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형의 집의 노라와 나혜석의 비교연구 (Rha Hye-Seok, and Nora of A Doll's Hous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07.12
24P 미리보기
인형의 집의 노라와 나혜석의 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5권 / 2호 / 245 ~ 268페이지
    · 저자명 : 최동호

    초록

    1896년 경기도 수원에서 출생하여 1949년 행려병자로 사망한 나혜석의 삶은 영광과 비극이 점철된 것으로 다른 어떤 근대적 여성과도 구별된다. 그의 생애는 대체로 다음 세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제 1단계는 출생부터 수학기간이다. 1896년부터 동경 여자미술학교를 졸업한 1918년까지이다. 제 2단계는 3․1운동으로 인한 옥고와 더불어 김우영과 결혼하고 이혼하기까지 1919년부터 1930년 11월까지이다. 제 3단계는 이혼의 몰락과 비참한 종말에 이르는 1939년부터 1949년까지이다.
    제 1단계는 총명함으로 자신의 존재를 드날리는 시기이었으나 그의 연인 최승구가 작고하는 충격적인 실연을 체험한 시기이며, 제 2단계는 김우영과의 결혼으로 사회적, 경제적 안정과 더불어 세계 일주 여행 등 화가로서 빛나는 명성을 누리는 동시에, 파리 체류 시절 최린과의 연애사건으로 이혼에 이르는 시기이다. 제 3단계는 재기를 위해 혼신의 힘을 기울이지만 영광의 잔영만 있을 뿐 몰락을 향해 치달린 시기이다.
    나혜석의 전 생애를 조감할 때 그의 영광과 몰락은 운명적인 것이기도 하지만 당시 조선에서 어느 누구도 꿈꾸지 못하던 여성 해방이란 문제와 그가 당돌하게 맞서려하였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오히려 그러한 이유로 인해 그의 생애와 예술은 앞으로도 끊임없이 논의될 수밖에 없다. 그의 삶과 예술을 일관하는 이상은 무엇이었을까. 이를 당시 세계적인 선풍을 불러일으킨 입센의 『인형의 집』의 주인공 노라와 관련시켜 해석해 보면 어떻겠는가 하는 것이 이 글의 논지이다. 1879년에 발표된 『인형의 집』은 19세기말과 20세기 초의 세계사적 격변을 상징하고 여성해방운동의 불꽃을 점화시킨 희곡으로서의 그 주인공 노라와 나혜석을 비교할 때 나혜석의 문학과 예술 또한 세계사적 의미를 갖게 된다고 할 것이다.
    나혜석의 삶과 예술을 「인형의 집」에 대비하여 검토해 볼 때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그의 삶과 선택이 20세기 초 여성해방운동의 기폭제가 된 노라의 그것과 동일할 뿐 아니라 오히려 더욱 적극적이며 실천적이라는 점에서 세계사적 의미를 갖는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구습에 얽매인 여성의 인권을 해방하고 남성이나 여성이 동등하게 활동하고 사랑하는 일이야말로 20세기만의 문제가 아니라 21세기에 이르러 더욱 보편화된 인류의 가치로 대두되고 있다.
    이 점에서 나혜석은 그 비참한 종말에도 불구하고 20세기 초 어떤 다른 여성 선각자보다 새롭게 21세기에 부활한 여성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1세기 그의 빛나는 부활은 그가 「人形의 家」 마지막에서 노래한 바 그대로 20세의 질곡과 폭풍우 지나간 뒤에 진정한 인간으로서 새롭게 조명된 것임을 뜻한다..
    여기에 합리성과 도덕률을 뛰어넘는 나혜석의 혁명적 예술가로서 특성이 발휘되는 것이며, 이로 인해 현실에 의해 버림받았던 그의 역동적인 삶이 현실을 개혁하고 현실을 이끌어나가는 힘을 펼치고 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Rha Hye-seok, who was born in Suwon of Gyeonggi Province in 1896 and died alone and abandoned on the streets in 1949, led a life interspersed with glory and tragedy, one that distinguishes itself from that of any other modern woman. Her life can be generally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from her birth through her schooling, namely, from 1896 to 1918 when she graduated the Tokyo Women's Art School. The second stage is from 1919 to November of 1930, during which she was imprisoned for participating in the 3.1 Korea Independence Movement, got married to Kim Wu-young and then divorced. The third stage is from 1939 to 1949, a period of decline in which she suffered the aftermath of divorce until her miserable end.
    In the first stage, Rha Hye-seok was at the top of her existence, gaining much success through her brilliance, but she also experienced the traumatic death of her lover, Choi Seung-gu. In the second stage, although she enjoyed social and financial security in her marriage to Kim Wu-young, as well as fame and privilege as an artist travelling across the world, she ended up being divorced for having an affair with Choi Rin during her stay in Paris. In the third stage, try as she did to rise again, she was pulled further and further down into ruin.
    In an overview of Rha Hye-seok's life, her misfortunes following her triumphs may have been destined, but they were certainly the directly consequences of her daring actions that tackled the issue of women's liberation head on, that no-one in Korea society at the time had even dreamed of.
    Nevertheless, that is precisely why her life and art have been a constant subject of discussion and will continue to be so. What was the ideal that ran through her life and art? The point of this paper is, 'how about interpreting this in relation with Ibsen's A Doll's House, which stirred a sensation around the world at the time?' A Doll's House, published in 1879, was a play thar came to symbolize the tumultuous times of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and set off a spark in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Hence, comparing Nora, the protagonist of A Doll's House, and Rha Hye-seok, world lend a meaning of world-historical dimension to Rha's literature and art.
    Examining Rha Hye-seok's life in comparison to Nora's in A Doll's House, one can arrive at the following conclusion. Rha's life and choices have world-wide significance, as they are just as progressive and even more radical than those of Nora's which spurred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oh the early 20th century. Redeeming the human rights of women constrained by old custom and allowing women and men to be equal in social conduct as well as love were not only concerns of the 20th century, but they are emerging as universal value of humanity in the 21st century.
    In this sense, Rha Hye-seok, despite her tragic end in her lifetime, can be rightfully called a women pioneer resurrected from the early 20th century. Her splendid rebirth in the 21st century signifies the re-evaluation of her as a true human being after the trials and tribulation of the 20th century, just as is written at the end of her Inhyeong-ui Ga(A Doll's House). Such is Rha Hye-seok's character as a revolutionary artist that transcends rationality or morals, and the power of her dynamic life lives on to reform our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