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 하모리 유적 응회질 모래층의 연대 설정과 그 고고학적 의미 (Chronology of Tuffaceous Deposits from the Hamo-ri Archaeological Site in Jeju Island and its Archaeological Significance)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07.05
11P 미리보기
제주 하모리 유적 응회질 모래층의 연대 설정과 그 고고학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 56권 / 56호 / 5 ~ 15페이지
    · 저자명 : 이헌종, 정철환, 김정빈, 김종찬

    초록

    고고학적 유물에 대한 올바른 분석과 이해를 위해서는 유물을 포함하고 있는 퇴적층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여야 한다. 이를 통하여 유적에 대한 객관적인 편년 설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물이 어떻게 매몰되었고 퇴적층 내에서 어떠한 분포를 보이는 지를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제주도 하모리 유적 퇴적층을 대상으로 연대를 설정하고 응회질 모래층(화산재층)를 중심으로 퇴적층 특성 고찰을 통하여 고고학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하모리 유적의 퇴적층은 크게 점토층과 응회질 모래층, 모래층, 사질점토층으로 이루어졌다. 신석기시대 유물은 하부의 점토층에서 출토되고 있다. 8개의 토양시료에 대한 탄소연대측정 결과, 퇴적층의 연대는 10,130 ± 60에서 2,330 ± 50 14C yr B.P.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석기 유물이 출토된 문화층은 5150 ± 50부터 6450 ± 60 14C yr B.P.에 형성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신석기시대 문화층 상부에 협재되어 있는 응회질 모래층은 약 5,000년전에서 3,000년전 사이에 재퇴적된 지층으로 판단된다. 제주도와 같이 제4기 동안 화산활동이 활발했던 지역에서 고고학적 발굴조사 시 고화도가 높은 응회질 지층이 기반암으로 오인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응회질 지층이나 용암류와 같은 화산 기원 지층이 나타날 경우 그 아래에 문화층을 포함한 퇴적층의 존재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10,000년전 퇴적층의 확인은 제주도에서의 구석기 문화층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또한 신석기시대 문화층의 연대가 5,000년전으로 판명된 것은 기존 제주도의 고고학 연구에서 상대편년으로 논의되어 온 토기의 양상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제시해 주고 있다.

    영어초록

    For the authorized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archaeological materials, it is required to comprehend the sedimentary deposits containing artifacts. This leads the reliable chronological control, the burial process and the recognition of distribution of relics.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chronology of the Hamo-ri archaeological site in Jeju Island, and investigated tuffaceous deposits and its archaeological significance. The sedimentary deposits of the Hamo-ri archaeological site are composed of clay, tuffaceous sand, sand and sandy clay. The Neolithic artifacts were excavated from the lower clay layer. 8 radiocarbon dating indicates that the full sequence of the Hamo-ri archaeological site was deposited from 10,130 ± 60 to 2,330 ± 50 14C yr B.P., and that the Neolithic cultural layer was formed from 6450 ± 60 to 5150 ± 50 14C yr B.P.. Tuffaceous deposits overlying the Neolithic cultural layer is interpreted to have been resedimented volcanic ash during 5,000 to 3,000 yr B.P..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 in Jeju Island experienced active volcanic eruption during the Quaternary premise that cultural layer be present under tuffaceous deposits because volcanic ash(tuffaceous) deposits tend to consolidate easily and may be misunderstood as basal rocks. The presence of 10,000 year-old deposits suggests a possibility of the Paleolithic and/or Neolithic cultural layer in Jeju Island. The Neolithic cultural layer dated to 5,000 yr B.P. requires a new approach about pottery phase based on relative chronology in Jeju Isl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상고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