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 융합교육 운영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Qualitative Meta-analysis on the Operation of University Convergence Education)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22.04
22P 미리보기
대학 융합교육 운영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44권 / 4호 / 161 ~ 182페이지
    · 저자명 : 조원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질적 메타분석을 통하여 대학 융합교육의 운영과 관련한 여러 질적 연구들을 종합 제시하고연구물 간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해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학 융복합교육’ 및 ‘대학 융합교육’을 키워드로 검색된 연구물 중 질적 연구물들로 포함과 배제 준거에 의거하여 최종 13편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대학 융합교육 운영에 대한 개념은 융복합 교육과정개발, 융복합 수업 설계 및 운영, 융복합 수업의 평가, 융복합교육 지원 및 관리로 범주화되었다. 연구에서 추출된 세부개념들은 23개의 핵심 개념들로 범주 되었고, 이는 ①실용기반교육, ②융합교육 체제 마련, ③ 학습자 중심 교육, ④교수자의 적극성, ⑤교수자 역량, ⑥ 학습자 협업, ⑦구성주의적 교육방법, ⑧구성주의적 평가, ⑨교육과정 점검, ⑩대학행정지원의 적극성, ⑪지원체계의 독립성의 11개 종합개념으로 재범주화 되었다. 각각의 주요 개념의 비교에서는 융합교육 과정 개발 단계> 융합수업 설계 및 운영 > 융합교육 지원 및 관리> 융합수업 평가의 순으로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세부적으로 융합교육 과정 개발 범주에서는 융합교육의 합목적성과 다양성 > 융합 교육내용의 구성 > 산업・실무요구기반 교육 과정 개발 순으로 강조되고 있었다. 융합수업 설계 및 운영 범주에서는 교수자 역량 및 전문성과구성주의적 교수법이 강조되었고 융합교육 지원 및 관리 범주에서는 융합 교육을 위한 물적・제도적 지원이 가장많이 논의되고 있었다. 연구물들에서 분석된 융합교육과정의 운영상의 한계요인을 분석한 결과 교수자의 융합교육준비도 부족-융합교육체계 마련, 학습자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부족-실용기반 교육, 학습자 중심 교육, 교육과정 체계화의 미흡-지원 체계의 독립성, 대학의 융합교육 의지 부족-실용기반 교육, 교육과정 점검, 상피적 단계의융합-교수자의 역량이 주요 개념으로 분석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present various qualitative stud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university convergence education through qualitative meta-analysis and to suggest new interpretation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studi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qualitative research among the research materials searched for as keywords ‘university convergence education’ and ‘university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 final 13 articl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ncept of university convergence education operation was categorized into convergence curriculum development, convergence class design and operation, convergence class evalu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 support and management. The detailed concepts extracted from the study were categorized into 23 core concepts, which were: Practical -based education, Establishment of a convergence education system, Learner-centered education, Instructor’s activeness, Instructor competency, Learner collaboration, Constructivist education Method, constructivist evaluation, curriculum inspection, college administrative support activeness, and support system independence were recategorized into 11 general concepts. In the comparison of each major concept, it was found that the emphasis was placed on the convergence curriculum development stage > convergence class design and operation > convergence education support and management > convergence class evalu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perational limiting factors of the convergence curriculum analyzed in the research materials, the instructor’s lack of preparation for convergence education-prepar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system, lack of awareness of learners’ convergence education-practical education, learnercentered education, curriculum systematization Insufficient education - independence of support system, lack of will for convergence education of universities - practical education, curriculum check, convergence of epithelial level - teacher’s competency were analyzed as major concep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