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록집』에 나타난 이상공간 연구 (A Study of the ideal space in Cheongrokjip)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6.10
25P 미리보기
『청록집』에 나타난 이상공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대문학연구 / 17권 / 2호 / 115 ~ 139페이지
    · 저자명 : 곽효환

    초록

    해방기의 한국 시사에서 가장 눈에 띄는 문학적 성과물 가운데 하나가 『청록집』이다. 해방으로부터 불과 10개월이 채 되지 않은 1946년 6월에 발간된 『청록집』은 자연이라는 시적 공간을 공유하면서도 각 작품들이 개성과 작품성을 갖추고 있는 점에서 우리 현대시사에서도 각별히 기억할 만한 시집으로 평가 받는다.
    하지만 『청록집』에 대한 논의와 평가에 있어서 재고되어야 할 점은 이 시집이 출간된 해방기라는 시대적, 문학사적 맥락 속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시기 우파진영의 맹주인 김동리의 문학적 입장과 이론이 강하게 투사되어 일반화 되어 있다는 고정된 시선이다. 실제로 『청록집』에 수록된 시들은 일제의 식민 통치가 극에 달한 암흑기, 즉 1930년대 말부터 해방이전까지 쓰여 진 것들이다.
    이렇게 볼 때 『청록집』은 일제 말이라는 현실에 대한 세 시인의 인식이 일정하게 반영되어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하나의 자연을 발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시각 주체의 세계관이 투영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보면 현실은 주체가 처한 현실을 비추어 볼 수 있는 거울이 되고 나아가 시작품들은 자아추구 내지 자아의 이상을 실현한 결과물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청록집』을 일제말기 세 시인의 주체적 세계관이 투영된 것으로 보고 이들이 그 시대적 상황을 각각 어떻게 인식하였고 나아가 이것을 토대로 사회 역사적으로 또 문학적으로 어떤 세계를 지향하고 또 만들어 내고 있는지 관찰하는 것은 의미 있는 관점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One of the most conspicuous literary outcomes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is Cheongrokjip, which was published in June 1946, less than 10 months after the liberation. It is a collection of poems particularly memorable in our history of modern Korean poetry, sharing nature as a poetic place and also having complete individuality, as well as literary value.
    However, the discussion and evaluation of Cheongrokjip must be reconsidered, because its focus is on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 literary historical context because it was published at that time, as well as because of the fixed view that the literary position and theory of the right-wing group’s leader, Kim Dong-Ni, was strongly reflected and generalized. In fact, the works included in Cheongrokjip were written in the dark period when Japanese colonization had reached an extreme, from the end of the 1930s until before liberation.
    Hence, in Cheongrokjip, the three poets' understandings of reality had been uniformly reflected, and on this foundation, one nature was discovered. The perspective is that the world view of the visual subject is projected and reality acts as a mirror for the subject to look at their own reality; furthermore, the poetical works are the pursuit of the self or outputs of the realization of the self's ideal. Considering that in Cheongrokjip the world view of each subject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era had been projected, it can be observed how the three poets understood the situation of that time and, on that basis, what kind of world they had been crea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