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동화집>(1924)의 인물형상과 이데올로기 (Character Figures and Ideologies in Anthology of Korean Fairy Tales(1924))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2.12
22P 미리보기
&lt;조선동화집&gt;(1924)의 인물형상과 이데올로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총 / 20호 / 249 ~ 270페이지
    · 저자명 : 권혁래

    초록

    이 논문은 1924년 조선총독부에서 출간된 「조선동화집」의 출간 상황과 인물 형상을 분석하면서, 거기서 어떠한 서사적 의미와 이데올로기적 특성이 추출되는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조선동화집」은 1916년부터 1921년까지 ‘조선총독부 임시교과용 도서 편집사무 촉탁’으로 근무한 다나카 우메키치(田中梅吉:1883~1975)가 주관하여 조선총독부 학무국 편집과에서 편찬해낸 책이다. 다나카는 ‘조선 민족의 정신과 풍속을 연구하고, 이를 학교 교육의 교재로 삼아 조선의 아동들을 교육’하기 위해 조선의 동화를 모집하고 가공하였다. 그에게 동화란 ‘순수한 조선 아동이, 양심 없고 창조적 정신이 고갈된 성인으로 크지 않도록 동심을 보존하고 교화시키기 위한 수단’이었다.
    「조선동화집」은 처음부터 학교에서 조선 아동의 문화·문학 교육을 전제로 한 자료집의 성격을 띠었으며, 일부 작품들은 「보통학교 국어독본」, 「보통학교 아동문고」 등에 수록되어 수십만 명의 조선 보통학교 학생들에게 읽히었다. 「조선동화집」 25편의 작품들은 전형적인 민담과는 거리가 있는, 작가가 적지 않게 개입하여 고쳐쓴 흔적이 발견된다.
    「조선동화집」의 작가는 교훈성 표출을 동화 쓰기의 원동력으로 삼은 듯, 교훈성을 두드러지게 강조한다. 작품에서 드러나는 주요한 덕목들은 효, 우애, 유순, 친절, 인내, 지혜, 자비, 선행 ,욕심 및 악행 경계, 성실, 착함, 보은 등이다. 이와 대비적으로 악한 성격으로 그려지는 것은 욕심, 교활함, 악함, 게으름, 이기적인 마음, 사나움 등이다. 이러한 덕목들은 대개 전통 사회의 유교적 가치와 부합하지만, 이것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은 동화 작품의 생동감을 해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근대 학교교육을 받을 아동들의 발랄함과 적극성을 해치는 요인이 된다. 그리고 ‘유순’, ‘친절’과 같은 덕목은 이질적이며, 일본적인 가치이다.
    이러한 윤리적 가치는 보편성을 띠기도 하지만, 한편으론 조선의 아동들에게 피지배자로서의 ‘순종적이고 수동적인 인간상’이라는 식민지 부르주아지적 특질을 조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의 큰 틀은 분명 제국주의적인 세계관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었다. 이 동화집은 식민지 학교교육과 밀접한 연관을 지니고 있었다. 이것이 보통학교 학교 교재로 쓰일 때에는 ‘내선융화(內鮮融和), 일선동조(日鮮同祖)’라는 교육 목표를 이루는 데 활용되었으며, 식민지의 학령기 아이들에게 ‘국민윤리’로 작용함으로써 식민지 부르주아지로서의 품행에 신경 쓰게 만들고 현 상태를 유지하는 데 적극적으로 기여하였을 것이다.

    영어초록

    Between 1916 and 1921, Danaka Umekichi(田中梅吉 1883-1975) collected relevant materials by way of government offices and schools across Joseon while serving as a commissioned worker for the Japanese Governor General of Korea. The editing department of the Educational Bureau under the Japanese Governor General of Korea published Anthology of Korean Fairy Tales based on Danaka’s report in 1924. 25 works in Anthology of Korean Fairy Tales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ypical folk tales and are largely changed and reorganized by the author.
    The heroes in the works have the following common characteristics. First, the heroes are in a condition of abject poverty. Second, the heroes are kind, family-oriented and infinitely faithful and serve as exemplary models for the people. Third, matters surrounding the heroes are resolved at once with the help of a spiritual being, which is moved by the hero’s benign personality.
    The author of Anthology of Korean Fairy Tales strongly stresses instructive lessons in the process of resolving problems and conflicts between the characters, as if doing so was a driving force for his writings. Good virtues identified in those tales include “good heart, good deed, compassion, alertness to greed and wickedness, faithfulness, family love, filial piety, brotherhood, gentleness, kindness and gratitude.” Good virtues are universal love for the mankind and consistent with the Confucian values in a traditional society. But, unlike the other traditional virtues, virtues such as ‘mildness’ and ‘kindness’ are close to the Japanese values in a modernized country. The enlightening attitude may draw much criticism because it hurts vivid descriptions in fairy tales and damages the ‘liveliness,’ ‘independence’ and ‘active view of life’ for children to pursue under a modern capitalistic regime.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civilization of children was performed through producing literary texts and conducting school education, as they desired. In the 1910s and the 1920s, the editing department of the Educational Bureau under the Governor General of Korea collected folklore materials such as tales and riddles and converted them into fairy tales in textbooks, solely for the purpose of disparaging the national cultures of Joseon and disseminating colonial ideologies.
    Anthology of Korean Fairy Tales was closely connected to school education in the colony. Joseon fairy tales were possibly used as literary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s in Joseon so as to achieve such educational goals as producing meek and mild children, subjects in a colony of refined and imperialistic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