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동리 시집『패랭이꽃』에 대한 연구 (A Study on『Chinese Pink』in Kim Dong-ri's Collection of Poem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1.12
27P 미리보기
김동리 시집『패랭이꽃』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 36호 / 101 ~ 127페이지
    · 저자명 : 김석환

    초록

    본 연구는 김동리의 두 번째 시집『패랭이꽃』에 대한 연구이다. 그의 시 속에 빈번하게 등장하는 ‘저승, 고향, 꽃’을 중심으로 어떻게 기호체계를 구축하고 해체되며 기호작용을 하는가를 살펴보았다. 특히 그러한 양상을 통하여 화자가 어떻게 상징계를 벗어나 무의식적 공간에 소외되어 있는 주체적 욕망을 찾아가는가를 고찰하였다.
    저승은 일상적 삶의 공간인 이승과 대립되며 기호체계를 구축하는데 화자는 이승에 머물고 있으면서도 늘 무관심하며 저승으로 돌아가기를 원한다. 그곳은 심리적으로 볼 때 상징계로부터 떠난 무의식적 공간을 상징한다. 그리고 그곳에는 ‘이상적 어머니’ 또는 ‘자아의 이상’이 존재한다.
    고향은 일상적 공간과의 사이에 여러 겹의 매개적 공간기호가 개입함으로써 대립된다. 그리고 사회적 공간으로 편입되지 않은 ‘사이’, 즉 상징계의 ‘빈자리’에 있다. 화자는 늘 일상적 공간으로부터 떠나 그곳으로 돌아가기를 원하며 고향을 찾아가는 길, 즉 매개적 공간에서 고향을 상상하기도 한다. 그 고향은 앞의 시들에서 나타나는 저승과 동위소로서 고유한 욕망이 소외된 채 존재하는 곳이다. 고향에 돌아옴으로써 그곳에 존재하는 ‘이상적 어머니’를 만나 이상적 자아를 찾으려 한다.
    김동리의 시에서 꽃은 ‘고향’ 또는 ‘저승’, 즉 일상적인 공간으로부터 벗어난 무의식적 공간에 존재한다. 그리고 여러 식물 기호 역시 그 꽃과 동위소이다. 그러한 꽃은 늘 그곳을 찾아온 화자의 고유한 욕망의 대상이요, ‘상징적 어머니’의 대신이다. 앞에서 밝힌 것처럼 화자가 저승과 고향을 그리워하고 찾는 까닭은 그 무의식적 공간에서 꽃을 만나 이상적 자아로 거듭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것처럼 이승과 저승의 대립은 타향과 고향에 대응된다. 그리고 이승과 타향은 일상적 삶의 현장인 상징계를, 저승과 타향은 무의식적 공간인 상징계를 상징하는 공간이다. 화자가 이승으로부터 저승으로, 타향으로부터 고향으로 가고자 하는 것은 타자의 욕망으로 구성된 환상을 타파하려는 심리적 노력이다. 그리고 무의식적 공간을 상징하는 그곳에서 꽃, 즉 ‘상징적 어머니’를 만나 고유한 욕망의 주체가 되려는 것이다. 김동리 시집에서 나타나는 공간기호체계의 구축과 해체의 양상은 이러한 욕망을 일관적으로 암시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is a study on『Chinese Pink』in Kim Dong-ri's second collection of poems. It examined how the semiosis is made with being implemented and dismantled the symbolic system centering on 'the afterworld, hometown, flower,' which appear frequently in his poetry. Especially through such aspect, it considered how a speaker proceeds with searching for subjective desire of being isolated in the unconscious space, with escaping from the symbolic.
    The afterworld implements the symbolic with being opposed to this world, which is space of daily life. The speaker is always indifferent even with remaining in this world, and wants to return to the afterworld. That place symbolizes the unconscious space of having left from the symbolic given seeing psychologically. And, 'ideal mother' or 'ideal ego' exists in that place.
    Hometown is confronted by being intervened the intermediate spatial symbol in several folds in a gap with daily space. And, it exists in 'space,' which isn't included in social space, namely, in 'empty place' of the symbolic. The speaker wants to return to that place always with leaving from the daily space, and also imagines a way of proceeding with seeking for hometown, namely, the hometown in the intermediate space. As the hometown is isotopie with the afterworld that appears in the above poems, it is a place that a peculiar desire exists with being isolated. Returning to hometown leads to meeting 'ideal mother' of existing in that place and to trying to seek for ideal ego.
    In Kim Dong-ri's poetry, a flower exists in unconscious space of escaping from 'hometown' or 'the afterworld,' namely, from daily space. And, even the symbol in several plants is also isotopie with the flower. Such flower is the subject of unique desire in the speaker who always returned to the place, and substitutes for 'symbolical mother.' As clarified in the above, a reason that the speaker longs for and seeks for the afterworld and hometown is for being reborn as ideal ego by meeting flower in its unconscious space.
    As examined in the above, the confrontation between this world and the afterworld is corresponded to another country and hometown. And, this world and another country are the space of symbolizing the symbolic that is the field of daily life. The afterworld and another country are the space of symbolizing the symbolic that is the unconscious space. What the speaker aims to return to the afterworld from this world and to the hometown from another country is a psychological effort to overthrow fantasy that was formed from the other's desire. And, it aims to be the main agent of a peculiar desire by meeting flower, namely, 'ideal mother' in that place of symbolizing the unconscious space. The aspect of implementing and dismantling the spatial symbolic system, which appears in Kim Dong-ri's collection of poems, is suggesting this desire consistent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비평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