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전’의 인물화 연구와 ‘선전’과 ‘국전’으로 이어진 작가 및 작품의 분석 (A study on figure paintings in JAE, and an analysis of painters from JAE to KAE and their works)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3.06
50P 미리보기
‘선전’의 인물화 연구와 ‘선전’과 ‘국전’으로 이어진 작가 및 작품의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서미술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 2권 / 2호 / 77 ~ 126페이지
    · 저자명 : 유희승

    초록

    이 연구에서 특히 인물화를 주제로 삼은 것은 인물화가 표현 매체나 기술상의 특수성에서 다른 장르보다 두드러지게 차별성이 있고, 1980년대까지는 회화에서 주도 장르였기 때문이었다. ‘동양화’에서의 인물화는, 전통적으로, 초상 인물화와 도석인물화, 사녀 인물화로 구분되던 중국의 영향을 받아 우리나라에서도 고구려 고분벽화의 묘주상과 풍속인물도, 통일신라시대의 도석인물화와 고려 시대의 불화, 초상화와 조선시대의 18세기 초상화에서 그 뛰어난 단면이 이어져왔다. 그러나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의 인물화법은 일제 식민지시대에서의 일본의 인물화, 미인화 및 서양화법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 사실이었다. 따라서 ‘선전’에 출품된 인물화 작품을 주제별로 분석하고, 그 영향을 고찰하고, 또 ‘국전’에서 변화・발전을 살펴 ‘선전’과 국전시대의 우리 ‘동양화’의 실체를 알아보았다.
    방법론상으로 보면, 당연히 선전시대의 인물화에서부터 진전․변화의 맥을 잡는 것이 정도이겠지만, 불행하게도 일제는 조선고유의 전통의 기본인 조선왕조의 화원제도를 폐지함으로써 우리 화단이 발전하는 근거를 없앴다. 그리고 일본의 무단정치에 대한 반발로 조선사회가 요청한 회화교육기관 대신 ‘선전’이라는 전시회를 기획하여, 명목상의 문화정책으로 조선을 통치함으로써, 머리는 없고 몸만 존재하는 기현상을 낳아 선전기간 동안 조선 화단은 인물화의 자주적인 전개는 물론 그 미학상의 흐름을 잡는데도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 하에서 ‘선전’을 통해 서구의 근대 예술정신이 일본을 통해 간접적으로 전해진 것은, 한편으로는 정체되었던 조선화단에 새로운 바람을 불게 했고, 다른 한편으로는 오히려 자주적인 근대화의 발전이 저해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선전’의 요인들이 그 후 한국화단에서 문제로 지속되었다.
    ‘선전’에 출품된 ‘동양화’ 부문의 대표적 작가들의 작품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1) ‘미인도’에서는 김은호의 <간성(看星)>은, 일본미인화의 영향으로 인물의 내면묘사보다는 외적인 미에 치중하여 장식적이고 감각적인 미인도가 그려졌음을 알 수 있었고, 2) ‘풍속인물화’에서는 이영일의 <농촌의 소녀(農村の少女)>에서 볼 수 있듯이, 한국의 고급문화보다는 현실에서의 우리 백성들의 처참한 모습을 재현하였고, 3) ‘역사인물화’ 부분에서는 최우석의 <이충무공(李忠武公)> <고운선생(孤雲先生)> 등에서 보듯이, 이충무공(즉, 이순신)이나 고운 최치원 등 민족사에 남을만한 영웅을 그림으로써 오히려 민족의식에 입각한 인물화표현을 볼 수 있었다.
    ‘선전’에서 ‘국전’으로 활동이 이어진 ‘선전’의 대표적 작가, 김은호, 장우성, 김기창의 작품들을 분석하고 후대화단에서의 작품 활동 및 끼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김은호는 한말(韓末) 안중식과 조석진의 제자로, 화원화가의 전통을 이었다. 그는 일본 유학을 통해 근대 일본인물화를 수용해 한국미술사에서 우리의 근대 채색인물화를 열어준 작가로서, 기법적으로는 고상하고 우아한 전통적인 고고유사묘(高古遊絲描)의 선(線)을 사용하였음을 알게 되었다. 장우성은 ‘국전’ 창설 후 심사위원과 초대작가로, 그리고 서울대학교 동양화과 교수(1946. 10.22-1961.10.22)로 재직하면서 후학을 양성했는데, 특히 서양화 교과목의 영향인 듯 후대 화단에 정확한 해부학적 인체묘사를 ‘동양화’ 인물의 주요 척도로 하는 서양화적 해부학의 도입이 눈에 띄고, 김기창은 ‘선전’에서 인물화가로 위치를 확립한 후, 해방 후에는 그리스도교 성화(聖畵)를 비롯하여 ‘바보산수’ 등으로까지 영역을 확대, 발전시켜 한국화의 가능성을 폭넓게 펼친 개성 있는 작가였다. 장발에 의해 연유된 성화작품의 제작은 월전의 조상(弔喪)의 의미가 있는 소복한 <성모자상>의 제작과 운보의 <예수일대기> 30점으로 이어지면서, 운보는 그리스도교 성화를 ‘동양화’의 언어와 화법으로, 그것도 한국인, 한복, 한옥으로 표현하여, 그 후 그리스도교 성화의 토착화에 한 획을 그었다.

    영어초록

    In JAE period, that is, in section 1, I dealt with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JAE and its system; in section 2 with classification method of the range and types of figure painting, and the shape and its features of the figure painting in the period; in section 3 with it’s reformation process through JAE in our Joseon painting circle and analysis of paintings representative artists at JAE Oriental painting part. As the result, 1) in the category of ‘a beautiful woman(or women) painting’, I found that Kim, Eun Ho’s <GanSeong(看星)> showed that by the influence of Japan’s beautiful woman painting the fuocs was more on the outer beauty than upon the inner, and a more decorative and sensational beautiful woman(or women) was painted; 2) in the genre figure painting, as we saw in Lee, Yong Ill’s <Farm Girl(農村の少女)>, painters present the tragic aspects of the Joseon people in reality rather than our higher culture of the country. 3) in ‘figure in history painting’, as we saw in Choi, Woo Seok’s <General YiChungMooGong> <General Euljimoonduk> to depict historical man like General Yi, Sun shin or General Euljimoonduk, they show expression of figure painting based upon racial consciousness.
    In the chapter 3 I analysed paintings of representative painters of JAE, Kim, Eun Ho, Jang, Woo Sung, Kim, Ki Chang that creation activities was continued from JAE to KAE and investigated creation activities and their influences on after painting circle. As the result, I found that Kim, Eun Ho that followed tradition of painting academy as a disciple of An, Jung Sik and Cho, Seok Jin received a modern Japanese figure painting through studying in Japan, opened up way of our modern color figure painting in Korea Art History, and they used line of ‘gāo- gǔ-yóusī -miá(高古遊絲描)’.
    After KAE was established, Jang, Woo Sung was chosen as a member of judges and invited artist, and then served as a professor of Department of Oriental Painting at Seoul National University(1946. to 1961), especially, it is conspicuous by introduction of the accurate human anatomic portrayal in Western painting as a primary measure of figure painting’s portrayal in oriental painting which seemed to be influenced by curriculum of Department of Western Painting. Kim, Ki Chang secured the position as a painter of figure painting in JAE and after the liberation of Joseon, was a personal painter to expand and develope possibility of the area of Korean painting to Christian painting as well as ‘idiot landscape painting’.
    Production of Catholic paining which was derived from Jang, Bal continued to production of “Madonna and child” to wear white clothes by Jang, Woo Sung to there is a meaning of condolence and to Un Bo(Kim, Ki Chang)’s 30 pieces of “Biography of Jesus”. Expressing Christian holy pictures as technique and language of ‘Korean painting’, moreover, in Koreans, Korean costume, Korean style house, he then drew a stroke for Christian holy pictures in Korea to sett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8 오전