고 있다. 선악이 공존하듯이 갈등이 화합으로 귀결하는 것이다. 그래서 상생이 상극이고, 상극이 상생이 되게 한다.
    그리고 똥이 다시 먹을 것이 되고, 측간의 것이 부엌으로 가는 순환의 질서를 우리는 주목하게 된다. 이 세상 모든 것이 이렇게 순환한다. 안과 밖, 인간과 자연, 먹는 것과 배설한 것이 연결되어 있고, 분별과 공존이 연결되어 있다. 인간의 몸이 자연물이 되었다가 다시 인간의 몸으로 돌아오게 되는 순환성을 주목하면 좋겠다. 시체화생의 창세적 모티브가 있는데, 모양이 비슷한 것이 생성되었다는 것은 유감주술적 사유의 흔적이라 하겠다.
    셋째는 부부관계다. 조왕신과 정낭신의 관계에서 우리는 역할분담의 지혜를 얻게 된다. 먹는 것과 아이 양육의 중심인 어머니 조왕신은 집안을 책임진다. 대문 밖 올레를 통해 나가 만나게 되는 마을길은 이웃과 통하는데, 마을의 대소사를 논하고 공동체적 삶을 일구는 것은 아버지 정낭신이 책임진다. 안과 밖의 장소성에 기대어 역할분담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일깨운다.
    <문전본풀이>는 집안의 인간관계를 설정하고 있고, 인간과 자연의 관계도 돌보고 있다. 신이 인간을 보살피는 신성한 공간을 설정하여 인간이 신성하게 살아가게 하고 있다. 인간이 자연의 일부가 된다고 보아 인간과 자연을 대등하게 설정하고 있다.

    영어초록

    <Munjeonbonpuri> shows the process of God's enthralling in the house. It also tells about human relationships in the family. The first is father-son relations. This myth rather shows that he is actually foolish who is in a high position or who is said to be wise, and shows that he is wisdom who is in a low place or considered foolish. A wise and courageous man serves as the guardian of the family. This myth shows that the old order must be withdrawn to create a new order, and that the son God has the upper hand over the father God.
    The second is the conflict between a wife and a concubine. The kitchen god and the toilet god fight and kill each other. So they sit at a distance, but coexist inside the house fence. The two are reconciled in a fight. This is the principle that reconciliation is a fight and a fight is a reconciliation. The two know how to compromise on the right lines. Conflicts and harmony always coexist. Just as good and evil coexist, conflict returns to harmony.
    The excrement becomes food again, and we pay attention to the order of circulation in which the toilet's thing goes into the kitchen. Everything in this world circulates like this. Inside and outside, humans and nature, food and excrement are connected, and sense and coexistence are connected. It would be nice to note the circulatory nature of the human body becoming a natural object and then returning to the human body. In this myth, there is a Genesis motif in which a corpse becomes everything.
    The third is a marital relation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tchen god and the gate god, we gain the wisdom of division of roles. The kitchen god, the mother who is the center of food and child rearing, is responsible for the family. The village road, which leads through the alley outside the gate, connects with the neighborhood.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god of the gate to discuss the affairs of the village and create a communal life. The division of roles i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Munjeonbonpuri> establish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and takes ca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Because God takes care of man, a sacred space is created, and in this holy space man lives holy. This myth sets humans and nature on an equal footing because it sees humans as part of 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