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영화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소녀의 재현 양상 연구—<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 <마녀>를 중심으로 (A Study on Cinematic Representations of Posthuman Girls in South Korea—Focused on The Silenced and The Witch: Part 1. The Subvers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21.10
30P 미리보기
한국 영화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소녀의 재현 양상 연구—&lt;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gt;, &lt;마녀&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7권 / 3호 / 95 ~ 124페이지
    · 저자명 : 김은정

    초록

    본고는 시대와 사회에 따라 의미를 달리해 온 소녀가 최근 포스트휴먼 상상력과 결합하여 영화 속 싸우는 소녀로 등장한 현상에 주목하였다. 이에 포스트휴먼 소녀라는 이미지를 배태한 사회적 맥락과 그 재현 양상을 분석하고, 미래 여성 신체에 대한 한국 사회의 상상의 허용치와 ‘싸우는 기술증강 소녀’라는 새로운 이미지를 둘러싼 의미경합을 밝히고자 하였다.
    21세기 고도로 발달한 디지털 영상기술로 인하여 영화는 기존의 상상만으로 가능했던 미래 존재를 시각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성인 남녀와 달리 미성숙하다고 여겨진 소녀가 포스트휴먼으로 상상될 때에는 오히려 강한 실감효과를 추구하는 그 가능성으로 인해 감히 재현할 수 없는 불가능한 영역이 생기게 된다. 즉, 포스트휴먼 소녀는 인간의 원형을 최대한 보존한 신체증강형에 그쳤으며,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를 탈하는 비판적 형상화를 구현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기술로 증강된 미래 신체는 에로틱한 폭력에 기대지 않는, 또한 모성애와 이성애에 매몰되지 않는 싸우는 위험한 소녀의 이미지를 만들었다. 물론 인간의 순수한 프로토타입에 근거한 포스트휴먼 소녀의 이상화는 기술의 인간화를 확신하는 기술도구주의에 경도되어 있다. 근대적 휴머니즘에 영합하는 이러한 기술 사유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포스트휴먼 소녀는 자기 파괴적 대항을 통해 기술—객체의 새로운 정치성을 보여준다. 이들은 테크노크라시와 신자유주의 정치적 감수성을 표출한 우울한 신체에서 벗어나 있으며, 생명 정치의 위계에 균열을 내는 체제전복적 행위를 구사했다.
    포스트휴먼은 한 사회가 고도화된 기술시대로 이행하는 과정 중에 일어나는 다양한 힘들의 경합을 예시하는 하나의 사례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 영화 속 포스트휴먼 소녀는 여전히 이상화된 소녀 이미지를 고수하려는 인간형상중심주의를 예증하지만, 미시사회적 수준까지 침투한 기술생명권력의 폭압적 지배방식에 윤리적 고찰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As the symbolic images of girls besides its definition have varied according to the age and society, a posthuman girl character recently appears in the digital cinema. This study aims to analyze its cinematic representations and the social contexts in which they are created. For this purpose, the study focuses on what extent the society allows its imagined figurations as a future female body and the meanings revolving around the image of ‘technologically body-enhanced female fighter’.
    Current digital visualization technology has developed to the extent any imaged future humans can be represented, but posthuman girls’ representations have its limitation that only a human-like figuration can be allowed in accord with the traditionally idolized image of girls. It is because of the representation logic in which digital cinema is visualized based on perceptual realism that values audiences’ experiences. Despite such less critical figuration which does not dare to cross the boundary between the image of human and inhuman, the posthuman girl characters create a new category of the ‘dangerous girls’ who are both void of sexual femininity and independent of motherhood and heterosexual romance narrative. Of course, they support the modern human-centered belief that humans can take entire control of technology with their moral behaviors and dispel the fear about the negative impact the nature of technology may have on society at large by showing their child-like figuration protecting ethical values. However, the new character of ‘unruly girl’ exerts her subversive act that seeks to fight against the human-centered liberal humanistic values and melancholic feeling and vulnerability that the neoliberalism and technocracy enforce.
    When posthuman girl characters are considered to be a marker through which we can see how different social forces are intervening and competing each other in the upcoming posthuman age, the limited figuration of the posthuman girl characters in South Korean movies illustrates the opinionated thoughts toward the instrumentalism in technology but their bloodshed struggles reveal how the corporate or state-governed techno-biopower has oppressively treated and appropriated the human body as the technology-object and also provide a meaningful opportunity to rethink its unethical viol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