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독교 선교와 동요 번역 ―李一來의 『朝鮮童謠作曲集』을 중심으로― (Christian Missions and Children’s Song’s Translation: Focused on Lee Illay's 『朝鮮童謠作曲集 My native place and other songs』(1938))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22.11
28P 미리보기
기독교 선교와 동요 번역 ―李一來의 『朝鮮童謠作曲集』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97호 / 413 ~ 440페이지
    · 저자명 : 강영미

    초록

    『朝鮮童謠作曲集 MY NATIVE PLACE AND OTHER SONGS』(1938)은 조선인 이일래가 작사⋅작곡을 하고, 호주 선교사 에스몬드 뉴(Esmond W. New, 柳永完, 1900-1982) 목사가 삽화를 그리고 앤 뉴(Annie Fitzroy McNair. New, 柳安禮)가 가사를 번역하는 협업의 방식으로 마산에서 출간한 그림동요곡집이다. 이일래의 창작곡에 맞춰 호주 선교사 부부가 조선의 풍광, 풍습, 복식의 특징을 삽화로 그리고 한글 의성어와 의태어가 환기하는 의미를 영문으로 의역한 텍스트다.
    마산은 선교 주체인 호주인 선교사와 선교 대상인 조선인이 교류하며 소통하는 문화 생산의 공간이자, 식민자 일본인이 조선인과 선교사를 감시하고 생산물을 검열한 통제의 공간이었다. 이곳에서 선교사 부부와 그들의 조선어 교사가 공동 출간한 『조선동요작곡집』은 조선의 어린이를 위해 창작한 동요를 모은 그림동요곡집이자 조선의 노래를 삽화와 영문으로 옮겨 서양에 알린 문화 번역서였다. 선교지에서의 활동을 선교 본국에 전하는 보고서이자 호주 교회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기 위한 홍보용 자료이기도 했다.
    『조선동요작곡집』(1938)은 국내외 독자를 동시에 염두에 두고 제작한 텍스트라는 점에서, 강신명이 조선의 주일학교 교사용으로 발간한 『아동가요곡선 삼백곡』(1936), 임홍은이 조선의 어린이를 위해 삽화, 동시, 동요, 동화, 만화 등을 두루 수록하여 발간한 『아기네동산』(1938)과 대상 독자층의 차이를 보인다. 이처럼 1930년대에는 농민생활사, 아이생활사, 조선기독교서회 같은 기독교계 출판사가 다양한 독자층을 염두에 둔 동요곡집을 발행하여 이후 다양한 형태의 동요곡집이 발간되는 초석을 놓았고 조선의 동요곡집이 해외로 유포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해방 이후 글과 그림과 노래가 한데 모인 종합 텍스트로서의 동요곡집이 발간되는 계기도 제공했다.

    영어초록

    『朝鮮童謠作曲集 My native place and other songs』(1938) was written and composed by Illay Lee, a Korean, and illustrated by Rev. Esmond W. New (柳永完), an Australian missionary, and his wife, Annie Fitzroy McNair. New (柳安禮) is a collection of nursery rhymes published in a collaborative way to translate lyrics. In line with Illay Lee’s original song, the Australian missionary couple published illustrations depicting the scenery, customs, and dress characteristics of Joseon, and translated Korean onomatopoeic words and meanings evocative of them into English. 『朝鮮童謠作曲集 My native place and other songs』 is a collection of nursery rhymes created for children in Joseon, a report to inform Australia of the missionary activities in Joseon to Australia, where Australian missionaries are missionaries, and a promotional material to receive financial support. Ali was a cultural translation.
    『朝鮮童謠作曲集 My native place and other songs』(1938) was published for domestic and foreign readers. 『아동가요곡선 삼백곡 The Children's Song Collection 300』 published by Shin-Myeong Kang was made for Korean Sunday school teachers. 『아기네 동산 Children’s Garden』, compiled by Lim Hong-eun, contained illustrations, poems, nursery rhymes, fairy tales, and cartoons for children of Korean. The three texts show differences in the target audience. In the 1930s, Christian publishing houses such as Farmer’s Life, Children’s Life, and Chosun Christian Books published children's song collections with a diverse audience in mind,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publication of various types of children’s songs, and paving the way for the distribution of children’s songs in Joseon abroad. did. It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to publish a children’s song book as a comprehensive text that combines writing, pictures, and songs after lib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