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산산성 출토 신라 짐꼬리표[荷札] 목간의 地名 문제와 제작 단위 (The Toponymy and Place Names on Wooden Tablets for the Parcel Note of the Goods Excavated from Seongsan Sanseong Fortress in Silla)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1.12
44P 미리보기
성산산성 출토 신라 짐꼬리표[荷札] 목간의 地名 문제와 제작 단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23호 / 535 ~ 578페이지
    · 저자명 : 이경섭

    초록

    이 글에서는 성산산성 짐꼬리표목간[荷札]의 기초적인 분석을 통하여 목간에 나타난 지명 표기의 문제와 제작지를 구명해 보았다. 먼저 목간에 나타나는 지명의 위치에 대한 비정을 진행하여 소백산맥을 경계로 한 경상북도 북부지역에 해당하는 上州의 범위였음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으며, 논란이 되었던 仇利伐을 屈火郡・屈弗郡 등으로 불렸던 ≪삼국사기≫ 지리지의 曲城郡, 즉 현재의 안동시 임하면 일대로 새롭게 비정하였다.
    이어서 그동안 목간 이해의 커다란 난맥이었던 本波・阿那・末那・前那를 해당 목간의 전체적인 기재내용과 서식으로부터 지명과 관계된 용어임을 확인하고서 그 의미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本波・阿那・末那・前那는 지명과 관계된 용어이기는 하지만 지명 그 자체는 아니라고 보았다. 그리고 ‘那’가 땅(地), 들(평야) 등의 의미를 지니고 있고, 前那의 사례로부터 어떤 방향이나 위치의 지역(혹은 구역)을 표현하는 것임을, 고구려・백제의 方位部의 사례에 견주어 밝힐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성산산성 짐꼬리표목간의 형태와 크기, 기재내용과 서식 등에 대한 기초적인 분석을 진행하여 목간이 제작된 단위가 기본적으로 행정(성)촌이었음을 분명히 하였다. 또한 최근 제기된 목간의 郡제작설에 대하여 목간 자체에 郡이 확인되지 않으며, 郡으로 간주했던 鄒文의 경우도 鄒文村이라는 표기가 확인되는 것에서 郡제작설을 비판하였다. 그리고 중고기 인명표기 방식을 근거로 목간에 나타나는 村은 모두 행정촌이며, 村 상위의 지명은 郡이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수취의 결과물인 목간에 나타나는 촌과의 비교는 적합하지 않은 점과 수취의 기본단위가 행정성촌이라는 시각에서 목간의 촌은 행정촌과 자연촌 모두일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Several place names in Silla Kingdom were confirmed on wooden tablet for the parcel notes of the goods excavated from Seongsan Sanseong. These names may be set up as follows. So far Gammunsung(甘文城) was considered as Gaeryeong-myeon in Gimcheon-Si city, Gota(古阤) as Andong-Si city, Geupbeolsung(及伐城) as Sunheung-myeon in Yeongju-si city, Gubol(仇伐) as Danchon-myeon in Uiseong-gun county, Subol(須伐) as Sangju-Si city, Maegokchon(買谷村) as Dosan-myeon in Andong-Si city, Mulsabol(勿思伐) as northern area of Gyeongsangbuk-do province, Chiumun(鄒文) as Geumseong-myeon in Uiseong-gun county, and so on. Especially, the location of Guribul(仇利伐) controversially issued is newly set up Imha-myeon in Andong-Si city. This region could be understand as a competent area of Sangju during Silla Period. Also it seems that this region supplied its goods through the Nakdongriver into the Seongsan Sanseong Fortress in Haman-gun county at lower reaches of the river.
    This article explained such terms as Bonpa(本波), Ana(阿那), Malna(末那), and Junna(前那) that did not solved on the basis of written contents or the form of documents as yet. It seems that these terms not only related to geographical designations but also served as usage for area pointed out any direction or any location.
    Hence, I could concluded that the wooden tablets- making as stated above was not made in such regional unit as gun(郡) which had not appeared on the stage of history but such unit as administrative village or administrative cast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