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書簡 중심의 문집 출현과 『退溪集』 ― 『退溪集』 諸 異本에 대한 한 고찰 ― (Emergence of Literature Collections Centered on Letters and Toegyejib - Contemplation on Various Editions of Toegyejib -)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5.12
38P 미리보기
書簡 중심의 문집 출현과 『退溪集』 ― 『退溪集』 諸 異本에 대한 한 고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집 / 17호 / 141 ~ 178페이지
    · 저자명 : 정석태

    초록

    이 글에서는 書簡 중심의 문집으로서의 『退溪集』의 성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퇴계집』에서 서간은 서간만으로 외따로 떨어져 있지 않다. 서간을 매개로 교류한 인물들은, 다시 말하면 서간 對方人物들은 바로 詩를 주고받는 대상이기도 하였고, 祭文과 墓道文字, 그리고 序記跋 등의 글을 지어서 보내준 인물들이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측면에 주목해서 『퇴계집』 편집자들은 서간 대방인물들을 동일 부류의 人物群으로 분류해서 편집하고, 그것들과 다른 詩와 散文 작품들이 서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해서, 退溪 李滉을 중심으로 그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돌아가는 당시 조선의 정계 및 지성계의 움직임, 그리고 그 중심에 선 퇴계 이황의 모습, 대학자 퇴계 이황의 모습을 돋보이게 그려낸 것이다. 산문의 빈약함을 극복하고, 서간을 중심으로 『퇴계집』을 대학자의 문집으로 만들어낸 것이다. 그렇게 해서 그 시대 독자층의 수요에 적절하게 대응해간 것이다. 『퇴계집』 補遺編의 편찬도 변화한 시대의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해간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퇴계집』 보유편인 續集과 遺集 편집자들, 퇴계 이황의 후손들인 속집과 유집의 편집자들은 자신들의 家門을 중심으로, 서간 대방인물들의 가문들이 자신들의 가문과 밀접한 관계를 맺도록 의도하면서 서간을 수집해 들이고, 다시 말하면 새로운 서간 대방인물들을 발굴해내고, 또 그 서간 대방인물들과 연계된 다른 시와 산문 작품들을 수집 정리해서 『퇴계집』 보유편을 엮어낸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nature of Toegyejib (退溪集, Toegye Collection) as a literature collection centered on letters. In Toegyejib, letters are separately grouped from other forms of literature. To the persons whom Toegye exchanged correspondence with, or, simply, those who are recipients of his letters (Daebanginmul, 對方人物), Toegye wrote and sent out poems, ritual orations, written phrases for tombstone inscriptions, and forewords for publications. The editors of Toegyejib, taking notice of this aspect of Toegye’s letters, grouped the recipients of Toegye’s letters into several types and linked such grouping with other poems and proses to reveal the political and intellectual society of Joseon at the time of Toegye. This collection was centered around Toegye Yi Hwang (退溪 李滉), Toegye’s status in those societies, and Toegye’s presence as a master scholar. The editors overcame the limited number of proses, and created Toegyejib as a literature collection that befits a master scholar. It was their way of meeting the demands of the readers at the time. The publication of Boyupyeon (補遺編, supplement) to Toegyejib was another way for the editors to cope with the changed needs of the time. With this, the editors of Sokjib (續集, sequel) and Yujib (遺集, posthumous collection), the two supplements to Toegyejib, were descendants of Toegye Yi Hwang. They collected letters with the intention of establishing close links between their family and the families of the recipients of the letters. In other words, they identified new recipients of Toegye’s letters and collected and organized other poems and proses related with those recipients to create the supplements to Toegyejib.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