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한국 전래동화집의 문예적 성격 고찰 (A Study on Literary personality of Korean Fairy Tales Collections during Modern Period)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7.08
38P 미리보기
근대 한국 전래동화집의 문예적 성격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76호 / 49 ~ 86페이지
    · 저자명 : 권혁래

    초록

    ‘동화’, ‘고래동화’, ‘옛이야기’ 등으로도 호칭되는 ‘전래동화(傳來童話)’는 고전서사 중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선정․재화된 근대 서사문학 텍스트를 일컫는 용어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근대 시기 출판된 한국전래동화집의 출판과 문예적 성격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론에서는 첫째, 근대 전래동화집의 출판과정, 둘째, 근대 전래동화집의 문예적 성격, 셋째, 인물과 주제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첫째, 근대 전래동화집의 출판과정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카기 도시오(高木敏雄)가 1917년에 출판한 『新日本敎育昔噺』, 다나카 우메키치(田中梅吉)가 1924년 출판한 『조선동화집』, 나카무라 료헤이(中村亮平)가 1926년 출판한 『조선동화집』은 일본어로 출판된 동화집이다. 한국 전래동화집의 시작은 이들 일본인 연구자들이 주도하였다. 이를 이어 사범학교 교사이자 한글 연구자인 심의린(沈宜麟)이 한글교육의 일환으로 1926년 『조선동화대집』을 출간하였고, 동화작가 박영만(朴永晩)은 1940년 『조선전래동화집』을 출간하였다.
    둘째, 근대 시기에 출판된 다섯 편의 전래동화집을 대상으로 문예적 성격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카기 도시오는 한국과 일본의 동화가 유사하면서도 차이나는 지점이 있음을 흥미롭게 여겨 작품을 선정하였고, 재미있는 소담을 많이 수록하여 삶의 지혜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다나카 우메키치는 교훈적인 내용의 동화를 주로 선집, 재화하였다. 『조선동화집』은 우리 전래동화 형성과 전파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나카무라 료헤이는 일본어로 된 선행 작품집들을 편집하여 일종의 전래동화 교합본을 출판하였는데, 작품 구성과 문예적 성격은 안이한 수준으로 평가하였다.
    심의린은 『조선동화대집』에 어린이를 주인공으로 하여 지혜와 꾀를 강조한 작품들을 많이 선집하였다. 박영만은 자신이 현지 채록한 설화를 제재로 하여 다양한 캐릭터와 주제, 지역성을 표현하였고, 문장 표현과 구성 면에서 세련된 동화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셋째, 근대 전래동화집에서 공통되며 주목되는 인물상은 바보, 의좋은 형제, 욕심 많은 형과 착한 동생, 탐욕스런 중 형상 등이다. 꾀 많은 아이, 외쪽이, 효자, 혹부리 영감, 나무꾼, 흥부와 놀부, 트릭스터 형상도 자주 등장하였다. 대표적 동물상은 호랑이, 토끼이며, 이외에도 거북이, 여우, 두꺼비, 사슴, 까투리, 원숭이, 개 등이 있다. 대표적 ‘신격’은 ‘도깨비’이며, 그 다음으로 용왕, 선녀, 신선이 빈번하게 등장하였다.
    주제를 고찰한 결과, 일본인 편자들은 형제 우애, 효성, 정직, 근면을 좀 더 많이 주제로 내세웠고, 한국인 편자들은 같은 주제를 그리면서도 지혜와 꾀, 분별력, 재치, 용기를 좀 더 많이 내세웠다.

    영어초록

    Fairy tales is a modern narrative literature selected and rewritten for children in classical narratives.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publishing and literary character of Korean fairy tales collections published in modern times. I wrote, first, the process of publishing modern Korean fairy tales collections, second, the literary character of modern Korean fairy tales collec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and themes.
    Takagi Toshio(高木敏雄), Tanaka Umekichi(田中梅吉) and Nakamura Ryohei(中村亮平) published Korean fairy tales collections, written by Japanese in 1917, 1924, and 1926. The beginning of Korean fairy tales collections was led by these Japanese researchers. In 1926 and 1940, Shimg Yi Lin and Park Yong Man published the Korean fairy tales collections written by Korean.
    The characteristic figures in Korean fairy tales collections is the idiot, the good brother, the greedy brother, the good brother etc. A lot of children, outsiders, scorpions, hornbills, woodcutters, heungbu, nolbu, and trickster appeared frequently. The characteristic animals are tigers, rabbits, and turtles, foxes, toads, deer, fours, monkeys, and dogs. The representative ‘Goddess’ is ‘Dokkaebi(a goblin)’, followed by The Sea God, a nymph, a benevolent wizard living in the mountain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mes, the Japanese editors have put more emphasis on brotherly love, filial piety, honesty, and diligence, and Korean editors have made more wisdom, trickery, discernment, wit and courage while drawing the same subj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