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육적 욕망의 진위에 대하여 -니체의 교육론과 민주주의 비판을 중심으로- (Über die Echtheit des pädagogischen Triebs -Fokussiert auf Nietzsches Bildungstheorie und seine Demokratiekritik-)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1.11
43P 미리보기
교육적 욕망의 진위에 대하여 -니체의 교육론과 민주주의 비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44호 / 97 ~ 139페이지
    · 저자명 : 양대종

    초록

    “인간 최대의 병”인 인간의 왜소화를 다루는 니체 철학에 나타나는 수많은 “전환과 조명”의 하나가 교육과 관련된 테마이다. 다른 여타의 테마들과 마찬가지로 니체의 교육론 역시 니체 철학 전체와 통하고 다른 테마들과 연결되는 접점들을 가진다. 본고에서는 이를 쇼펜하우어 철학의 영향과 차이를 통해 고찰하고, 니체의 민주주의 비판과 그의 교육론 사이의 연관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무엇보다도 사회가 당장 필요로 하는 인재들을 대량 양성하려는 현하의 교육이 가지는 근시안적인 인간이해의 문제점을 니체철학이 갖는 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밝혀보려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평등에 입각한 민주주의 교육은 니체에 따르면 국민경제적 도그마에 의해 유도된, 이윤을 목적으로 한 교육의 확대 및 보급에의 욕망과, 교육적 이상을 가능한 한 축소시켜 교육외적인 삶의 형식에 복속시키려는 욕망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현하의 교육제도가 갖는 부작용을 야기한 이 충동들이 왜 불운한 욕망들인지를 살피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니체가 제시하는 수축과 집중에 대한 욕망과 강화와 자족의 욕망이 길러져야 하는 당위를 살펴본다. 정신의 귀족적 본성과 지성의 성스러운 질서에 입각한, 청년에게 자연스러운 교육의 욕망이 어떤 것이어야 하고, 세대를 넘어서 인류와 문화의 고양을 염두에 둔 교육이 왜 욕망과 의지의 양성을 목표로 삼아야 하는지를 니체의 교육론을 중심으로 분석한 글이다.

    영어초록

    Eine von den verschiedenen “Wendungen und Beleuchtungen” in der Philosophie von Nietzsche, welche um die Verkleinerung der Menschen als “die größte Krankheit der Menschen” handelt, ist das pädagogische Thema. Wie seine anderen großen Themen zieht Neitzsches Erziehungstheorie durch seine ganze Philosophie hindurch und hat Berührungspunkten mit den anderen Them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betrachten wir erstens die erziehungswissenschaftlichen bzw. pädagogischen Betrachtungen von Nietzsche sowohl in deren engen Beziehung mit der Philosophie von Schopenhauer als auch in deren Diskrepanz von ihr. Zweitens ziehen wir das enge Verhältnis zwischen seine Demokratiekrik und Erziehungstheorie in Betracht. Somit wird aufgrund der pädagogischen Bedeutsamkeit von der Nietzsche Philosophie die Problematik des kurzsichtigen Menschenverständnisses von der modernen Erziehung ans Licht treten, welche nur die von der Zivilgesellschaft benötigten funktionellen Menschen maßenweise zu erziehen trachtet.
    Nach Nietzsche ist die demokratische Erziehung aufgrund der Vorstellung der menschlichen Gleichheit durch zwei Faktoren zu erklären, nämlich einerseits durch den “Trieb der Erweiterung und Verbreiterung der Bildung”, welcher den nationalökonomischen Dogmen dient und somit den möglichst höhen Gewinn als seinen Zweck hat, und andererseits durch den “Trieb nach Verringerung und Abschwächung der Bildung”, der das Bildungideal möglichst zu verkleinern trachtet, damit die Bildung unter den staatlichen Zwecken unterjocht wird. Den beiden Trieben haben wir die negativen Wirkungen der modernen Erziehung zu verdanken. Wir untersuchen, warum sie verheerende Trieben sind, und betrachten, ob Nietzsches aristokratischen Alternativen dazu noch besser seien. Die vorliegende Arbeit wollte herauskristalieren, welcher pädagogischer Trieb der aristokratischen Natur des Geistes und der heiligen Ordung des Intellektes angemessen ist, und warum die Erziehung, welche die Erhöhung der Kultur und der gesamten Menschheit als ihr eigenes Ziel betrachtet, schon bei der generationübergreifenden Züchtung von Trieb und Wille anfangen soll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