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이론을 활용한 문화콘텐츠학의 수용자 질적 연구방법론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on Consumers in Cultural Contents Studies Using Cultural Theorie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22.09
22P 미리보기
문화이론을 활용한 문화콘텐츠학의 수용자 질적 연구방법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콘텐츠 / 66호 / 215 ~ 236페이지
    · 저자명 : 김소영

    초록

    바야흐로 현대사회는 디지털 미디어를 기반으로 문화콘텐츠의 생산·전달·향유의 방식이 급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점은 수용자 혹은 향유자의 역할 변화이다.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상, 수용자라는 용어 자체를 재검토해야 할 정도로 그것의 능동적 참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주지하듯 수용자 연구는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나, 본고는 문화이론을 활용하여 문화콘텐츠학에서 수행 가능한 수용자의 질적 연구방법론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활용할 문화이론은 다음과 같다. 하나는 사회구조 속에서 자아의 두 가지 역할을 논증한 조지 허버트 미드(Goerge H. Mead)의 ‘상징적 상호작용론(symbolic interactionism)’이며, 다른 하나는 내부적 상호작용(intra-action)으로 존재화되는 개체들의 얽힘을 강조하는 캐런 바라드(Karen Barad)의 ‘행위적 실재론(agential realism)’이다. 본 연구는 상기한 양자의 동시 활용을 전제로 한다. 이는 복수의 방법론적 도구를 단순히 혼용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다중 자아와 비인간적 요소의 역할 등과 같은 사회적 맥락을 고려한 복합적 연구방법이라 할 수 있다.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단일한 수동적 수용자에서 복수의 능동적 수용자로의 전환을 뒷받침할 것이며, 행위적 실재론은 새로운 독립체로서 수용자의 존재론적 위상과 상호 작용을 규정하는 데 활용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내용은 급격히 변화하는 기술 중심 시대 문화콘텐츠 수용자의 변화에 주목하고, 문화콘텐츠학의 관점에서 차별적인 연구 방법론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문화이론을 활용한 문화콘텐츠학의 질적인 수용자 연구는 문화콘텐츠를 표면적 결과물이 아닌, 한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와 시스템을 반영한 통합적 접근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문화콘텐츠학의 수용자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문화콘텐츠, 수용자’라는 세 층위가 교차되며 간섭하는 환경을 다각적으로 논증하는, 에드가 모랭(Edgar Morin)의 표현대로 지식의 연쇄적 재조직인 ‘지식의 재패러다임화’, 이른바 ‘복잡성 학문(complexity discipline)’을 지향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문화이론을 통한 문화콘텐츠학의 수용자 연구가 타 학문의 그것과 차별화된 지점이다.

    영어초록

    Recently cultural contents industry is rapidly changing based on digital media.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is situation is the change in the role of the consumer. This is because, due to the nature of digital media, active participation in it is made to the extent that the term itself needs to be reexamined. As is well known, researches on consumers have been mostly conducted in media and communication areas. However this paper intends to propose a qualitative research direction for complex consumers that can be performed in cultural content studies using cultural theories.
    The cultural theories to be used specifically are as follows. One is Goerge H. Mead’s symbolic interactionism, which argues for the two roles of the ego in social structure, and the other is Karen Barad’s agential realism which made into existence as an intra-action that emphasizes the entanglement of objects that become. This study is not a simple mixing of multiple methodological tools, but a complex research method that takes into account social contexts such as the role of multiple selves and inhuman factors in the digital media era. First, symbolic interactionism will support the transition from a single self of passive consumer to a plurality selves of active consumers, and agential realism will be utilized to define the ontological status and interaction of the consumer as a digital entities. As such, the qualitative research on the consumers of cultural content studies using cultural theories can be said to be an integrated approach that reflects all elements and systems constituting a society, rather than a superficial result of cultural content. Therefore, research on consumers in cultural contents studies is different from ‘reparadigmization of knowledge’, which is a chain reorganization of knowledge, which argues in multiple ways that the three layers of ‘digital media, cultural contents, and audience’ intersect and interfere with each other. In other words, it should aim for a ‘Complexity discipline’. This is the point that differentiates the research on consumers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through cultural theories from those of other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콘텐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