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용요법이 정신질환자의 정신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 (The Influence of Beauty Therapy Program on Mental Health Status of Mental Illness Person)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0.03
12P 미리보기
미용요법이 정신질환자의 정신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권 / 1호 / 323 ~ 334페이지
    · 저자명 : 지정훈

    초록

    현대인들은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사회‧심리적 적응에 장애를 초래하여 정신질환으로 발전케 되는 경향이 증대하고 있다. 정신치료를 받으러 오는 대부분의 환자들은 낮은 자아존중감과 함께 우울, 불안, 분노 같은 부정적 정서 상태를 호소한다. 불안, 우울, 적개심, 편집증 등과 같은 정서장애는 위협적이고 바람직하지 못한 생활과 관련이 있고 부정적 사건들은 정서장애와 스트레스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는 미용요법 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둔마된 정서와 무관심과 같은 대표적 음성 증상을 완화 시킬 수 있는 사회복귀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게 미용의 사회‧심리적‧주관적 효과를 실제 환자들에게 적용하여 미용요법의 이론적‧경험적 토대를 구축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유사실험 연구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G시에 위치한 C 병원에 내원하는 실험군 16명과 대조군 15명을 대상으로 2009년 2월10일부터 3월 24일까지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프로그램의 구성은 Callis(1982)의 외모가꾸기 프로그램과 전용수(2007), 허순득(2008), 김혜정(2009)이 개발한 미용프로그램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실험군에게 6주 동안 주 1회씩 6 회기에 걸쳐 60분 동안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외모만족도, 간이정신검사척도를 이용한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연구목적과 변수의 특성에 따라 실수와 백분율, Cronbach's α, χ2-test, t-test, ANCOVA 로 분석하였다.
    미용요법을 적용한 결과, 간이정신건강(p<.001), 외모만족(p<.001)의 부문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프로그램 후에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간이정신진단은 하위영역 중 강박증, 대인예민성, 우울, 불안, 정신증의 항목에서 미용요법 실시 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결론적으로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6주간의 미용요법은 외모만족도와 간이정신 증상완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그러므로 미용요법 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재활과 정신건강 개선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영어초록

    The tendency that the stress increases and peoples cause a failure to society,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daptation: adaptation and develop into the mental illness increases.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object of establishing the theoretical and experiential ground of beauty therapy as a 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schizophrenia patients that can ease representative negative symptoms of schizophrenia such as blunted affect, low self-esteem, and dryness.
    This study i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patients in the C Hospital in G City, who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16) and a control group (n=15), and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Feburary 10 to March 24, 2009.
    The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prepared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Callis’ (1982) grooming program and beauty programs developed by Jeon Yong‐soo (2007), and Kim Bo‐gyeong (2007), and was applied only to the experimental group through 6 sessions for 6 weeks and 60 minutes per session. Research tools used were, appearance satisfaction scale, Symptom Checklist‐90‐Revis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for Windows 12.0 through real numbers, percentages, Cronbach’s α, χ2-test, t-test, and ANCOVA according to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nd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In the results of a self‐reporting survey after the beauty therapy program was applie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mental health (p<.001), and appearance satisfaction (p<.001). Among the sub‐areas of psychiatric diagnosis, obsession,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anxiety,and psychoticism were significantly higher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beauty therapy program.
    In conclusion, it was proved that the 6 weeks’ beauty therapy program for schizophrenia patients is effective in enhancing easing mental symptoms. This suggests that a beauty therapy program can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schizophrenia patients’rehabilitation and social adjustment. And it was suggested that the beauty therapy program could be used as the program in which it is effective in the rehabilitation and mental health improvement of the schizophrenic pati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